짚말

한국무속신앙사전
짚말
무속의 [마마배송굿](/topic/마마배송굿) 혹은 동제의 제장에 재액(災厄)을 물리칠 목적으로 안치하는 짚으로 엮은 말.
definition
무속의 [마마배송굿](/topic/마마배송굿) 혹은 동제의 제장에 재액(災厄)을 물리칠 목적으로 안치하는 짚으로 엮은 말.
mp3Cnt
0
wkorname
강성복
정의무속의 [마마배송굿](/topic/마마배송굿) 혹은 동제의 제장에 재액(災厄)을 물리칠 목적으로 안치하는 짚으로 엮은 말.
정의무속의 [마마배송굿](/topic/마마배송굿) 혹은 동제의 제장에 재액(災厄)을 물리칠 목적으로 안치하는 짚으로 엮은 말.
내용짚말은 두창신[천연두신]을 배송(拜送)하는 [마마배송굿](/topic/마마배송굿)과 깊은 친연성이 있다. 두창에 걸리면 13일째 되는 날 환부에 딱지가 생기면서 병이 끝난다. 이날 [마마신](/topic/마마신)을 공손히 돌려보내는 ‘마마배송굿’이 벌어진다. 이 굿은 지역에 따라 ‘손님굿’이나 ‘별상굿’이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는데, 실제 말이나 짚말을 만들어서 반드시 두창신을 전송하는 의식이 수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능화는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에서 “두창신을 전송하는 의식은 말과 마부를 부려 마마신이 탈것을 갖추고, 기타 의장은 벼슬아치의 행차 때와 같이하되 말이 없으면 짚말[芻馬]로 대신한다”라고 했다. 이로써 천연두가 창궐하였을 때 짚말에 두창신을 태워서 배송하는 상징적인 의식이 베풀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마마를 전송할 때 온갖 의장을 갖추고 말(혹은 짚말)을 준비하여 성대한 굿을 하는 데에는 천연두를 공경히 대접하여 [보냄](/topic/보냄)으로써 다시는 들어오지 말라는 염원이 담겨 있다. 의약이 발달하지 못한 지난날에 돌림병의 창궐은 무수한 인명을 빼앗아가는 [공포](/topic/공포)의 대상이었다. 그중에서도 천연두는 가장 무서운 괴질로 인식되었다. 설령 목숨을 부지한다 해도 일생을 곰보로 살아가야 하는 탓에 그 두려움은 더욱 컸던 것이다.
내용짚말은 두창신[천연두신]을 배송(拜送)하는 [마마배송굿](/topic/마마배송굿)과 깊은 친연성이 있다. 두창에 걸리면 13일째 되는 날 환부에 딱지가 생기면서 병이 끝난다. 이날 [마마신](/topic/마마신)을 공손히 돌려보내는 ‘마마배송굿’이 벌어진다. 이 굿은 지역에 따라 ‘손님굿’이나 ‘별상굿’이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는데, 실제 말이나 짚말을 만들어서 반드시 두창신을 전송하는 의식이 수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능화는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에서 “두창신을 전송하는 의식은 말과 마부를 부려 마마신이 탈것을 갖추고, 기타 의장은 벼슬아치의 행차 때와 같이하되 말이 없으면 짚말[芻馬]로 대신한다”라고 했다. 이로써 천연두가 창궐하였을 때 짚말에 두창신을 태워서 배송하는 상징적인 의식이 베풀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마마를 전송할 때 온갖 의장을 갖추고 말(혹은 짚말)을 준비하여 성대한 굿을 하는 데에는 천연두를 공경히 대접하여 [보냄](/topic/보냄)으로써 다시는 들어오지 말라는 염원이 담겨 있다. 의약이 발달하지 못한 지난날에 돌림병의 창궐은 무수한 인명을 빼앗아가는 [공포](/topic/공포)의 대상이었다. 그중에서도 천연두는 가장 무서운 괴질로 인식되었다. 설령 목숨을 부지한다 해도 일생을 곰보로 살아가야 하는 탓에 그 두려움은 더욱 컸던 것이다.
형태짚말은 [마을](/topic/마을)에 따라서 대나무로 만든 죽마(竹馬)나 싸리나무로 만든 말이 사용되며 실물과 흡사한 모습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머리와 갈기는 물론 이목구비와 꼬리, 다리, 고삐까지 정교하게 말의 형태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마마배송굿](/topic/마마배송굿)에서 두창신(痘瘡神)을 전송하는 말은 짚이나 싸리로 만든다. 이 말을 상마(上馬)라고 한다. 상마의 등에는 세 개의 오쟁이를 만들어 단다. 하나는 메를 담고, 두 번째 오쟁이에는 떡과 마부의 수고비, 세 번째 오쟁이에는 과일을 담아 준비한다. 각각의 오쟁이에는 청․홍․황색의 깃발을 꽂고, 상마의 등에는 붉은색 일산(日傘)을 고정하여 세운다. 상마의 머리에는 마등(馬燈)을 의미하는 등심지를 묶고 목에는 [워낭](/topic/워낭)을 매단다.

동제의 제장에 안치되는 짚말도 이와 유사하다. 충남 부여의 괴목정 노신제는 개 크기만 한 짚말이 등장한다. 이 짚말은 몸통의 길이가 120㎝이고 여기에 말머리를 부착한 것인데, 주둥이가 헤벌어진 모습은 질주하는 말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귀는 막대기에 짚을 덧씌워 묶은 다음 머리 양쪽에 꽂았고, 머리와 몸통을 연결한 목 부분은 짚을 거칠게 흘러내리게 하여 갈기를 나타냈다. 말의 다리는 나무막대에 짚을 둘둘 감아 몸통의 앞뒤에 각각 2개씩 찔러 두었는데, 뒷다리가 튼튼해 보이도록 굵게 한 것이 특징이다. 꼬리는 짚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몸통의 끝에 묶되 [볏짚](/topic/볏짚)의 [탈곡](/topic/탈곡)된 면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였다. 고삐는 두 발 남짓 새끼를 꼬아 이것을 주둥이에 재갈을 물리는 방식으로 연결했다. 짚말의 옆구리에는 오쟁이 두 개를 부착하였다. 완성된 짚말의 크기는 꼬리를 포함하여 길이 약 150㎝, 높이 50㎝, 몸통둘레 45~50㎝, 다리 40㎝, 귀 13㎝이다.

동해안 [별신굿](/topic/별신굿)의 ‘말치레 놀이’에 사용되는 짚말은 길이 60cm, 높이 45cm, 몸통의 직경은 15cm 정도이다. 새끼로 고삐를 꼬고, 짚으로 오쟁이 두 개를 만들어서 말 옆구리에 하나씩 달아맨다. 그런가 하면 전남 신안의 고란리 당제에서는 죽마를 사용한다. 대나무로 말의 골격을 만들고, 머리는 짚으로 엮어 단단하게 뭉쳐서 참종이를 씌운 다음 먹으로 눈과 코를 그린다. 귀도 대나무로 만들고 목에서부터 큰 대를 세 갈래로 나누어서 꼬리에 붙이고, 그 위에 짚을 깔아 탈 수 있도록 한다. 양쪽 두 갈래의 대[기둥](/topic/기둥) 안에 발을 넣게 만들고 꼬리도 댓잎으로 만들어 붙인다. 마부가 끌 수 있도록 목줄을 걸고 양쪽에 매어 둔다.
형태짚말은 [마을](/topic/마을)에 따라서 대나무로 만든 죽마(竹馬)나 싸리나무로 만든 말이 사용되며 실물과 흡사한 모습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머리와 갈기는 물론 이목구비와 꼬리, 다리, 고삐까지 정교하게 말의 형태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마마배송굿](/topic/마마배송굿)에서 두창신(痘瘡神)을 전송하는 말은 짚이나 싸리로 만든다. 이 말을 상마(上馬)라고 한다. 상마의 등에는 세 개의 오쟁이를 만들어 단다. 하나는 메를 담고, 두 번째 오쟁이에는 떡과 마부의 수고비, 세 번째 오쟁이에는 과일을 담아 준비한다. 각각의 오쟁이에는 청․홍․황색의 깃발을 꽂고, 상마의 등에는 붉은색 일산(日傘)을 고정하여 세운다. 상마의 머리에는 마등(馬燈)을 의미하는 등심지를 묶고 목에는 [워낭](/topic/워낭)을 매단다.

동제의 제장에 안치되는 짚말도 이와 유사하다. 충남 부여의 괴목정 노신제는 개 크기만 한 짚말이 등장한다. 이 짚말은 몸통의 길이가 120㎝이고 여기에 말머리를 부착한 것인데, 주둥이가 헤벌어진 모습은 질주하는 말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귀는 막대기에 짚을 덧씌워 묶은 다음 머리 양쪽에 꽂았고, 머리와 몸통을 연결한 목 부분은 짚을 거칠게 흘러내리게 하여 갈기를 나타냈다. 말의 다리는 나무막대에 짚을 둘둘 감아 몸통의 앞뒤에 각각 2개씩 찔러 두었는데, 뒷다리가 튼튼해 보이도록 굵게 한 것이 특징이다. 꼬리는 짚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몸통의 끝에 묶되 [볏짚](/topic/볏짚)의 [탈곡](/topic/탈곡)된 면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였다. 고삐는 두 발 남짓 새끼를 꼬아 이것을 주둥이에 재갈을 물리는 방식으로 연결했다. 짚말의 옆구리에는 오쟁이 두 개를 부착하였다. 완성된 짚말의 크기는 꼬리를 포함하여 길이 약 150㎝, 높이 50㎝, 몸통둘레 45~50㎝, 다리 40㎝, 귀 13㎝이다.

동해안 [별신굿](/topic/별신굿)의 ‘말치레 놀이’에 사용되는 짚말은 길이 60cm, 높이 45cm, 몸통의 직경은 15cm 정도이다. 새끼로 고삐를 꼬고, 짚으로 오쟁이 두 개를 만들어서 말 옆구리에 하나씩 달아맨다. 그런가 하면 전남 신안의 고란리 당제에서는 죽마를 사용한다. 대나무로 말의 골격을 만들고, 머리는 짚으로 엮어 단단하게 뭉쳐서 참종이를 씌운 다음 먹으로 눈과 코를 그린다. 귀도 대나무로 만들고 목에서부터 큰 대를 세 갈래로 나누어서 꼬리에 붙이고, 그 위에 짚을 깔아 탈 수 있도록 한다. 양쪽 두 갈래의 대[기둥](/topic/기둥) 안에 발을 넣게 만들고 꼬리도 댓잎으로 만들어 붙인다. 마부가 끌 수 있도록 목줄을 걸고 양쪽에 매어 둔다.
지역사례현행 동제나 [별신굿](/topic/별신굿)에도 [마마배송굿](/topic/마마배송굿)을 차용한 의식이 전승된다. 동해안 별신굿의 손님굿 마지막 제차에는 짚말을 데리고 놀다가 나무에 매어 둠으로써 마마를 배송하고 축원하는 의식이 있다. 이른바 ‘[말놀이](/topic/말놀이)’ 혹은 ‘말치레 놀이’가 그것이다. 또한 전남 고란리 당제에서 [장군](/topic/장군)과 마부가 벌이는 놀이는 이와 대동소이하다. 즉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은 당제가 끝나면 다음날 아침에 신당 주변으로 [농악](/topic/농악)을 치며 모여든다. 이때 장군 역할을 하는 사람이 대나무로 말을 만든다. 장군은 말을 만들어 타고 마부 2명과 함께 대열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며 [제관](/topic/제관)과 엄숙한 대화를 하기도 하고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진종일 놀던 장군 일행은 대열 사이를 빠져나와 동네 앞 개울가에 가서 “병고가 없고 풍년이 들어 도초면민 잘살게 해주시오”라고 축원한 뒤 말을 버리고 달려온다. 말이 지나가면 그냥 보내지 않고 주로 어린아이들을 시켜서 가시나무나 회초리로 두들겨 패게 한다. 이것은 농사가 잘되고 액운을 쫓아낸다고 해서 때리는 것이다. 그래서 말이 회초리를 맞고 나갈 때는 말의 머리 부분 신우대가 확 퍼져야 좋다고 한다.

부여 괴목정에서는 노신제를 지낼 때 미리 만들어 둔 짚말을 제단 옆에 안치한다. [거리굿](/topic/거리굿)을 마치면 섬을 상징하는 오쟁이, 그 양쪽에는 [통북어](/topic/통북어) 두 마리와 과일을 가득 담고 노잣돈으로 사용될 지폐도 놓는다. 짚말을 데리고 나갈 마부의 소임은 구경 나온 아이들에게 맡기는데, 한 아이는 앞에서 말의 고삐를 쥐고, 다른 아이는 뒤에서 말의 몸통과 다리를 든다. 이때 제관이 “번개처럼 내빼라”고 소리를 지르면 전력을 다해 동구 밖으로 뛰어간다. 이는 해마다 마을에 깃든 액운을 짚말이 태우고 나감으로써 모든 악귀를 구축한다는 의미이다. 숨이 턱에 차도록 달려간 아이들은 오쟁이에 실린 제물과 돈은 빼내어 사이좋게 나누어 갖고 짚말은 그냥 길옆에 버리고 돌아온다. 더러는 짚말과 함께 액운이 소멸된다 하여 불태우기도 했으나, 가급적 소각하지 않는 것이 이 마을의 전통이다. 왜냐하면 짚말이 온전하게 살아 있어야 이듬해에도 다시 찾아와서 재액을 싣고 간다는 믿음 때문이다.
지역사례현행 동제나 [별신굿](/topic/별신굿)에도 [마마배송굿](/topic/마마배송굿)을 차용한 의식이 전승된다. 동해안 별신굿의 손님굿 마지막 제차에는 짚말을 데리고 놀다가 나무에 매어 둠으로써 마마를 배송하고 축원하는 의식이 있다. 이른바 ‘[말놀이](/topic/말놀이)’ 혹은 ‘말치레 놀이’가 그것이다. 또한 전남 고란리 당제에서 [장군](/topic/장군)과 마부가 벌이는 놀이는 이와 대동소이하다. 즉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은 당제가 끝나면 다음날 아침에 신당 주변으로 [농악](/topic/농악)을 치며 모여든다. 이때 장군 역할을 하는 사람이 대나무로 말을 만든다. 장군은 말을 만들어 타고 마부 2명과 함께 대열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며 [제관](/topic/제관)과 엄숙한 대화를 하기도 하고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진종일 놀던 장군 일행은 대열 사이를 빠져나와 동네 앞 개울가에 가서 “병고가 없고 풍년이 들어 도초면민 잘살게 해주시오”라고 축원한 뒤 말을 버리고 달려온다. 말이 지나가면 그냥 보내지 않고 주로 어린아이들을 시켜서 가시나무나 회초리로 두들겨 패게 한다. 이것은 농사가 잘되고 액운을 쫓아낸다고 해서 때리는 것이다. 그래서 말이 회초리를 맞고 나갈 때는 말의 머리 부분 신우대가 확 퍼져야 좋다고 한다.

부여 괴목정에서는 노신제를 지낼 때 미리 만들어 둔 짚말을 제단 옆에 안치한다. [거리굿](/topic/거리굿)을 마치면 섬을 상징하는 오쟁이, 그 양쪽에는 [통북어](/topic/통북어) 두 마리와 과일을 가득 담고 노잣돈으로 사용될 지폐도 놓는다. 짚말을 데리고 나갈 마부의 소임은 구경 나온 아이들에게 맡기는데, 한 아이는 앞에서 말의 고삐를 쥐고, 다른 아이는 뒤에서 말의 몸통과 다리를 든다. 이때 제관이 “번개처럼 내빼라”고 소리를 지르면 전력을 다해 동구 밖으로 뛰어간다. 이는 해마다 마을에 깃든 액운을 짚말이 태우고 나감으로써 모든 악귀를 구축한다는 의미이다. 숨이 턱에 차도록 달려간 아이들은 오쟁이에 실린 제물과 돈은 빼내어 사이좋게 나누어 갖고 짚말은 그냥 길옆에 버리고 돌아온다. 더러는 짚말과 함께 액운이 소멸된다 하여 불태우기도 했으나, 가급적 소각하지 않는 것이 이 마을의 전통이다. 왜냐하면 짚말이 온전하게 살아 있어야 이듬해에도 다시 찾아와서 재액을 싣고 간다는 믿음 때문이다.
의의[마마배송굿](/topic/마마배송굿)이나 [마을](/topic/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동제에 짚말이 사용된 것은 말이 지닌 벽사력(辟邪力), 곧 악귀와 병마를 쫓는 주술적인 힘에 기인하는 것이다. 짚말은 말의 생물학적 특성을 적극적으로 차용한 상징물이기도 하다. 말은 1,000m를 1분에 주파하는 준족이다. 게다가 먼 길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는 왕성한 체력을 [가지](/topic/가지)고 있다. 따라서 액운을 싣고 나갈 [동물](/topic/동물)로는 가장 적격이다. 마부가 짚말을 동구 밖으로 데리고 나갈 때 전속력으로 뛰거나 회초리로 마구 때리는 것은 한시바삐 액운을 몰고 가라는 ‘속거천리(速去千里)’의 의미이다. 이뿐만 아니라 오쟁이에 많은 제물을 실려 보내는 것은 잡귀를 잘 대접하고 위무함으로써 더 이상 마을에 얼씬거리지 못하게 하려는 ‘[해물리기](/topic/해물리기)’의 성격이 드리워져 있다. 이는 마치 서해안 당제에서 ‘발심지’나 ‘[띠배](/topic/띠배)’와 같은 [퇴송](/topic/퇴송)선(退送船)에 제물과 [허수아비](/topic/허수아비)를 실려 뜬귀신을 바다 멀리 추방하는 의식과 동일한 상징성을 지닌 것이다.
참고문헌한국의 무 (조흥윤, 정음사, 1983)
다도해의 당제 (최덕원, 학문사, 1984)
신안군 초도면지역 민속종합조사보고 (남도민속학회, 남도민속학연구 창간호, 1991)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 (이능화, 동문선, 1995)
민속문화에 나타난 말의 의미 (표인주, 한국의 마 민속, 집문당, 1999)
전통 연행예술 속의 오브제 연구 (허용호,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괴목정 노신제와 동화 (강성복, 부여문화원, 2003)
한국민속동물론 (천진기, 민속원, 2003)
충청민속문화론 (강성복, 민속원, 2005)
한국무속신앙[사전](/topic/사전)-무속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009)
의의[마마배송굿](/topic/마마배송굿)이나 [마을](/topic/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동제에 짚말이 사용된 것은 말이 지닌 벽사력(辟邪力), 곧 악귀와 병마를 쫓는 주술적인 힘에 기인하는 것이다. 짚말은 말의 생물학적 특성을 적극적으로 차용한 상징물이기도 하다. 말은 1,000m를 1분에 주파하는 준족이다. 게다가 먼 길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는 왕성한 체력을 [가지](/topic/가지)고 있다. 따라서 액운을 싣고 나갈 [동물](/topic/동물)로는 가장 적격이다. 마부가 짚말을 동구 밖으로 데리고 나갈 때 전속력으로 뛰거나 회초리로 마구 때리는 것은 한시바삐 액운을 몰고 가라는 ‘속거천리(速去千里)’의 의미이다. 이뿐만 아니라 오쟁이에 많은 제물을 실려 보내는 것은 잡귀를 잘 대접하고 위무함으로써 더 이상 마을에 얼씬거리지 못하게 하려는 ‘[해물리기](/topic/해물리기)’의 성격이 드리워져 있다. 이는 마치 서해안 당제에서 ‘발심지’나 ‘[띠배](/topic/띠배)’와 같은 [퇴송](/topic/퇴송)선(退送船)에 제물과 [허수아비](/topic/허수아비)를 실려 뜬귀신을 바다 멀리 추방하는 의식과 동일한 상징성을 지닌 것이다.
참고문헌한국의 무 (조흥윤, 정음사, 1983)
다도해의 당제 (최덕원, 학문사, 1984)
신안군 초도면지역 민속종합조사보고 (남도민속학회, 남도민속학연구 창간호, 1991)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 (이능화, 동문선, 1995)
민속문화에 나타난 말의 의미 (표인주, 한국의 마 민속, 집문당, 1999)
전통 연행예술 속의 오브제 연구 (허용호,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괴목정 노신제와 동화 (강성복, 부여문화원, 2003)
한국민속동물론 (천진기, 민속원, 2003)
충청민속문화론 (강성복, 민속원, 2005)
한국무속신앙[사전](/topic/사전)-무속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009)
보고사서울지역 안팎굿 무가자료집김헌선2006
민속원서울굿의 이해한국무속학회2007
보고사서울 진진오기굿 무가자료집김헌선2007
짚말
23846
짚말
짚말
23846
짚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