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무속고

한국무속신앙사전
이능화(李能和, 1869~1943)가 한국의 무속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서 쓴 글로 1927년 계명구락부(啓明俱樂部)의 기관지 『계명 啓明』 제19호에 발표하였다.
definition
이능화(李能和, 1869~1943)가 한국의 무속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서 쓴 글로 1927년 계명구락부(啓明俱樂部)의 기관지 『계명 啓明』 제19호에 발표하였다.
mp3Cnt
0
wkorname
이해준
정의이능화(李能和, 1869~1943)가 한국의 무속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서 쓴 글로 1927년 계명구락부(啓明俱樂部)의 기관지 『계명 啓明』 제19호에 발표하였다.
李能和(1869~1943)汇编韩国巫俗资料,于1927年发表于启明俱乐部机关报《启明》第19号的文章。

李能和是汉学者,也是外语教育者,在1921 年任朝鲜总督府编修官以及1922 年任朝鲜史编撰委员会(1925 年更名为朝鲜史编修会)委员期间,对韩国的佛教,巫俗,基督教,儒教及女性风俗,妓女等社会民俗领域给予特别关注,并做了资料整理。其中,1927年刊发的《朝鲜巫俗考》被评价为韩国巫俗研究史上的重大一笔。李能和的《朝鲜巫俗考》系统整理出韩国,中国,朝鲜古文献记载的124 种巫俗相关资料。李能和通过亲自采访巫师,采录巫歌等的现场调查方法整理出韩国巫俗。为深入了解韩国巫俗,还对中国,满洲,日本的巫俗进行调查整理,并做了相互比较。

《朝鲜巫俗考》共分二十章,除三个章节外每章都有序言。《朝鲜巫俗考》通过古文献调查和采访调查等方式,整理出有关巫俗的资料,并做了补充说明,考证和解释,是指出韩国巫俗理解方式的研究文书。

从桓雄或[檀君](/topic/檀君)起源的神教和巫祝的发展过程中,李能和窥视到巫俗是韩国最古老的宗教。尽管在新罗时代随着儒教,佛教,道教传入韩国,巫俗的政治,社会影响力大大减弱,但依然与外来宗教相互影响彼此共存。日本帝国主义在满洲事变后曾发布国民总动员令,作为其中一环,朝鲜于二十世纪三十年代中期探索出“心田开发”政策。当时李能和认为朝鲜与日本的信仰十分相似,提议将“朝鲜人供奉日本神”当作心田开发原则。
내용이능화는 한학자이자 외국어교육자로서 1921년 조선총독부 편수관, 1922년에 조선사편찬위원회(1925년에 조선사편수회로 개칭)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한국의 불교·무속·기독교·유교뿐 아니라 여속(女俗)·기생(妓生) 등 사회민속 분야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topic/가지)고 자료를 정리하였다. 특히 1927년에 그에 의하여 발간된 「조선무속고」는 한국 무속 연구사에서 큰 족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능화의 조선 무속에 대한 관심은 1915년 발표한 「조선인과 각 종교」라는 논문과 1918년 『조선불교통사』 하편의 무속에 관련된 논의에서 보듯이 오랜 관심의 산물이었으며, 이는 1933년 발간한 『조선종교사』에서도 그대로 지속되었다. 「조선무속고」는 조선총독부의 한국 무속 조사와 무속 연구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불교신자였던 이능화가 무속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 것은 한국 신교(神敎)의 연원뿐 아니라 민족신앙과 사회변천을 구명하기 위해 불교신앙과 밀접한 역사적 관계가 있는 무속신앙을 주목하여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었다.

이능화의 「조선무속고」는 총 124종에 달하는 한국과 중국과 일본의 고문헌에 기술된 무속 관련 자료들의 수집 정리에 1차적인 초점이 두어졌고, 2차로는 직접 무당과 면접조사하기도 하고 무격의 무가를 채록하기도 하는 현장조사 방법으로 한국의 무속을 정리한 자료집의 성격이 강하다. 한국의 고문헌 가운데에서도 특히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topic/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가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진다. 이능화는 한국 무속을 이해하는 방편으로 중국·만주·일본의 무속에 대해서도 조사 정리하여 이를 서로 비교하였다.

「조선무속고」는 총 2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개의 장을 제외하고는 장(章)마다 서문을 제시하였다. 「조선무속고」는 단지 무속에 관해 고문헌 조사와 면접조사 등을 통해 관련 자료를 정리하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보충설명과 고증과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한국 무속에 대한 이해 방식을 제시한 연구서이기도 하다. 「조선무속고」의 목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장 조선무속지유래(朝鮮巫俗之由來)
제2장 고구려무속(高句麗巫俗)
제3장 백제무속(百濟巫俗)
제4장 신라무속(新羅巫俗)
제5장 고려무풍(高麗巫風)
제6장 이조무속(李朝巫俗)
제7장 궁중호무(宮中好巫)
제8장 무격지소속[지관](/topic/지관)서(巫覡之所屬之官署)
제9장 무업세급신세포(巫業稅及神稅布)
제10장 무병지제(巫兵之制)
제11장 금요무급음사(禁妖巫及淫祀)
제12장 출무성외(黜巫城外)
제13장 무격술법(巫覡術法)
제14장 무고(巫蠱)
제15장 무축지사급의식(巫祝之辭及儀式)
제16장 무행신사명목(巫行神祀名目)
제17장 성황(城隍)
제18장 경성무풍급신사(京城巫風及神祠)
제19장 지방무풍급신사(地方巫風及神祠)
제20장 부(附) 지나무사대략(支那巫史大略)


이러한 목차 구성과 용어는 이후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 등 조선총독부의 조선무속 보고서 목차에도 영향을 일정하게 미쳤다.

이능화는 환웅이나 단군에서 생성된 종교로서 신교(神敎)의 풍류도와 무축(巫祝)의 흐름 속에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를 무속으로 보았다. 이러한 무속이 신라시대부터 유교·불교·도교가 한국 사회에 수용되면서 무속의 정치적·사회적 영향력은 크게 쇠퇴하게 되었지만 무속은 외래 종교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존재해 왔다고 보았다. 일제가 만주사변 이후 국민총동원령을 발포하자 조선에서는 그 일환으로서 1930년대 중반에 심전개발(心田開發)정책을 모색했다. 이때 이능화는 조선과 일본이 신앙면에서 친척관계에 있다고 보고 조선인에게 일본의 신을 섬기도록 하는 것을 심전개발의 원칙으로 제안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이능화의 「조선무속고」에 대하여 (서영대, 이능화연구, 집문당, 1994)
일제하 무속론과 식민지권력 (최석영, 서경문화사, 1999)
조선무속고-역사로 본 한국 무속 (이능화 지음, 서영대 역주, 창비, 2008)
“Joseonmusokgo (On Shamanism in Joseon)” was an article published by scholar Yi Neung-hwa in 1927 in the No. 19 issue of the journal Gyemyeong (Enlightenment), published by Gyemyeong Gurakbu (Enlightenment Club), compiling a wide range of materials on Korean shamanism.

Yi was a Chinese classics scholar and a foreign language educator who was appointed in 1921 as an editor fo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and as a member of the Committee for the Compilation of Korean History in 1922, during which time he worked with great interest in compiling materials on Buddhism, shamanism,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in Korea, and also folklore including women’s customs and courtesan culture.

“Joseonmusokgo” is perceived as a milestone in the study of Korean shamanism. The article compiled a total of 124 entries on shamanism from Korea, China and Japan. He also carried out substantial fieldwork for the article, interviewing shamans and recording shamanic songs. In an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Korean shamanism, he also provided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the shamanic practices with those of China, Manchuria and Japan.

“Joseonmusokgo” comprises 20 chapters, each chapter including a prologue, with the exception of three. It proposed a new direction in understanding Korean shamanism by basing his book on the survey of existing literature and fieldwork, then providing interpretations, historical evidence and additional information.

Between shamanism and the worship of the national progenitors Hwanung and [Dangun](/en/topic/detail/1913), which was called singyo, which share origins and other common grounds, Yi concluded that shamanism was Korea’s oldest religion. The social and political influence of shamanism declined with the introduc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Silla (57 B.C.E. - 935), but Yi believed that shamanism continued to grow and develop with the influx of the foreign religions.

Following Japan’s invasion of Manchuria in 1931, and the promulgation of the National Mobilzation Law, which was extended to colonial Joseon as well,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sought a policy of shinden (“spiritual field”) development to persuade the Koreans to participate in Japanese imperialist causes. At this turn of events, Yi proposed as the primary principle of the shinden policy the worship of Japanese gods by the people of Joseon, based on his belief that the folk religions of Joseon and Japan were closely related.
“Joseonmusokgo” es un artículo publicado por el eminente erudito Yi Neung-hwa (1869-1943) en 1927 en el número 19 de la edición, número 19 de la revista Gyemyoeng editada por el Gyemyeong Gurukbu que significa “Club de Ilustración”, que es un compendio recopilador de una amplia gama de materiales relacionados con el chamanismo coreano.

Yi Neung-hwa era un estudioso de los autores clásicos chinos y un profesor de varios idiomas extranjeros que fue nombrado en 1921 como un editor para el Gobierno General Japonés en Corea y también como un miembro del Comité para Recopilación de la Historia de Joseon en 1922 durante lo cual él trabajó con un gran interés en la compilación de materiales relacionados con las religiones como el budismo, el chamanismo, el cristianismo y el confucianismo en Corea, así como el ámbito del folclore incluyendo las prácticas tradicionales efectuadas por las mujeres y la cultura cortesana. El “Joseonmusokgo” que fue publicado en 1927 se percibe como un hito importante en el estudio del chamanismo coreano. El artículo de Yi Neung-hwa tiene compiladas las 124 muestras vinculadas al chamanismo en Corea, China y Japón. Además él realizó una investigación sustantiva para el artículo, incluso entrevistando a chamanes y grabando cantos chamánicos. Con el fin de explicar mejor el chamanismo coreano, Yi proporcionó un grado de comparación integral de las prácticas chamánicas con las de China, Manchuria y Japón.

El “Joseonmusokgo” consiste de 20 capítulos, cada uno incluye su propio prólogo con excepción de tres de ellos. El artículo dio inicio a un nuevo concepto para entender mejor el chamanismo coreano basándose en la investigación de la literatura existente y el trabajo de campo y proporcionando interpretaciones, evidencias históricas e información adicional.

Teniendo en cuenta de que el chamanismo y el culto a los progenitores nacionales, Hwanung y [Dangun](/sp/topic/detail/1913) llamado singyo comparten sus propios orígenes. Yi concluyó que el chamanismo era la religión más antigua en Corea. La influencia social y política del chamanismo disminuyó dramáticamente con la introducción del confucianismo, el budismo y el taoísmo durante el reino Silla (57 a.C. – 935 d.C.), pero el autor de “Joseonmusokgo” creía que el chamanismo continuaría creciendo y desarrollándose debido a la influencia mutua entre el chamanismo y otras religiones extranjeras. Tras la invasión japonesa de Manchuria en 1931 y la promulgación de la Ley sobre la Movilización Nacional que se extendió a la colonia japonesa también, el Gobierno General Japonés elaboró una política de desarrollo llamada “shinden” que significaba literalmente “política del campo espiritual” para convencer a los coreanos a participar en causas imperialistas de Japón. En este giro de los acontecimientos, Yi propuso el culto a los dioses japoneses llevado a cabo por parte de los ciudadanos de Joseon en base a su creencia de que las religiones populares en Joseon y Japón estaban estrechamente vinculadas.
을유문화사맹격고손진태1948
한국문화인류학회경무고서대석1968
계명대학교출판부판수고김영진1983
대전시사편찬위원회대전의 미친굿이필영1993
한국역사민속학회부여지역의 앉은굿오문선1997
민속원강원도 송경연구 1, 2박관수2005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