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임리마을짐대당산제

한국무속신앙사전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무림리 임리[마을](/topic/마을)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짐대를 세우고 지내는 당산제. 마을에서 서쪽으로 바라다 보이는 산이 화산(火山)이어서 화재를 방지할 목적으로 마을 어귀에 짐대를 세우기 시작했다고 전한다
definition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무림리 임리[마을](/topic/마을)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짐대를 세우고 지내는 당산제. 마을에서 서쪽으로 바라다 보이는 산이 화산(火山)이어서 화재를 방지할 목적으로 마을 어귀에 짐대를 세우기 시작했다고 전한다
mp3Cnt
0
wkorname
김월덕
정의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무림리 임리[마을](/topic/마을)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짐대를 세우고 지내는 당산제. 마을에서 서쪽으로 바라다 보이는 산이 화산(火山)이어서 화재를 방지할 목적으로 마을 어귀에 짐대를 세우기 시작했다고 전한다
정의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무림리 임리[마을](/topic/마을)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짐대를 세우고 지내는 당산제. 마을에서 서쪽으로 바라다 보이는 산이 화산(火山)이어서 화재를 방지할 목적으로 마을 어귀에 짐대를 세우기 시작했다고 전한다
내용임리[마을](/topic/마을) 당산은 짐대·입석·소나무 등 여러 형태로 되어 있는 데다 마을 어귀와 마을 안, 마을 뒤편에 흩어져 있다. 마을 어귀에 있는 입석은 할아버지당산이며, 입석 앞 제단에는 ‘임리당산(林里堂山)’이라고 음각되어 있다. 임리당산 바로 옆에는 매년 만들어서 세워 놓은 짐대들이 서 있다. 마을 안에 위치한 입석은 할머니당산이고, 마을 뒤편에는 수령 200년 정도의 소나무 다섯 그루로 이루어진 ‘천룡당산(天龍堂山)’이 있다.

당산제 준비는 정월 열흘날쯤부터 시작된다. [제관](/topic/제관)은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에 맞는 사람으로 선정하고, 제물을 준비할 [화주](/topic/화주)도 미리 정한다. 제관과 화주는 여러 [가지](/topic/가지) 금기를 지키며, 집 앞에는 [금줄](/topic/금줄)을 치고 [황토](/topic/황토)를 뿌려 궂은 사람의 접근을 막는다. 정월 열사흗날에 마을 사람들은 굿을 치면서 인근 산에 올라가 짐대를 만들 소나무를 베어 오고, 이튿날에 화주는 고창읍 장에 가서 제수를 구입해 온다. 제물 준비는 예전에 화주가 도맡아 했으나 근래에는 부녀회원들이 마을회관에서 함께한다. 남자들은 마을 어귀의 임리당산 입석, 마을회관 앞 공동[우물](/topic/우물), 마을 안 할머니당산 입석, 마을 뒤편의 천룡당산 등에 금줄을 치고 황토를 뿌려 부정이 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하루 전날 산에서 베어 온 소나무로 짐대를 제작한다.

짐대의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소나무 껍질을 벗겨서 짐대 [기둥](/topic/기둥)을 마련한 다음 나뭇가지 가운데 Y 자로 벌어진 것을 골라 오리 몸통을 만들고, 기역(ㄱ) 자 모양의 가지로 머리를 만들어 몸통에 연결한다. 대나무는 약 2m 길이로 결을 따라 얇게 벗겨 6~8개 만들어 오리 몸체에 수평으로 얹는다. 그리고 오리를 짐대 꼭대기에 연결하고 짐대를 세워 밑 부분을 땅에 묻는다. 그런 후에 짐대 앞에서 간단히 제의를 지낸다. 짐대에 오리를 얹는 이유는 오리가 물새여서 화재에 취약한 마을을 불로부터 막아 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짐대는 해마다 한 기를 세우며, 그 전 해에 세운 것은 그대로 둔다. 짐대는 ‘짐대할아버지’라고도 불리며, 할아버지당산(또는 임리당산)인 입석과 함께 마을 수호신으로 여겨진다.

천룡제는 날이 어두워진 후 남자들이 풍물패를 앞세우고 마을 뒤편 천룡당산으로 가서 행하는데, 예전에는 자정에 행하던 것이다. 천룡제는 제관과 화주가 떡, 메, 제주, [삼실과](/topic/삼실과), 명태포, 쇠고기 등 제물을 진설하면 시작된다. 제관은 [헌작](/topic/헌작)-재배-[독축](/topic/독축)-소지의 순서로 제의를 행한다. 천룡제가 끝나면 일행은 굿패를 앞세우고 마을 안 할머니당산과 마을 어귀의 할아버지당산으로 이동하여 제물을 다시 준비하고 천룡제와 같은 차례로 제를 지낸다. 열나흗날의 모든 제의 절차를 마치고 대보름날 새벽이 되면 제의 참가자들이 화주 집에서 파제를 겸하여 [음복](/topic/음복)을 한다. 그러나 지금은 마을 사람들이 제의가 끝난 후에 마을회관에 모여서 함께 음식을 나눠 먹는다.

당산제 이튿날인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마을 주민들은 비린 음식과 육식을 금하며 근신하고, 열엿샛날 아침이 되면 집집마다 다니면서 [볏짚](/topic/볏짚)을 거두어서 암줄과 수줄을 만든다. 암수 두 줄을 연결하여 줄당기기([줄다리기](/topic/줄다리기))를 하기 전에 마을 주민들은 줄을 어깨에 메고 마을을 한 바퀴 도는 ‘오방돌기’를 한다. 그 후 주민들은 줄을 동네 한가운데 공터에 늘여 놓고 암줄과 수줄을 들어서 맞절을 시킨 다음 두 줄을 비녀장으로 연결하여 줄을 당긴다. 이 때 주민들은 마을을 동편과 서편으로 나누고 동편은 수줄, 서편은 암줄을 당기는데, 암줄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는 속신 때문에 늘 암줄이 승리함으로써 풍년을 기원한다. 근래에는 마을 주민들이 고령화되고 인구도 감소하여 줄당기기가 매우 형식적이고 간략하게 이루어진다. 주민들은 줄당기기가 끝난 후 암줄과 수줄을 차례로 짐대에 감는다. 이것을 ‘당산에 옷 입힌다’고 한다. 짐대에 감은 줄은 이듬해 줄당기기를 할 때까지 그대로 둔다.
내용임리[마을](/topic/마을) 당산은 짐대·입석·소나무 등 여러 형태로 되어 있는 데다 마을 어귀와 마을 안, 마을 뒤편에 흩어져 있다. 마을 어귀에 있는 입석은 할아버지당산이며, 입석 앞 제단에는 ‘임리당산(林里堂山)’이라고 음각되어 있다. 임리당산 바로 옆에는 매년 만들어서 세워 놓은 짐대들이 서 있다. 마을 안에 위치한 입석은 할머니당산이고, 마을 뒤편에는 수령 200년 정도의 소나무 다섯 그루로 이루어진 ‘천룡당산(天龍堂山)’이 있다.

당산제 준비는 정월 열흘날쯤부터 시작된다. [제관](/topic/제관)은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에 맞는 사람으로 선정하고, 제물을 준비할 [화주](/topic/화주)도 미리 정한다. 제관과 화주는 여러 [가지](/topic/가지) 금기를 지키며, 집 앞에는 [금줄](/topic/금줄)을 치고 [황토](/topic/황토)를 뿌려 궂은 사람의 접근을 막는다. 정월 열사흗날에 마을 사람들은 굿을 치면서 인근 산에 올라가 짐대를 만들 소나무를 베어 오고, 이튿날에 화주는 고창읍 장에 가서 제수를 구입해 온다. 제물 준비는 예전에 화주가 도맡아 했으나 근래에는 부녀회원들이 마을회관에서 함께한다. 남자들은 마을 어귀의 임리당산 입석, 마을회관 앞 공동[우물](/topic/우물), 마을 안 할머니당산 입석, 마을 뒤편의 천룡당산 등에 금줄을 치고 황토를 뿌려 부정이 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하루 전날 산에서 베어 온 소나무로 짐대를 제작한다.

짐대의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소나무 껍질을 벗겨서 짐대 [기둥](/topic/기둥)을 마련한 다음 나뭇가지 가운데 Y 자로 벌어진 것을 골라 오리 몸통을 만들고, 기역(ㄱ) 자 모양의 가지로 머리를 만들어 몸통에 연결한다. 대나무는 약 2m 길이로 결을 따라 얇게 벗겨 6~8개 만들어 오리 몸체에 수평으로 얹는다. 그리고 오리를 짐대 꼭대기에 연결하고 짐대를 세워 밑 부분을 땅에 묻는다. 그런 후에 짐대 앞에서 간단히 제의를 지낸다. 짐대에 오리를 얹는 이유는 오리가 물새여서 화재에 취약한 마을을 불로부터 막아 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짐대는 해마다 한 기를 세우며, 그 전 해에 세운 것은 그대로 둔다. 짐대는 ‘짐대할아버지’라고도 불리며, 할아버지당산(또는 임리당산)인 입석과 함께 마을 수호신으로 여겨진다.

천룡제는 날이 어두워진 후 남자들이 풍물패를 앞세우고 마을 뒤편 천룡당산으로 가서 행하는데, 예전에는 자정에 행하던 것이다. 천룡제는 제관과 화주가 떡, 메, 제주, [삼실과](/topic/삼실과), 명태포, 쇠고기 등 제물을 진설하면 시작된다. 제관은 [헌작](/topic/헌작)-재배-[독축](/topic/독축)-소지의 순서로 제의를 행한다. 천룡제가 끝나면 일행은 굿패를 앞세우고 마을 안 할머니당산과 마을 어귀의 할아버지당산으로 이동하여 제물을 다시 준비하고 천룡제와 같은 차례로 제를 지낸다. 열나흗날의 모든 제의 절차를 마치고 대보름날 새벽이 되면 제의 참가자들이 화주 집에서 파제를 겸하여 [음복](/topic/음복)을 한다. 그러나 지금은 마을 사람들이 제의가 끝난 후에 마을회관에 모여서 함께 음식을 나눠 먹는다.

당산제 이튿날인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마을 주민들은 비린 음식과 육식을 금하며 근신하고, 열엿샛날 아침이 되면 집집마다 다니면서 [볏짚](/topic/볏짚)을 거두어서 암줄과 수줄을 만든다. 암수 두 줄을 연결하여 줄당기기([줄다리기](/topic/줄다리기))를 하기 전에 마을 주민들은 줄을 어깨에 메고 마을을 한 바퀴 도는 ‘오방돌기’를 한다. 그 후 주민들은 줄을 동네 한가운데 공터에 늘여 놓고 암줄과 수줄을 들어서 맞절을 시킨 다음 두 줄을 비녀장으로 연결하여 줄을 당긴다. 이 때 주민들은 마을을 동편과 서편으로 나누고 동편은 수줄, 서편은 암줄을 당기는데, 암줄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는 속신 때문에 늘 암줄이 승리함으로써 풍년을 기원한다. 근래에는 마을 주민들이 고령화되고 인구도 감소하여 줄당기기가 매우 형식적이고 간략하게 이루어진다. 주민들은 줄당기기가 끝난 후 암줄과 수줄을 차례로 짐대에 감는다. 이것을 ‘당산에 옷 입힌다’고 한다. 짐대에 감은 줄은 이듬해 줄당기기를 할 때까지 그대로 둔다.
의의당산제와 줄당기기가 결합된 임리[마을](/topic/마을) 짐대당산제는 호남지역 마을공동체 신앙의 전형적인 형태이다. 여기에 비보(裨補)신앙이 반영되어 화재를 막기 위해 짐대를 세우고 이를 당산으로 삼아 제를 지냄으로써 마을의 안정을 지키고자 하는 의식이 한층 강화되어 있다.
참고문헌전북지방 장승·솟대 신앙 (국립민속박물관·전라북도, 1994)
전라북도 [마을](/topic/마을)지킴이·정악 (전라북도, 2004)
의의당산제와 줄당기기가 결합된 임리[마을](/topic/마을) 짐대당산제는 호남지역 마을공동체 신앙의 전형적인 형태이다. 여기에 비보(裨補)신앙이 반영되어 화재를 막기 위해 짐대를 세우고 이를 당산으로 삼아 제를 지냄으로써 마을의 안정을 지키고자 하는 의식이 한층 강화되어 있다.
참고문헌전북지방 장승·솟대 신앙 (국립민속박물관·전라북도, 1994)
전라북도 [마을](/topic/마을)지킴이·정악 (전라북도, 2004)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