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7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영돈
    427 2023.02.27
    씻김굿에서 망자의 모습을 상징하는 무구. 씻김굿의 중반부 중 씻김 절차에서 사용된다. 지역에 따라 ‘영돗’, ‘영대’ 등으로도 불린다.
  • 애기씨·동자꽃
    422 2023.02.27
    애기씨와 동자를 상징하는 꽃.
  • 제주시 용담동을 가로질러 흐르는 한천 중 특히 삼동물이라 불리는 깊은 웅덩이가 있는 주변 [마을](/topic/마을)에 있던 내왓당[川外堂]이라는 신당(神堂)에서 모시던 신들의 신상(神像)을 그린 그림. 원래는 12폭이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현재는 남신상 6폭과 여신상 4폭 등 10폭만 남아 있다. 내왓당은 고종 19년(1882)에 헐려 남아 있지 않으며, 현재 이들 무신도는 제주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1991년 6월 4일 제주도 민속자료 제7호로 지정되었다가 2001년 11월 30일 중요민속자료 제240호로 지정되었다.
  • 속연
    413 2023.02.27
    전북 지역 무속의례에서 사용되는 망자의 넋을 상징화한 종이무구. ‘전’·‘넋발’·‘속대’라고도 한다. [겉연](/topic/겉연)과 함께 통틀어 ‘연(緣)’이라고 불린다. 연은 묶음이라는 뜻과 인연의 약자라는, 두 [가지](/topic/가지)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 망자천도굿인 씨끔굿에 사용된다.
  • 불보살번
    409 2023.02.27
    [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에서 굿당의 좌우 측면에 불교의 신들의 명칭을 종이에 적어 붙여 놓은 번(幡).
  • 제금
    407 2023.02.27
    무속에서 주로 [장단](/topic/장단)을 맞추는 악기. 불교와 관련된 굿거리에서는 중요한 무구로 쓰인다. ‘바라’, ‘바랑’, ‘제파리’라고도 한다.
  • 허개등
    406 2023.02.27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과 [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에서 사용하는 굿당 장식물의 하나. 허개등은 대나무를 뼈대로 하고 그 위에 오색 화지를 붙여 굿당 바깥쪽 높은 곳에 매달아놓은 등이다. 흑애등, 학애등, 흐개등, 후개등으로도 일컫는다. 허개등은 걸어놓은 괘등(卦燈)의 하나로 허공에 매단 등이라고 해서 허괘등(虛卦燈)이라고 하거나, 불교의 지화장엄에서 유래한 등이란 의미에서 화개등(花蓋燈)일 가능성이 있다.
  • 장발
    406 2023.02.27
    황해도굿에서 제장을 장식하는 기다란 종이장식으로 신에게 비는 축원의 말을 써 놓은 것이다. 장발을 길게 늘여서 장식하는 것을 ‘장발 띄운다’고 한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 261-18[번지](/topic/번지) 소재의 법수선원(法水禪院) 명부전(冥府殿)에 [봉안](/topic/봉안)되어 있는 산신도(山神圖). 2005년 2월 11일에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28호로 지정되었으며, 소[유자](/topic/유자)와 관리자는 재단법인 선학원이다.
  • 조상대
    391 2023.02.27
    앉은굿 법사가 조상 해원을 하고 망자를 천도할 때 질닦음으로 사용하는 무구. [조상신](/topic/조상신)을 접신시키기 위한 대로써 지역과 법사에 따라서 조상넋대, 영대, 혼대, 망자대로도 불린다.
  • 천왕대
    390 2023.02.27
    부산 지방의 [별신굿](/topic/별신굿) 가운데 밧당 천왕굿에서 사용되는 무구.
  • 칠쇠방울
    387 2023.02.27
    서울굿에서 쓰이는 방울이 7개 달린 무구로, 구비전승 과정에서 와전되어 ‘쥘쇠방울’이라고도 불린다.
  • 청룡도
    381 2023.02.27
    중부 이북 강신무 의례에서 [삼지창](/topic/삼지창)과 함께 월도 대용으로 사용하는 무구. 청룡도(靑龍刀)는 비수라고도 한다. 삼지창과 각각 사용되기도 하지만, 의례에서는 월도 대신 하나의 세트로 사용되어 ‘비수창검’이라 부른다. 혹은 장엄용 무구로 진설되기도 한다.
  • 큰대
    377 2023.02.27
    제주 무속제의 중 ‘[사당](/topic/사당)클’을 매어 하는 큰굿을 할 때 [마당](/topic/마당)에 세우는 큰 깃대.
  • 할미가면
    377 2023.02.27
    동해안 지역의 무속적 [마을](/topic/마을)굿인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서 [탈굿](/topic/탈굿)을 연행할 때 사용되는 종이가면. 할미탈이라고도 부르는데 탈굿 속에서 할미 역할을 맡는 화랭이가 쓴다. 본능적이며 축제화된 할미를 형상화하는데 할미가면은 중요한 기능을 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