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립

한국무속신앙사전
걸립
공공의 자금이 필요할 때 풍물패를 조직하여 굿을 해 주고 각 가정에서 돈과 곡식을 걷는 것.
definition
공공의 자금이 필요할 때 풍물패를 조직하여 굿을 해 주고 각 가정에서 돈과 곡식을 걷는 것.
mp3Cnt
0
wkorname
나경수
정의공공의 자금이 필요할 때 풍물패를 조직하여 굿을 해 주고 각 가정에서 돈과 곡식을 걷는 것.
정의공공의 자금이 필요할 때 풍물패를 조직하여 굿을 해 주고 각 가정에서 돈과 곡식을 걷는 것.
상호참조[걸립패](/topic/걸립패)(54쪽), [지신밟기](/topic/지신밟기)(859쪽)
참고문헌한국민속대[사전](/topic/사전) (민족문화사, 1991)
[마을](/topic/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 1994)
한국민속문화대사전 (김용덕, 도서출판 창솔, 2004)
상호참조[걸립패](/topic/걸립패)(54쪽), [지신밟기](/topic/지신밟기)(859쪽)
참고문헌한국민속대[사전](/topic/사전) (민족문화사, 1991)
[마을](/topic/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 1994)
한국민속문화대사전 (김용덕, 도서출판 창솔, 2004)
내용걸립은 본래 불교에서 불사를 위해 자금이 필요할 때 걸립승(乞粒僧)이 [민가](/topic/민가)를 돌면서 경문이나 [염불](/topic/염불)을 외워 주고 곡식이나 돈을 기부받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풍속을 민간에서 받아들여 필요한 공공적 자금이나 단체를 위한 재원을 마련할 목적으로 풍물패를 조직하게 되었다. 훗날 불교에서도 민간의 [걸궁](/topic/걸궁)패와 같이 풍물패를 조직하여 각 [마을](/topic/마을)을 돌면서 걸립하는 사례도 생겨났다.

현재 전해지는 걸립은 주로 정초에 마을의 풍물패가 각 가정을 돌면서 [[마당](/topic/마당)밟이](/topic/마당밟이)(지신밟기, 매구)를 해주고 돈과 곡식을 걷는 형식이 많다. 때로는 다른 마을까지 돌면서 걸립하는 경우도 있다. 걸립은 마을을 위해 자금이 필요할 때 이를 마련하는 하나의 방법이지만 자금을 그냥 걷는 것이 아니라 정초에 액막이 기능을 하는 것으로 믿는 풍물굿을 해 주고 그 대가로 경비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각 가정이 동일한 금액이나 곡식을 내는 것이 아니라 생활 형편이나 정성에 따라 양이 다르다는 점도 하나의 특징이다.

예를 들면 마을에 다리를 새로 놓기 위해 자금이 필요하거나 새로 [[농악](/topic/농악)기](/topic/농악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면 마을회의를 거쳐 풍물패를 조직하여 걸립하게 된다. 걸립이라는 말은 결국 자금마련의 행위를 지칭하는 것이지만 주술·종교적 기능으로 보면 정초에 마당밟이를 하여 각 가정의 액을 막아 주는 기대에 부응한다. 지역에 따라 형태나 명칭이 다양하다.

마을에서 [걸립패](/topic/걸립패)를 조직하여 각 가정을 돌기 위해서는 먼저 마을에서 모시는 신격을 위한 풍물부터 시작한다. 동제를 모시는 마을 같으면 동제에서 모시는 신격을 위해 먼저 굿을 치고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우물](/topic/우물)에 가서 역시 샘굿을 친다. 그리고 각 가정을 돌면서 문굿, [마당굿](/topic/마당굿), 장독굿, 조왕굿, [성주굿](/topic/성주굿), 터주굿, [외양간](/topic/외양간)굿 등을 친다. 이때 [상쇠](/topic/상쇠)가 [고사소리](/topic/고사소리)를 하여 집안의 무사태평을 빌기도 한다. 일단 걸립패가 집안에 들어오면 집에서는 [마루](/topic/마루)에 상을 차리고 그 위에 쌀과 돈을 놓는다. 촛불을 밝히고 [실타래](/topic/실타래)를 걸치는 집도 있다. 또 마련한 음식이 있으면 내와서 굿을 치는 사람들이 나누어 먹을 수 있도록 한다. 집 안에서 풍물굿이 모두 끝나면 인사굿을 하면서 나와 다른 집으로 향한다. 이렇게 각 가정을 돌면서 걸립이 모두 끝나면 걸립패를 해체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기예를 자랑하는 [판굿](/topic/판굿)을 치고 마[무리](/topic/무리) 한다. 마을에 따라서는 걸립이 며칠동안 계속될 때 매일 밤 걸립패가 모여서 판굿으로 기예를 자랑하기도 한다.

많은 자금이 필요한 경우에는 걸립패를 조직하여 다른 마을을 도는 경우도 있다. 다른 마을에 가기 전에 미리 사람을 보내 의향을 묻는다. 와도 좋다는 전갈을 받으면 마을 어귀에서 문굿을 친다. 그리고 마을에 들어갈 때 들당산굿을 쳐 주고 샘굿도 친다. 이것이 끝나면 집돌이를 하면서 [걸립굿](/topic/걸립굿)을 치고, 모두 끝나면 마을을 떠나면서 날당산굿을 친다.

걸립의 한 특징으로는 각 가정의 액막이 역할도 하지만 마을 전체를 제액(除厄)하는 기능도 한다. 예를 들면 매년 걸군농악을 하는 전남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에서는 집돌이가 끝나고 나면 마을 공터에서 판굿을 논다. 밤이 이슥해지면 판굿을 치던 사람들이 마을 어귀로 굿을 치면서 행렬을 지어 나아간다. 마을 어귀에는 짚불을 지펴놓는다. 걸군농악을 하던 사람들은 한 명씩 짚불을 뛰어넘으며 일단 짚불을 뛰어넘은 사람은 풍물소리를 내지 않는다. 짚불 넘기가 끝나면 일시에 뒤도 돌아보지 않고 마을로 줄달음쳐 돌아온다. 이렇게 마을 어귀에서 짚불을 넘는 것을 소포마을에서는 ‘굿낸다’라고 한다. 굿은 고어로 귀신이라는 뜻이기 때문에 귀신을 마을 밖으로 내쳤다는 뜻이다.
내용걸립은 본래 불교에서 불사를 위해 자금이 필요할 때 걸립승(乞粒僧)이 [민가](/topic/민가)를 돌면서 경문이나 [염불](/topic/염불)을 외워 주고 곡식이나 돈을 기부받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풍속을 민간에서 받아들여 필요한 공공적 자금이나 단체를 위한 재원을 마련할 목적으로 풍물패를 조직하게 되었다. 훗날 불교에서도 민간의 [걸궁](/topic/걸궁)패와 같이 풍물패를 조직하여 각 [마을](/topic/마을)을 돌면서 걸립하는 사례도 생겨났다.

현재 전해지는 걸립은 주로 정초에 마을의 풍물패가 각 가정을 돌면서 [[마당](/topic/마당)밟이](/topic/마당밟이)(지신밟기, 매구)를 해주고 돈과 곡식을 걷는 형식이 많다. 때로는 다른 마을까지 돌면서 걸립하는 경우도 있다. 걸립은 마을을 위해 자금이 필요할 때 이를 마련하는 하나의 방법이지만 자금을 그냥 걷는 것이 아니라 정초에 액막이 기능을 하는 것으로 믿는 풍물굿을 해 주고 그 대가로 경비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각 가정이 동일한 금액이나 곡식을 내는 것이 아니라 생활 형편이나 정성에 따라 양이 다르다는 점도 하나의 특징이다.

예를 들면 마을에 다리를 새로 놓기 위해 자금이 필요하거나 새로 [[농악](/topic/농악)기](/topic/농악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면 마을회의를 거쳐 풍물패를 조직하여 걸립하게 된다. 걸립이라는 말은 결국 자금마련의 행위를 지칭하는 것이지만 주술·종교적 기능으로 보면 정초에 마당밟이를 하여 각 가정의 액을 막아 주는 기대에 부응한다. 지역에 따라 형태나 명칭이 다양하다.

마을에서 [걸립패](/topic/걸립패)를 조직하여 각 가정을 돌기 위해서는 먼저 마을에서 모시는 신격을 위한 풍물부터 시작한다. 동제를 모시는 마을 같으면 동제에서 모시는 신격을 위해 먼저 굿을 치고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우물](/topic/우물)에 가서 역시 샘굿을 친다. 그리고 각 가정을 돌면서 문굿, [마당굿](/topic/마당굿), 장독굿, 조왕굿, [성주굿](/topic/성주굿), 터주굿, [외양간](/topic/외양간)굿 등을 친다. 이때 [상쇠](/topic/상쇠)가 [고사소리](/topic/고사소리)를 하여 집안의 무사태평을 빌기도 한다. 일단 걸립패가 집안에 들어오면 집에서는 [마루](/topic/마루)에 상을 차리고 그 위에 쌀과 돈을 놓는다. 촛불을 밝히고 [실타래](/topic/실타래)를 걸치는 집도 있다. 또 마련한 음식이 있으면 내와서 굿을 치는 사람들이 나누어 먹을 수 있도록 한다. 집 안에서 풍물굿이 모두 끝나면 인사굿을 하면서 나와 다른 집으로 향한다. 이렇게 각 가정을 돌면서 걸립이 모두 끝나면 걸립패를 해체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기예를 자랑하는 [판굿](/topic/판굿)을 치고 마[무리](/topic/무리) 한다. 마을에 따라서는 걸립이 며칠동안 계속될 때 매일 밤 걸립패가 모여서 판굿으로 기예를 자랑하기도 한다.

많은 자금이 필요한 경우에는 걸립패를 조직하여 다른 마을을 도는 경우도 있다. 다른 마을에 가기 전에 미리 사람을 보내 의향을 묻는다. 와도 좋다는 전갈을 받으면 마을 어귀에서 문굿을 친다. 그리고 마을에 들어갈 때 들당산굿을 쳐 주고 샘굿도 친다. 이것이 끝나면 집돌이를 하면서 [걸립굿](/topic/걸립굿)을 치고, 모두 끝나면 마을을 떠나면서 날당산굿을 친다.

걸립의 한 특징으로는 각 가정의 액막이 역할도 하지만 마을 전체를 제액(除厄)하는 기능도 한다. 예를 들면 매년 걸군농악을 하는 전남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에서는 집돌이가 끝나고 나면 마을 공터에서 판굿을 논다. 밤이 이슥해지면 판굿을 치던 사람들이 마을 어귀로 굿을 치면서 행렬을 지어 나아간다. 마을 어귀에는 짚불을 지펴놓는다. 걸군농악을 하던 사람들은 한 명씩 짚불을 뛰어넘으며 일단 짚불을 뛰어넘은 사람은 풍물소리를 내지 않는다. 짚불 넘기가 끝나면 일시에 뒤도 돌아보지 않고 마을로 줄달음쳐 돌아온다. 이렇게 마을 어귀에서 짚불을 넘는 것을 소포마을에서는 ‘굿낸다’라고 한다. 굿은 고어로 귀신이라는 뜻이기 때문에 귀신을 마을 밖으로 내쳤다는 뜻이다.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299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13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12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11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10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09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08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07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06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05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299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13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12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11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10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09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08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07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06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24305
옹성당산제 영광우도농악보존회 걸립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