광양당제

한국무속신앙사전
제주도의 광양당(廣壤堂)에서 봄과 가을에 [마을](/topic/마을)의 남녀가 모여 지내던 제의. 광양당은 지금의 제주도 제주시 이도 2동에 있다. 사람들은 흔히 이곳을 ‘과양’이라 하고 당에 대해서도 ‘과양당’이라고 한다.
definition
제주도의 광양당(廣壤堂)에서 봄과 가을에 [마을](/topic/마을)의 남녀가 모여 지내던 제의. 광양당은 지금의 제주도 제주시 이도 2동에 있다. 사람들은 흔히 이곳을 ‘과양’이라 하고 당에 대해서도 ‘과양당’이라고 한다.
mp3Cnt
0
wkorname
김헌선
정의제주도의 광양당(廣壤堂)에서 봄과 가을에 [마을](/topic/마을)의 남녀가 모여 지내던 제의. 광양당은 지금의 제주도 제주시 이도 2동에 있다. 사람들은 흔히 이곳을 ‘과양’이라 하고 당에 대해서도 ‘과양당’이라고 한다.
내용제주도의 삼당이 서로 형제이고, 이들의 판도 분화와 좌정이 제주도의 토박이 신화인 [삼성신화](/topic/삼성신화)와 일정한 관련을 맺고 있다. 세 명의 형제는 한 몸에서 나온 것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이 서로 다른 판도를 통해 구현하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면모를 본풀이에 나타난 현상대로 보면 다음과 같다.


| 신의위계 | 세 자기당의 내력 | 본풀이에 | | 나타난 | 타툼과 | 좌정 | 경위 |
| -------- | -------- | -------- | -------- | -------- | -------- | -------- | -------- |
| | | 활 쏜 방향 | 경계구분 | 차지한곳 | | 판도의 관할 능력 | 판도 |
| 1 | 정의 웃내끼 광원당 | 성내 과양당 | 대정 | 정의와 대정 경계 | 목안 과양당 | 말타기 | 모관80여 리 |
| 2 | 대정새당 덕수 광정당 | 정의 선앙당 | 정의 | 모관과 정의 경계 | 정의 선앙당 | 달리기 | 정이38리 |
| 3 | 시내 내외 과양당 | 대정 광정당 | 모관 | 모관과 대정 경계 | 대정 광정당 | 기어가기 | 대정27도 |



본풀이의 내용은 제주도에서 태어난 삼형제가 외부의 침입자인 김통정을 물리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제주도의 토박이신과 외지의 떠돌이신이 제주도에서 벌이는 각축을 구현한 이야기이다. [호종단](/topic/호종단)이라고 하는 인물 역시 같은 각도에서 외지의 침입자이다. 그가 죽는 과정이 예시된 것과 민중이 생각하는 외지의 사람이 다른 점을 이로써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나라에서 정한 일과 민중의 신앙이 근본적으로 일치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광양당제의 내용은 이와 다른 민중 관점에서 살펴야 함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광양당제는 다음과 같은 본풀이에 입각하고 있다. “과양당 오오전 한집 어식더식 금자광록 태광성 문수무량 고수고천 신[산태](/topic/산태)산 어인타인 금인옥인 할로하로산서 솟아나신 고산태오 인피 오오전. 동의동편 시님 제석도마노라 광주무덤산서 솟아나신 선녜국대부인. 감찰지방관. 운문문관 제집 정이정당 금천국 삼천뱅매 일만또 동사청 굽 트여온다. 장자-걸머리제산국. 이남-도노태태자. 삼남-든변 씨고 난변 씬 어마시당동산마누라”가 주된 내용이다.

이 본풀이의 핵심적인 내용은 다섯 위의 신격을 소개하고 이들이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좌정 경위가 어떠한지, 다섯 신위와 자식의 관계가 어떠한 것인지 밝히고 있다. 특정한 [마을](/topic/마을)의 상관성을 자식들의 태생 순서에 의해 말하는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그런데 이 신들의 지리적 관계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문헌정착과 구비전승의 양 차원에서 광양당과 광양당제의 행사는 분명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광양당제의 하층민 인식과 상층민 인식이 달라진 것이 아주 중요한 연구과제로 인식된다. 제주도의 토박이신격과 제주도에 들어온 떠돌이 신격의 피할 수 없는 갈등을 인식할 수 있는 중요한 제례로 파악된다.
참고문헌제주도 안덕면 당신본풀이의 구비전승적 위상 (김헌선, 비교문화연구 3,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1996)
광양당제 (강정식,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06)
역사광양당은 본래 전통적인 무속의 굿당 또는 신당이었으며, 본향당의 성격을 지녔던 것으로 여겨진다. 제주도의 당제는 세시력에 맞추어 일정한 내력을 갖춘 [마을](/topic/마을)의 당굿 성격을 지녔다. 이런 전통이 국사의 일부로 채택되면서 이러한 내용의 당제가 전승되고 변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한로산또에 대한 의례를 핵심 내용으로 하고, 일부 다른 이야기의 전통도 여기에 가미되면서 이 당의 영험함을 토대로 하는 신앙이 복합되었을 개연성이 있다. 산에 대한 신앙과 외래의 인물신앙, 무속 고유의 산신신앙이 결부된 특별한 의례였을 개연성이 있다. 역사적으로 『세종실록지리지』 「제주목」의 기록에 [진산](/topic/진산)과 [호종단](/topic/호종단)의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진산 은 한라의 주 남쪽에 있으며, 두무악 또는 원산이라고도 한다. 그 관에서 제를 행한다.(鎭山 漢挐在州南 一曰頭無岳 又云圓山 其官行祭 穹隆高大 其巓有大池)”라는 기록이 그것이다. 한라산을 섬기는 의례가 정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산신의례를 나라에서 국제로 정비해 다룬 사실이 확인된다.

이와 달리 “속전에 이르기를 한라산 주신의 아들 계는 살아서는 성덕이 있었고 죽어서는 명신이 되었다. 마침 호종단이 이 땅을 진양하고 배를 타고 강남으로 향하는데 신(계)이 매로 화하여 돛대 머리로 날아오자 북풍이 크게 불어 호종단의 배를 격쇄하고 서경 비양도 암석 사이로 침몰시켰다. 나라에서는 그 영이함을 포상하여 식읍을 내리고 광양왕에 봉하여 해마다 향폐(香幣)를 내려보내 제사를 지내도록 하였다.(諺傳云 漢挐山主神子季 生有聖 沒爲明神 適値胡宗旦鎭禳此土 乘舟向江南 神化爲鷹 飛上檣頭 俄而北風大吹 擊碎宗旦之舟 沒于西境飛揚島巖石閒 國家褒其靈異 賜之食邑 封爲廣壤王 歲降香幣以祭)

이 기록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동일한 내용이 서귀포시 안덕면 광정당의 본풀이와 정의 웃내끼 광원당에 전승되는 것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 내용의 본풀이가 있는 것은 [삼성신화](/topic/삼성신화)와 본풀이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되돌아보게 하는 요소이다. 호종단의 이야기가 결과적으로 김통정(金通精, ?~1273)으로 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에서 이 대목을 비교하면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옛날 서촌양반 시성제가 있었는디, 큰성님은 성내 과양당이고, 셋성님은 정이 선앙당이고, 말아시는 대정 광정당입네다. 황바도리짐통정이가 들어와 토성금성을 둘러싸고 매 호마다 불체 닷되, 비  리썩 받아, 비는  꼴리에 아매고 불체는 성우에 아 에 채를 주어 리니 시상이 왁왁여 갔습네다. 로은 과양당, 선앙당, 광정당 시성제가 짐통정일 심으레 가니, 짐통정인 무쇠[방석](/topic/방석)을 바당데레 댓겨, 그 방석데레 아가 광양당제아앚이니, 바당에 신용신은 이젠, 새비 몸이 되고 그 방석을 심어 땡기니, 짐통정은 또시, 매가 되여, 아가니, 과양당 큰성님이 조롬에 좇아 아가고 짐통정이 모가질 움직거릴 때에 비눌이 야씩 들러지연, 그 비눌 들러진 트멍으로 목을 비여 죽였습네다.” 이 본풀이가 전하는 구전의 역사는 상층의 그것과 전혀 다르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