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오구굿

한국무속신앙사전
죽은 사람의 넋을 달래고 저승으로 천도시켜 극락왕생하기를 기원하는 남해안 지역의 무속제의. ‘오구’, ‘오귀’, ‘오귀새남굿’, ‘큰굿’, ‘수륙새남굿’ 등으로 일컫는다. 서울의 진오기굿, 전라도의 씻김굿과 같은 사령제(死靈祭) 계통으로서 망자의 한을 풀고 부정을 가시게 하며 산 사람의 안녕을 도모하는 굿이다.
definition
죽은 사람의 넋을 달래고 저승으로 천도시켜 극락왕생하기를 기원하는 남해안 지역의 무속제의. ‘오구’, ‘오귀’, ‘오귀새남굿’, ‘큰굿’, ‘수륙새남굿’ 등으로 일컫는다. 서울의 진오기굿, 전라도의 씻김굿과 같은 사령제(死靈祭) 계통으로서 망자의 한을 풀고 부정을 가시게 하며 산 사람의 안녕을 도모하는 굿이다.
mp3Cnt
0
wkorname
유승훈
정의죽은 사람의 넋을 달래고 저승으로 천도시켜 극락왕생하기를 기원하는 남해안 지역의 무속제의. ‘오구’, ‘오귀’, ‘오귀새남굿’, ‘큰굿’, ‘수륙새남굿’ 등으로 일컫는다. 서울의 진오기굿, 전라도의 씻김굿과 같은 사령제(死靈祭) 계통으로서 망자의 한을 풀고 부정을 가시게 하며 산 사람의 안녕을 도모하는 굿이다.
Ogugut is a shamanic ritual to pray for the rebirth of the dead in the heavens by appeasing the deceased and guiding its spirit to the underworld.

Variations of the term include ogu, ogwi, ogwisaenamgut and keungut. The ritual is observed mostly in the south coast regions of Gyeongsang Province and along the east coast.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of rituals for appeasing the spirit of the dead and praying for the well-being of the living, are jinogigut, the underworld entry ritual from the Seoul area and the grievance cleansing ritual ssitgimgut from South Jeolla Province.

Southern Coast Ogugut is practiced today in Geoje and Tongyeong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ritual procedure comprises the retrieval of the spirit of the dead and its return to the village; enshrining the dead in the home and inviting various deities to entertain them; cleansing the spirit of the dead and related impurities to guide the dead to the underworld; and finally, hosting the miscellaneous gods and spirits.

Eastern Coast Ogugut is practiced in regions along the east coast, from the northern tip of Goseong, Gangwon Province, all the way down to Bu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Prior to the main ritual, a cleansing ritual is held, arranging a “place for the dead, ” which symbolizes the coffin. Then the spirit of the deceased person is invited to meet with that of a deceased ancestor. This is followed by a prayer wishing for the dead to go to a good place, then the ascension of the spirit, which is carried out by lifting the paper symbol of the deceased soul using the paper flower jihwa, signifying the rebirth of the deceased. The ritual ends with a farewell to the departing spirit, praying for its safe journey to the heavens.

Sanogugut, or underworld entry ritual for the living, is held to pray for the good fortunes in life and entry to the heavens in death for one who is still alive, a practice observed by hereditary shamans (seseummu) of the eastern coast regions.
告慰死者魂灵,祈祷其被荐度去极乐世界的巫俗祭仪。

“恶鬼巫祭”亦称“ogu”,“ogwi”,“ogwisaenamgut”,“keungut”等,主要流传于庆尚道南海岸地区及东海岸一带。其和首尔的镇恶鬼巫祭及全罗道的洗灵巫祭一样,都属于死灵祭,目的是为亡者洗刷冤屈,驱走不净,祈祷生者平安。

“南海岸恶鬼巫祭”流传于庆尚南道巨济,统营等地。其步骤大体如下:捞魂,带其回村;将亡灵供奉在家,并招来众神进行娱神;洗净亡者的灵魂,为其驱走不净,然后荐度;最后招待杂神。南海岸恶鬼巫祭的目的为将亡者荐度到阴曹,驱走不净。

“东海岸恶鬼巫祭”在从江原道高城到釜山的东海岸地区流传。巫祭之前,先安置象征亡者棺材的“亡者灵位”,进行不净巫祭。然后请回亡者和先祖的灵魂,使二者相见。之后祈愿亡者去一个好的地方,进行“献魂”,即上提象征亡魂的纸花,这含有亡者重生的寓意。最后和亡者告别,祈愿其去极乐世界。

和东海岸恶鬼巫祭一样,“生灵祭”也主要由东海岸世袭巫传承,后者的目的是祈祷生者富贵长寿及死后进入极乐世界。
Ogugut se refiere a un ritual para apaciguar al espíritu del muerto y guiarlo al inframundo para que renazca en el otro mundo.

El ritual tiene varios nombres como “ogu”, “ogwi”, “ogwisaenambut” y “keungut”. El ritual se observa mayormente en las regiones de la costa sureña de la provincia de Gyeongsang y a lo largo de la costa este. El ogugut pertenece a la misma categoría de rituales para apaciguar a los espíritus de los muertos y rezar por el bienestar de los vivos como el jinogigut en Seúl y el ssitgimgut en la provincia de Jeolla-do.

El “ogugut de la costa del sur” se practica en la ciudad de Geoje y en la de Tongyeong de la provincia de Gyeongsang-do.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incluyen la recuperación del espíritu del fallecido y su retorno a la aldea; enclaustramiento del alma del muerto en su casa e invitación de varias deidades para entretenerlos; limpieza del espíritu del difunto e impurezas para guiarlo al submundo; y finalmente recepción de los dioses y espíritus menores.

El “ogugut de la costa del este” se lleva a cabo en las regiones que se encuentran a lo largo de la costa oriental desde el extremo septentrional de la ciudad de Goseong de la provincia de Gangwon-do, hasta la ciudad de Busan de la provincia de Gyeongsangnam-do. Antes del ritual principal, un ritual de limpieza se realiza para preparar un “lugar del muerto” que simboliza el ataúd. Y luego, el espíritu del fallecido es invitado a reunirse con sus ancestros, seguido por una oración para que el muerto vaya a un buen lugar. El próximo paso es “ascenso del espíritu” que se realiza levantando la flor de papal llamada jihwa que simboliza el alma del fallecido, lo cual significa el renacimiento del difunto. El ritual se cierre con un evento de despedidas al espíritu ofreciendo oraciones por su viaje seguro al cielo.

El sonogugut significa “ritual para guiar a los espíritus al submundo para los vivos” y tiene lugar para rezar tanto por la buena suerte en la vida cotidiana de un ser vivo como por la entrada segura al inframundo cuando él muere en el futuro.El sonogugut aún se practica por chamanes hereditarios en las regiones de la costa del este.
내용서울의 진오귀굿, 전라도의 씻김굿과 같은 사령제(死靈祭) 계통으로서 망자의 한을 풀고 부정을 가시게 하며 산 사람의 안녕을 도모하는 굿이다. 1982년 정병호•서대석의 조사에 의하면 통영지방의 오구굿은 부정굿, 넋건지기굿, [당산굿](/topic/당산굿), 문넘기, 제석굿, 방안오귀(칠공주풀이), 말미, 손풀이, 영둑굿, 길닦기, [염불](/topic/염불)굿, 시석굿의 12석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부정굿은 신을 맞이하기 전에 굿판에서 부정을 정화하여 깨끗한 상태로 신이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굿이다. 넋건지기굿은 배를 타고 나가 망자가 익사한 장소에서 한다. 육지에서 죽은 망자를 천도할 때에는 무덤에서 [혼백](/topic/혼백)을 모셔오는 메맞이를 한다. 익사한 장소에서 용왕을 청신하고 제물로 가져온 산 닭을 무거운 돌에 매달아 물속에 빠뜨린다. 다음은 베[布]에 혼백식기를 매달아 바다에 던진 후 다시 물 위로 끌어올린다. 이렇게 건져낸 혼백을 신[광주리](/topic/광주리)에 담아서 [마을](/topic/마을)로 돌아온다. 혼백이 마을에 당도할 즈음에 마을 당산에서는 마을 주민들이 당산굿을 준비한다. 당산굿은 신광주리를 [제상](/topic/제상) 앞에 두고 망령이 그리던 고향으로 돌아왔음을 당산에게 고하는 의식이다. 승방은 부정을 친 후 당산 신령에게 망자를 고하는 무가를 부른다. 음식을 사방에 뿌려 잡귀와 혼신을 풀어먹이고 길군악을 치면서 유가족의 집으로 혼백을 옮긴다. 이때 집 쪽으로 길게 늘어뜨린 [길베](/topic/길베) 위에 신광주리와 혼백을 올려두고 운반한다.

혼백이 집안에 도착하면 문넘기를 한다. 망자집의 [마루](/topic/마루)에는 향, 촛불, 고기, 술, 과일 등으로 문넘기상을 차린다. [대문](/topic/대문) 밖에서 [안방](/topic/안방)에까지 길베를 늘어뜨리고 신광주리와 혼백식기를 방 안으로 운반하여 망자의 부인에게 전달한다. 제석굿에서는 승방이 시왕침장으로 장식된 제상 앞에서 부정굿, 제석노래, 제만수를 하면서 춤을 춘다. 명태와 손대를 [가지](/topic/가지)고 춤을 추면서 관중을 놀리고 종이를 태워 사르기도 한다. 방안오귀는 칠공주풀이를 하는 굿이다. 제상 앞에는 시루상을 차린다. 시루를 엎어서 그 안에 실꾸리를 두고 시루구멍 사이로 실을 내놓는다. 승방은 무가를 부르면서 오른손은 장구를 치고 왼손으로 실을 감다가 칠공주풀이가 끝나면 실을 끊는다. 이 실은 명줄이라 부르며, 수명이 길어지라는 축원이 담겨 있다. 말미굿은 [마당](/topic/마당)에서 큰 상을 차려 놓고 진행한다.

말미굿은 집안의 조상들을 모셔다가 위하며 집안의 안녕을 비는 굿이다. 즉 망자가 조상의 도움으로 극락으로 가고, [조상신](/topic/조상신)으로 좌정하기를 기원하는 의식이다. 제상의 [병풍](/topic/병풍)에는 망자옷과 천도하지 못한 조상의 옷을 걸쳐두며, [향탁](/topic/향탁)(香卓)에는 줄을 쳐서 종이로 만든 열시왕침장을 매어둔다. 승방은 홍[치마](/topic/치마)에 [쾌자](/topic/쾌자)를 입고 [화관](/topic/화관)을 쓰며, 부채•방울•[손전](/topic/손전)을 들고 굿을 한다. 승방은 춤을 추다가 [불림](/topic/불림)[장단](/topic/장단)으로 오랫동안 무가를 부른다. 다시 승방은 손님굿으로 들어가는 손천근을 부른다. 손풀이에서는 [마마신](/topic/마마신)으로 인하여 목숨을 잃거나 질병을 앓지 않도록 기원하는 무가를 부른다. 손풀이를 마치면 고인들이 올림채를 치고 승방이 춤을 추다가 상호 소리를 주고받으면서 논다.

다음은 마당에서 영둑굿을 한다. 영둑굿은 망자의 영혼을 깨끗이 씻어내 생전에 맺힌 원한을 풀어주고 부정을 씻어 극락으로 보내는 의식이다. 먼저 망자의 옷과 돗[자리](/topic/자리)를 말아서 세운 후 혼백그릇을 얹고 솥뚜껑을 세운다. 솥뚜껑 위에는 [한지](/topic/한지)를 덮어서 영둑을 만든다. 촛불로 소지를 태워서 불로 씻긴 후에 향물•쑥물•청수로 솥뚜껑을 씻으며 “몸을 씻으니 잘 받아 가지고 극락세계로 가이소”라고 말한다. 승방은 천수를 치고 염불을 하다가 솥뚜껑을 들어서 혼백식기를 내린다. 그런 후에 시왕문 사이로 사방칠문(四方七門)을 통하는 의식을 한다. 시왕문은 대[바구니](/topic/바구니) 위에 대나무를 열십자로 휘어서 고정시켜 만든다. 이 시왕문 사이로 승방과 유족이 서로 혼백식기를 주고받고, 망자의 옷을 말았던 돗자리를 통과시킨다. 길닦기는 망자를 극락왕생의 길로 인도하는 송신굿이다. 길베를 대문에서 방까지 길게 늘어뜨려 양쪽에서 잡는다. 이 길베 위에 망자의 옷, 신광주리, 혼백식기를 올려놓고 당기고 밀면서 망자가 극락왕생하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길닦기가 끝나면 승방은 망자의 옷과 길베를 들고 춤을 추다가 병풍 위에 걸어둔다. 이때 구경꾼들이 나와서 함께 춤을 덩실덩실 추며, 노인들은 “나 죽으면 굿을 해 달라”고 외치기도 한다.

다음은 염불굿이다. 승방이 제상에서 불림장단으로 천수를 치고 극락왕생하는 망령에게 염불을 들려주면서 제석신의 가호가 있기를 축원한다. 시석굿은 마지막 의식으로서 여러 잡신을 대접하여 배송하는 굿이다. 유족들은 제청의 음식을 덜어서 대문 쪽에 시석상을 차린다. 승방은 평복 차림으로 잡신들을 위무하는 소리를 하다가 육십갑자풀이를 한다. 유족들은 굿에 쓰인 [반야용선](/topic/반야용선), 지화, 열시왕침장 등을 불에 태운 후 굿을 끝낸다. 승방과 고인은 집안 곳곳을 돌면서 잡귀를 몰아내기 위하여 풍물을 친다.

남해안오구굿은 죽은 자의 영혼을 달래서 한을 씻겨내고 천도하는 무속적 생사관을 잘 보여주는 의례이다. 또한 오구굿에서 연행되는 승방들의 소리와 춤, 고인들의 악기연주와 무가장단은 경상도 남해안의 지역 문화를 잘 보여주고 있다. 남해안오구굿은 크게 넋을 건져서 마을로 돌아오는 절차, 집에서 망령을 모셔두고 여러 신을 불러서 오신(娛神)하는 과정, 망자의 넋과 부정을 깨끗이 씻어서 천도하는 절차, 마지막으로 잡신을 대접하는 과정을 거친다. 남해안오구굿의 목적은 망자를 저승으로 천도시키고 부정을 없애는 것이다. 죽음에서 생긴 부정은 이승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망자를 극락으로 보내는 것이 산 자에게도 필요하다. 이처럼 남해안오구굿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어 죽은 자의 천도를 통하여 산 자의 안녕을 꾀하는 상생적 의례인 것이다.
참고문헌통영오귀새남굿 (정병호·서대석, 열화당, 1989)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무의식편) (문화재관리국, 1989)
통영 오구새남굿참관기 (전유선, 연극학보 26, 동국대 연극영상학부, 1998)
한국의 전통춤 (정병호, 집문당, 1999)
역사남해안오구굿은 경상남도 거제·통영 등 경상도 남해안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다. 특히 통영은 풍어를 기원하는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을 비롯하여 [도신](/topic/도신)굿, 오귀굿 등 다양한 무속제의가 전해지는 지역이다. 조선시대의 통영은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이 설치되었던 곳으로, 해안방비와 수군통제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군사 및 행정 관아와 함께 교방청(敎房廳)과 고취청(鼓吹廳)이 있어 공인(工人)과 악무인(樂舞人)을 많이 배출하였다. 통영 지방의 무당들은 의식에 따른 예능적 기능이 발달했다. 이러한 역사성과 아울러 통영은 남해안의 중요한 어항으로서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아 어업이 성행하였다. 바다에서 일을 하다가 풍랑을 만나는 해상사고가 자주 일어나고, 이에 따라 수사자(水死者)의 넋을 위로하는 의식이 발달하였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