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3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곡물
    720 2023.02.27
    사람의 식량이 되는 벼, [보리](/topic/보리), 밀, 조, 콩, 팥, [기장](/topic/기장), [수수](/topic/수수), [옥수수](/topic/옥수수)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벼를 비롯한 곡물은 가정신앙의 맥락에서 다종다양하게 활용된다. 그 쓰임새는 다음의 세 [가지](/topic/가지)로 대별된다. 첫째 산육의례를 비롯한 [일생의례](/topic/일생의례)나 농경세시에서 곡물을 주술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둘째 일생의례나 농경세시, [가신](/topic/가신)제에서 곡물을 초월적 존재에게 공물로 바치는 경우이다. 셋째 곡물을 초월적 존재의 신체나 신령 그 자체로 모시는 경우이다. 이 가운데에서 앞의 두 경우는 마지막의 곡령(穀靈) 신앙에서 파생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좀 더 본질적인 곡물[종자](/topic/종자)의 제사에 초점을 맞춰 다뤄진다.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한천리 상연천[마을](/topic/마을) 북쪽의 무성산 산중에 위치한 제당. 목조 [기와집](/topic/기와집)인 이 제당에서 부전동 열두 마을이 합심하여 산신제를 지낸다.
  • 곳간신
    719 2023.02.27
    집안의 [곳간](/topic/곳간)을 지키는 신. 고방신, 도장신, 도장지신이라고도 한다. 재물과 관련되기 때문에 업과 동일시하는 경우도 있다.
  • 경관만신
    718 2023.02.27
    황해도 무당들이 굿 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써 왕초격의 무당.
  • 고사반
    718 2023.02.27
    [걸립굿](/topic/걸립굿)을 거행할 때 [걸립패](/topic/걸립패)에게 대접할 물건을 차려 놓은 상 혹은 그러한 절차. 상 위에 쌀ㆍ돈ㆍ[무명](/topic/무명)실 타래 따위를 올려놓으면 걸립패는 그 집에서 지신밟기로 풍요와 행복을 빌어준다. 굿판에서 고사반은 굿판에 모인 [단골](/topic/단골)들의 한 해 동안의 복을 빌기 위한 연례행사라는 광의의 의미를 지닌다.
  • 구덕북
    718 2023.02.27
    제주도굿에서 무가나 춤을 반주할 때 쓰이는 북.
  • 717 2023.02.27
    [마을](/topic/마을)신의 [흠향](/topic/흠향)을 위해, 혹은 특정 대상신에게 부정(不淨)행위를 하여 주재집단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바치는 [제물](/topic/제물).
  • 거무장단
    717 2023.02.27
    동해안 굿에서 쓰이는 [거무춤](/topic/거무춤)의 반주 장단. 오늘날 거무장단은 대개 거무춤의 반주로 쓰이지만 예전에는 굿하는 기간 매일 아침 굿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양중들의 기량을 보여주기 위해 [드렁갱이](/topic/드렁갱이)와 함께 연주되기도 했다.
  • 고리동반
    717 2023.02.27
    둥글납작한 떡 위에 방울 모양의 떡 일곱 개를 놓아 댓[가지](/topic/가지)로 얽어매고 창살 모양의 [백지](/topic/백지)로 감싼 것.
  •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석마리 입구에서 [마을](/topic/마을)을 지키는 석마(石馬) 한 쌍. 1974년 2월 16일에 ‘경상남도 민속자료 제1호’로 지정되었다.
  • 골맥이
    716 2023.02.27
    [마을](/topic/마을)에 최초로 들어와 개척한 자가 죽은 뒤 그 후손이나 지역민들에 의해 마을의 [입향시조](/topic/입향시조)신, 수호신으로 신앙되는 인격신.
  • 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 농산리 입석[마을](/topic/마을) 앞에 있는 좌불이 음각된 선인상. 1997년 1월 30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었다.
  • 개성 덕물산에 있는 [최영 [장군](/topic/장군)](/topic/최영장군)을 모시는 신당. 덕물산은 개성 동남 2리에 위치한 해발 200m 정도의 야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경기도 풍덕군(豊德郡)의 관아가 있는 곳에서 동쪽으로 30리 지점에 있다고 했다.
  • 계면떡
    714 2023.02.27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음복](/topic/음복)을 위하여 나누어 주는 떡.
  • 714 2023.02.27
    씻김굿에서 [고풀이](/topic/고풀이)를 할 때 사용하는 무구. ‘고’는 기다란 천이나 줄을 둥글게 매듭짓는 것을 말한다. 고싸움의 ‘고’나, 옷고름의 ‘고름’이 비슷한 용례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