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6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심방백중제
    505 2023.02.27
    백중을 맞이하여 심방들이 [단골](/topic/단골)들로부터 곡식을 받아 올리는 제의. 심방이 백중에 벌이는 제의라는 뜻에서 비롯됐다.
  • 전북의 앉은굿
    400 2023.02.27
    전북 지역에서 공연자가 굿판에 앉아 [독경](/topic/독경)을 위주로 하여 공연하는 굿. 이 지역의 앉은굿은 ‘앉은반’이라고도 불린다. 이 굿은 2001년 6월 5일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예능보[유자](/topic/유자)는 [최갑선](/topic/최갑선)(崔甲善)이다.
  • 하직굿
    376 2023.02.27
    제주 지역에서 무업을 하던 심방이 나이가 들어 무업을 그만두기 위하여 신에게 고하는 굿. 하직굿을 달리 ‘하직제’라고도 한다. 하직굿의 하직은 한자어 ‘하직(下直)’에서 비롯된 말이다.
  • 겜심바침
    739 2023.02.27
    서울 지역에서 기자를 위한 축원의례의 하나. ‘삼신축원’이라고도 한다.
  • 단잡이굿
    552 2023.02.27
    ‘단(丹)’이라고 하는 개인 피부병에 대한 [마을](/topic/마을)공동체의 치병 의례. 이 굿은 2000년 1월 11일에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9호’로 지정되었다.
  • 멩감제
    464 2023.02.27
    새해를 맞이하여 해당되는 집안에서 개별적으로 멩감[冥官]을 청하여 모시고 한 해 동안의 무사 안녕과 [생업](/topic/생업) 풍요를 기원하는 의례. 흔히 ‘멩감’, ‘멩감코’라고 한다. 수렵이나 목축을 하는 집안에서 행하는 멩감은 ‘드릇멩감’, ‘[산신멩감](/topic/산신멩감)’이라고 한다. ‘드르’는 들[野], ‘산신’은 수렵・목축의 신, ‘코’는 [고사](/topic/고사)를 각각 의미한다.
  • 산오구굿
    456 2023.02.27
    살아 있는 사람의 재수와 사후 극락천도를 위해서 하는 오구굿의 한 유형.
  • 안택굿
    435 2023.02.27
    정월 또는 시월에 집안을 돌보아주는 여러 신령에게 가정의 평안을 축원하는 의례. 지역에 따라서는 [안택](/topic/안택), 안택[고사](/topic/고사), [무고](/topic/무고)안택, [독경](/topic/독경), 재수굿, 축원굿, 소원굿, 운[수맥](/topic/수맥)이, 성주 달래기, 성주안택, [성주굿](/topic/성주굿), 도신, 도신굿, 동[방제](/topic/방제), 경사굿, 신사굿, [상달고사](/topic/상달고사) 등으로도 불린다.
  • 제주 큰굿
    437 2023.02.27
    제주도 무속의례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굿. 제주 큰굿은 경륜이 있는 큰 심방을 수심방[首巫]으로 하여 굿법을 지키며 연행되는 ‘차례차례 재차례 굿’이다. 이 굿은 2001년 8월 16일 제주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2월 22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에 전해오는 [마을](/topic/마을)굿으로, ‘아기씨’를 주신으로 모시는 굿. 이 굿은 2005년 1월 10일에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33호’로 지정되었다. 굿당은 ‘진퍼리 살군당’, ‘왕십리 애기씨당’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당은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1동 산 125[번지](/topic/번지)에 자리하고 있으며, 2001년에 ‘성동구 향토유적 1호’로 지정되었다.
  • 경기도도당굿
    728 2023.02.27
    서울을 비롯한 한강 이북 지역과 수원·인천 등지에서 [마을](/topic/마을)의 평화와 풍년을 목적으로 매년 혹은 2년이나 그 이상의 해를 걸러 정월 초나 봄, 가을에 정기적으로 행하는 마을단위의 굿. 이 굿은 1990년 10월 10일에 ‘중요무형문화재 제98호’로 지정되었다.
  • 단풍맞이굿
    505 2023.02.27
    단풍맞이굿은 가을의 햇곡식을 거두고 자연의 풍광에 걸맞게 [가을걷이](/topic/가을걷이)를 밑천삼아서 올리는 천신(薦新)굿.
  • 묵은진오기굿
    460 2023.02.27
    서울 지역에서 행해지는 망자천도굿인 진오기굿의 한 종류. 망자가 죽은 지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행하는 진오기굿으로, 대개 [탈상](/topic/탈상) 이후에 행하는 진오기굿을 ‘묵은진오기굿’이라고 부른다.
  • 살맥이
    513 2023.02.27
    전라도 일대의 굿에서 작은 굿으로 하는 것으로, 특정한 굿 의뢰자의 살을 풀기 위해 하는 굿. 진도 지역에서는 이를 ‘살맥이손등’으로 부르고, 순천 지역에서는 ‘살맥이굿’이라고 한다.
  • 액막이굿
    473 2023.02.27
    개인이나 가정 또는 [마을](/topic/마을)에 액운이나 그 외의 불행한 일 등을 미리 막기 위해 무당이 하는 무속 의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