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구대택굿

한국무속신앙사전
만구대택굿
황해도 지역에서 무당자신이나 부자집의 노인들을 위해서 하는 가장 큰굿으로, 노인들의 무병장수와 사후 내세의 극락천도를 기원하는 굿.
definition
황해도 지역에서 무당자신이나 부자집의 노인들을 위해서 하는 가장 큰굿으로, 노인들의 무병장수와 사후 내세의 극락천도를 기원하는 굿.
mp3Cnt
0
wkorname
김덕묵
정의황해도 지역에서 무당자신이나 부자집의 노인들을 위해서 하는 가장 큰굿으로, 노인들의 무병장수와 사후 내세의 극락천도를 기원하는 굿.
내용이 굿은 무당집에서 할 때는 무당 자신의 건강과 복은 물론 가족과 [단골](/topic/단골) 모두가 편안하고 무고하도록 빌며, 나이 많은 분의 경우 장수를 빌어주고, 조상의 경우 극락천도를 빌어주는 등 다양한 기원과 목적을 함께 지니고 있다. 만구대택굿은 황해도 지방에서 규모가 제일 큰 굿으로서 보통 1주일씩 계속하며, 주로 [만신](/topic/만신)집에서 행해지고, 무당이 일생에 세 번 하면 많이 하는 굿이다. 무당이라고 해도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굿은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데다 의례절차도 복잡하고 다수의 인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큰만신이 아니면 하기 힘들다. 따라서 황해도 지방에서도 연륜이 있는 큰만신들이 하며, 회갑•진갑•칠순•팔순과 같이 중요한 [일생의례](/topic/일생의례)에 즈음해서 하는 경우가 많다. 1997년 가을에 행한 [김금화](/topic/김금화)의 만구대택굿은 그가 신을 모신 지 60주년을 기념하여 행하였다.

우옥주의 만구대택굿의 굿거리는 보통굿의 두 배인 24거리로 짜여져 있다. 쌍피리, [해금](/topic/해금), [대금](/topic/대금), 쌍장구, 괭정, 바라가 기본 악기이다. 굿판에다 오색장발을 띄우고 그 오색장발에는 시왕개, [돈전개](/topic/돈전개), [송송개](/topic/송송개), 보화개, [인물개](/topic/인물개), 청천개, 일월등, 팔모등, 학, 잉어를 매단다. 제물 진설이 끝난 뒤 [경관만신](/topic/경관만신)이 꽃가마를 타고 굿판 앞에 마련된 솔문(솔잎으로 만든 문)으로 들어오면 만구대택굿이 시작된다. 제석거리에서는 ‘소놀이굿’을 한다. 동네사람들이 모여 [멍석](/topic/멍석)으로 소를 만들어 뒤집어쓰고 마부를 앞세워 풍악을 울리면서 굿당으로 들어와 굿을 하고 있는 만신과 갖은 익살과 [재담](/topic/재담)을 한다. 이때 술상이 들어오면 놀이에 참여한 한량뿐 아니라 구경꾼들까지 함께 어울려 술과 음식을 먹으면서 소놀이굿을 벌인다. [사냥굿](/topic/사냥굿)에서는 소, 돼지, 닭을 잡는 생타살굿도 한다.

[정학봉](/topic/정학봉)의 굿 제차를 보면 굿을 하는 전날 저녁에 [대청](/topic/대청)이나 [마루](/topic/마루)에서 안반고사를 지낸다. 안반(安盤)은 떡을 빚을 때 사용하는 떡판이다. 안반 위에 굿에 쓰기 위해 장만한 [인절미](/topic/인절미), 반대기 등을 겹겹이 쌓아서 여러 곳에 올려놓는다. 또한 촛불을 켜고 쌀과 술을 함께 준비해 놓는다. 이렇게 하여 [비손](/topic/비손)을 하고 떡에 방울을 달라붙게 하여 산을 준다. 이튿날에 굿을 시작하게 되면 경관만신을 비롯한 참여자들은 복색과 악기를 갖추고 세경돌이를 한다. 이때 경관만신은 상산의대를 입고 꽃가마에 탄다. 앞에는 잽이들이 가고 그 뒤로 꽃가마와 무당 일행이 차례로 따른다. 세경돌이는 동네를 거쳐 집 주위를 세 번 돌면서 평안과 복을 기원하는 것이다. 경관만신이 꽃가마를 탄 것은 경관만신이 벼슬할 만큼 금상 자리에 올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경을 돌고 나면 집 안의 굿청 남쪽에 솔잎으로 만든 세 개의 솔문을 통과하여 굿청으로 들어온다. 이는 모든 부정을 씻어내고 산천의 기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세경돌이가 끝나면 본격적으로 굿을 시작한다. 굿은 주당물림, 부정거리, 산천거리, 초감흥거리, 소대감거리, 칠성거리, 제석거리, [영정](/topic/영정)거리, 사냥거리, 군웅거리, 익은타살거리, 감흥거리, 성주거리, 잔내림거리, 대감거리, 서낭거리, 말명거리, 신장거리, 성수거리, [장군](/topic/장군)거리, 조상거리, [광대](/topic/광대)거리, 터주살량거리, [마당](/topic/마당)거리로 이어진다.
참고문헌큰무당 우옥주의 생애와 활동 -큰무당 우옥주 유품 (양종승, 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의 무속 -서울·황해도편 (국립민속박물관, 1999)
만구대탁굿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 봄편, 국립민속박물관, 2005)
역사만구대택굿이 언제부터 유래되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불교의례의 영향도 보인다. 특히 굿청 장식이나 규모는 마치 불교의 영산재나 [예수재](/topic/예수재)를 연상하게 한다. 영산재에서 볼 수 있는 괘불이나 금전괘, 은전괘, 길게 늘어뜨려 장식해 놓은 [장발](/topic/장발) 등은 만구대택굿에서 굿청에 무신도를 매어 놓고 각종 괘를 달고 장발을 쳐놓은 것과 유사하다. 성격으로 보면 죽은 후 행할 불사를 생전에 미리 닦는 예수재(預修齋)에 비교할 수도 있다. 궁극적으로 불교가 추구하는 것과 무속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것은 동일한 선에서 볼 수는 없으나 노인들이 생전에 하는 의례라는 점은 유사하다.
황해도 만구대택굿 중 장군거리(정학봉)
64732
황해도 만구대택굿 중 장군거리(정학봉)
황해도 만구대택굿 중 칠성거리(정학봉)
64727
황해도 만구대택굿 중 칠성거리(정학봉)
황해도 만구대택굿 중 악사들
64726
황해도 만구대택굿 중 악사들
황해도 만구대택굿 중 무당 윤순임
64725
황해도 만구대택굿 중 무당 윤순임
황해도 만구대택굿 중 신당,
64724
황해도 만구대택굿 중 신당,
황해도 만구대택굿 중 솔문
64723
황해도 만구대택굿 중 솔문
황해도 만구대택굿
64722
황해도 만구대택굿
황해도 만구대택굿
64721
황해도 만구대택굿
황해도 만구대택굿
64720
황해도 만구대택굿
황해도 만구대택굿
64719
황해도 만구대택굿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