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곡밥

한국무속신앙사전
중요한 곡식 다섯 [가지](/topic/가지)로 지은 밥. 주로 음력 정월 열나흗날이나 대보름날에 지어서 집안의 여러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올린 다음 식구나 이웃 간에 나누어 먹는다. 더러는 이월영등일과 [용왕제](/topic/용왕제)를 지내기 위해 [오곡](/topic/오곡)밥을 지어 올리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찰밥](/topic/찰밥), 잡곡밥, 오곡잡밥 등으로 부른다.
definition
중요한 곡식 다섯 [가지](/topic/가지)로 지은 밥. 주로 음력 정월 열나흗날이나 대보름날에 지어서 집안의 여러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올린 다음 식구나 이웃 간에 나누어 먹는다. 더러는 이월영등일과 [용왕제](/topic/용왕제)를 지내기 위해 [오곡](/topic/오곡)밥을 지어 올리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찰밥](/topic/찰밥), 잡곡밥, 오곡잡밥 등으로 부른다.
mp3Cnt
0
wkorname
배영동
정의중요한 곡식 다섯 [가지](/topic/가지)로 지은 밥. 주로 음력 정월 열나흗날이나 대보름날에 지어서 집안의 여러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올린 다음 식구나 이웃 간에 나누어 먹는다. 더러는 이월영등일과 [용왕제](/topic/용왕제)를 지내기 위해 [오곡](/topic/오곡)밥을 지어 올리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찰밥](/topic/찰밥), 잡곡밥, 오곡잡밥 등으로 부른다.
정의중요한 곡식 다섯 [가지](/topic/가지)로 지은 밥. 주로 음력 정월 열나흗날이나 대보름날에 지어서 집안의 여러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올린 다음 식구나 이웃 간에 나누어 먹는다. 더러는 이월영등일과 [용왕제](/topic/용왕제)를 지내기 위해 [오곡](/topic/오곡)밥을 지어 올리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찰밥](/topic/찰밥), 잡곡밥, 오곡잡밥 등으로 부른다.
내용정월 열나흗날이나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오곡](/topic/오곡)밥, [찰밥](/topic/찰밥), 잡곡밥을 지을 때는 커다란 가마솥에 밥을 지어서 집안 곳곳의 [가신](/topic/가신)이나 잡신에게 올린다. 어떤 곳에서는 [부엌](/topic/부엌)의 조왕에게만큼은 밥솥째로 올린다. 오곡밥을 다른 반찬과 함께 상에 차려서 올리기도 하고, 반찬 없이 오곡밥 그릇에 수저만 갖추어서 올리기도 한다. 그런 다음 가족이 나누어 먹는다. 가신에게 오곡밥을 올리는 풍속은 가신이 그 집의 일 년 농사와 가족의 건강 및 풍요를 관장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때로는 하찮은 신격이 있는 듯한 [외양간](/topic/외양간), 변소 등에도 오곡밥을 올리거나 뿌린다. 하찮은 신격도 사람에게 액운을 가져다줄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즐겁게 한 셈이다. 드물게는 정월대보름날에 소에게 오곡밥과 나물을 먹이기도 했다. 농사짓는 데 가장 큰 일꾼인 소도 평소에 먹지 못하는 오곡밥을 먹고 힘을 길러야 일을 잘하고, 그래야 풍년이 든다는 의미일 것이다.

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 박백수씨 댁에서는 매년 대보름에 찰밥을 올리고 [고사](/topic/고사)를 지낸다. 순흥면 일대 주민들은 대보름날 가장 이른 시간에 ‘[두레](/topic/두레)골 성황제’를 지낸다. 박씨는 성황제에 참여했다가 집으로 와서 대보름고사를 올렸다. [안방](/topic/안방)에 마련한 고사상에는 찰밥(오곡잡밥), 콩나물국, 냉수, 나물([배추](/topic/배추)나물 한 그릇, 여러 [가지](/topic/가지) 함께 담은 나물 한 그릇), 탕(쇠고기, 무, 두부 혼합), 과일([대추](/topic/대추), 밤, 곶감 한 접시씩), [강정](/topic/강정)(한 접시), 술(막걸리 한 잔), 촛불(두 자루)을 차렸다. 찰밥에는 숟가락을 꽂고 부부가 번갈아가면서 술 한 잔씩 올리고 절을 하였다. 부인은 [비손](/topic/비손)을 겸했다. 고사가 끝나자 곧바로 [음복](/topic/음복)을 하였다. 음복상에는 과일을 제외하고 고사상에 올린 모든 종류의 음식이 차려졌다.

한편 음력 이월초하룻날 ‘영등할머니’를 모실 때 오곡밥을 올리는 사례도 있다. 이것을 ‘농사밥’, ‘바람밥’이라고 불렀다. 영등할머니는 바람을 관장하는 신이다. 영등날의 기상상태를 통해 일 년 농사를 미리 점치는 풍속이 있는 것으로 보아 농사밥이라는 오곡밥에도 농사의 풍년을 비는 의미가 있다.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상원](/topic/상원)’조에 보면 보름에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로 곡식 이삭을 매어 단 장대를 세우는 풍속이 소개되어 있다. 농가에서 이처럼 장대하고 무성하게 자라서 결실을 맺은 곡식 형상의 솟대를 만들어 세우는 것은 모든 곡식(또는 오곡)이 풍요롭게 결실을 맺기를 기원하는 의미이다. 따라서 정월 열나흗날이나 대보름날에 오곡밥을 먹는 것도 그 연장선상에서 의미를 지닌다.

한편 오곡밥이 아니라 조리하지 않은 오곡으로 의례를 행하는 사례도 있다. 강원도 태백시 구문소동 동점[마을](/topic/마을)에서는 동토를 제거하기 위해 쌀, 콩, 팥 등 오곡잡곡을 볶아서 동토가 난 곳에 뿌리거나 부적을 써 붙이기도 한다. 제주도 제주시 한경면 저지리에서는 ‘조왕동티’로 눈이 심하게 아플 때, ‘하늘레기’(하눌타리) 안에 죽을 쒀서 담고 오곡과 쇠붙이 다섯 조각을 동티가 난 장소에 묻는다고 한다. 이런 주술은 오곡이 지닌 어떤 신성한 힘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겠다는 뜻이다.
내용정월 열나흗날이나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오곡](/topic/오곡)밥, [찰밥](/topic/찰밥), 잡곡밥을 지을 때는 커다란 가마솥에 밥을 지어서 집안 곳곳의 [가신](/topic/가신)이나 잡신에게 올린다. 어떤 곳에서는 [부엌](/topic/부엌)의 조왕에게만큼은 밥솥째로 올린다. 오곡밥을 다른 반찬과 함께 상에 차려서 올리기도 하고, 반찬 없이 오곡밥 그릇에 수저만 갖추어서 올리기도 한다. 그런 다음 가족이 나누어 먹는다. 가신에게 오곡밥을 올리는 풍속은 가신이 그 집의 일 년 농사와 가족의 건강 및 풍요를 관장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때로는 하찮은 신격이 있는 듯한 [외양간](/topic/외양간), 변소 등에도 오곡밥을 올리거나 뿌린다. 하찮은 신격도 사람에게 액운을 가져다줄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즐겁게 한 셈이다. 드물게는 정월대보름날에 소에게 오곡밥과 나물을 먹이기도 했다. 농사짓는 데 가장 큰 일꾼인 소도 평소에 먹지 못하는 오곡밥을 먹고 힘을 길러야 일을 잘하고, 그래야 풍년이 든다는 의미일 것이다.

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 박백수씨 댁에서는 매년 대보름에 찰밥을 올리고 [고사](/topic/고사)를 지낸다. 순흥면 일대 주민들은 대보름날 가장 이른 시간에 ‘[두레](/topic/두레)골 성황제’를 지낸다. 박씨는 성황제에 참여했다가 집으로 와서 대보름고사를 올렸다. [안방](/topic/안방)에 마련한 고사상에는 찰밥(오곡잡밥), 콩나물국, 냉수, 나물([배추](/topic/배추)나물 한 그릇, 여러 [가지](/topic/가지) 함께 담은 나물 한 그릇), 탕(쇠고기, 무, 두부 혼합), 과일([대추](/topic/대추), 밤, 곶감 한 접시씩), [강정](/topic/강정)(한 접시), 술(막걸리 한 잔), 촛불(두 자루)을 차렸다. 찰밥에는 숟가락을 꽂고 부부가 번갈아가면서 술 한 잔씩 올리고 절을 하였다. 부인은 [비손](/topic/비손)을 겸했다. 고사가 끝나자 곧바로 [음복](/topic/음복)을 하였다. 음복상에는 과일을 제외하고 고사상에 올린 모든 종류의 음식이 차려졌다.

한편 음력 이월초하룻날 ‘영등할머니’를 모실 때 오곡밥을 올리는 사례도 있다. 이것을 ‘농사밥’, ‘바람밥’이라고 불렀다. 영등할머니는 바람을 관장하는 신이다. 영등날의 기상상태를 통해 일 년 농사를 미리 점치는 풍속이 있는 것으로 보아 농사밥이라는 오곡밥에도 농사의 풍년을 비는 의미가 있다.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상원](/topic/상원)’조에 보면 보름에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로 곡식 이삭을 매어 단 장대를 세우는 풍속이 소개되어 있다. 농가에서 이처럼 장대하고 무성하게 자라서 결실을 맺은 곡식 형상의 솟대를 만들어 세우는 것은 모든 곡식(또는 오곡)이 풍요롭게 결실을 맺기를 기원하는 의미이다. 따라서 정월 열나흗날이나 대보름날에 오곡밥을 먹는 것도 그 연장선상에서 의미를 지닌다.

한편 오곡밥이 아니라 조리하지 않은 오곡으로 의례를 행하는 사례도 있다. 강원도 태백시 구문소동 동점[마을](/topic/마을)에서는 동토를 제거하기 위해 쌀, 콩, 팥 등 오곡잡곡을 볶아서 동토가 난 곳에 뿌리거나 부적을 써 붙이기도 한다. 제주도 제주시 한경면 저지리에서는 ‘조왕동티’로 눈이 심하게 아플 때, ‘하늘레기’(하눌타리) 안에 죽을 쒀서 담고 오곡과 쇠붙이 다섯 조각을 동티가 난 장소에 묻는다고 한다. 이런 주술은 오곡이 지닌 어떤 신성한 힘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겠다는 뜻이다.
역사[오곡](/topic/오곡)밥의 역사는 두 [가지](/topic/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내용물로서 오곡밥과 명칭으로서의 오곡밥이다. 오늘날 오곡밥의 시원에 해당하는 형태로 볼 수 있는 밥은 『[삼국유사](/topic/삼국유사)(三國遺事)』 ‘사금갑(射琴匣)’조에 ‘[찰밥](/topic/찰밥)[糯飯]’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나타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소지왕이 천천정(天泉亭)에 행차를 나갔다가 쥐, 까마귀, 돼지의 신이한 행동으로 인하여 자신의 목숨을 건지고 왕실의 분란을 막을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쥐가 까마귀 가는 곳을 따라가라고 하여 이를 추적하는 데 말을 탄 기사가 동원되었다. 이로써 나라 풍속에 매년 정월 첫 번째 돼지날․쥐날․말날에는 모든 일을 삼가고 행동을 조심하며, 15일을 [오기일](/topic/오기일)(烏忌日: 까마귀 제삿날)이라 하여 찰밥[糯飯]으로 제사지내고 있다. 항간에서는 이것을 달도(怛忉)라 하니 슬퍼하고 근심해서 모든 일을 금기하는 뜻이다.”

이 기록을 보면 까마귀는 왕을 살린 영험한 조류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오곡밥이 아닌 찰밥을 지어 까마귀에게 제사를 지낸 것이다. 이것이 오늘날 대보름 오곡밥의 연원이다. 왕을 살리는 데 기여한 다른 [동물](/topic/동물)은 모두 띠동물이지만 오직 까마귀만이 띠동물이 아니란 점 또한 주목된다. 둘째는 『동경잡기(東京雜記)』 ‘풍속’조 나반제오[糯飯祭烏]항, 『[경도잡지](/topic/경도잡지)(京都雜志)』,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상원](/topic/상원)(上元)’조에는 ‘찰밥(糯飯 또는 糯米飯)’이라 하였다. 또 『[열양세시기](/topic/열양세시기)(迾陽歲時記)』에는 ‘[약밥](/topic/약밥)[藥飯]’이라고 하였다. 다만 『경도잡지』에는 찰밥과 약밥이 동시에 기록되고 있다. 홍석모(洪錫謨, 1781~1857)의 『동국세시기』에는 찰밥과 별도로 ‘오곡잡밥[五穀雜飯]’이 처음 등장한다. “정월대보름날에 오곡잡밥을 지어서 이웃과 나누어 먹는다. 특히 영남지역에서는 하루 종일 이 밥을 먹는다. 이렇게 밥을 나누어 먹는 것은 제삿밥을 나누어 먹는 옛 풍습을 본받은 것이다.” 이는 명칭상 오곡밥에 해당하는 최초의 ‘오곡잡밥’에 대한 기록이다.
역사[오곡](/topic/오곡)밥의 역사는 두 [가지](/topic/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내용물로서 오곡밥과 명칭으로서의 오곡밥이다. 오늘날 오곡밥의 시원에 해당하는 형태로 볼 수 있는 밥은 『[삼국유사](/topic/삼국유사)(三國遺事)』 ‘사금갑(射琴匣)’조에 ‘[찰밥](/topic/찰밥)[糯飯]’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나타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소지왕이 천천정(天泉亭)에 행차를 나갔다가 쥐, 까마귀, 돼지의 신이한 행동으로 인하여 자신의 목숨을 건지고 왕실의 분란을 막을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쥐가 까마귀 가는 곳을 따라가라고 하여 이를 추적하는 데 말을 탄 기사가 동원되었다. 이로써 나라 풍속에 매년 정월 첫 번째 돼지날․쥐날․말날에는 모든 일을 삼가고 행동을 조심하며, 15일을 [오기일](/topic/오기일)(烏忌日: 까마귀 제삿날)이라 하여 찰밥[糯飯]으로 제사지내고 있다. 항간에서는 이것을 달도(怛忉)라 하니 슬퍼하고 근심해서 모든 일을 금기하는 뜻이다.”

이 기록을 보면 까마귀는 왕을 살린 영험한 조류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오곡밥이 아닌 찰밥을 지어 까마귀에게 제사를 지낸 것이다. 이것이 오늘날 대보름 오곡밥의 연원이다. 왕을 살리는 데 기여한 다른 [동물](/topic/동물)은 모두 띠동물이지만 오직 까마귀만이 띠동물이 아니란 점 또한 주목된다. 둘째는 『동경잡기(東京雜記)』 ‘풍속’조 나반제오[糯飯祭烏]항, 『[경도잡지](/topic/경도잡지)(京都雜志)』,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상원](/topic/상원)(上元)’조에는 ‘찰밥(糯飯 또는 糯米飯)’이라 하였다. 또 『[열양세시기](/topic/열양세시기)(迾陽歲時記)』에는 ‘[약밥](/topic/약밥)[藥飯]’이라고 하였다. 다만 『경도잡지』에는 찰밥과 약밥이 동시에 기록되고 있다. 홍석모(洪錫謨, 1781~1857)의 『동국세시기』에는 찰밥과 별도로 ‘오곡잡밥[五穀雜飯]’이 처음 등장한다. “정월대보름날에 오곡잡밥을 지어서 이웃과 나누어 먹는다. 특히 영남지역에서는 하루 종일 이 밥을 먹는다. 이렇게 밥을 나누어 먹는 것은 제삿밥을 나누어 먹는 옛 풍습을 본받은 것이다.” 이는 명칭상 오곡밥에 해당하는 최초의 ‘오곡잡밥’에 대한 기록이다.
형태[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오곡](/topic/오곡)밥은 이름도 오곡밥, [찰밥](/topic/찰밥), [약밥](/topic/약밥), 잡곡밥 등으로 다양하다; 재료 또한 제법 융통성이 있었다. 오곡밥의 재료가 되는 오곡은 대체로 찹쌀, 팥, [수수](/topic/수수), 차조 또는 [기장](/topic/기장), 콩으로 파악된다. 그것도 반드시 5종의 곡식을 넣지 않는 경우가 더러 있다. 찹쌀이나 차조와 같이 찰기 많은 곡식을 넣은 것은 곡종이 같아도 속성에 차이가 있는 곡식을 이용했다는 뜻이다. 이는 평소와 다른 방식으로 조리하는 의례음식의 특수성에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속성을 무시하고 곡종을 중심으로 오곡밥의 재료를 다시 정리하면 쌀, 팥, 수수, 조 또는 기장, 콩이 된다. 어떤 지역에서는 찹쌀 대신 멥쌀을 이용하기도 하며, [보리](/topic/보리)쌀을 넣는 사례도 있다. 그러나 보리쌀은 평소 흔히 먹는 것이어서 일반적으로 오곡밥이라는 의례음식에서 제외되는 편이다.

오곡밥의 재료가 고정적이지 않은데도 그 이름을 오곡밥이라고 부른다는 사실은 구성물의 내용보다 오곡 개념을 중시한다는 뜻이다. 즉 오곡밥에서 명명되는 오곡은 구체적인 5종 곡식이라기보다 추상적인 5종 주곡을 말한다. 그러면서 오곡의 내용 구성은 개별적․지역적 편차가 있다 하더라도 일반인에게 현실적이며 실제적인 5종 주곡이다.

오곡밥이라는 말은 어느 정도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경향을 띤다. 그러나 경상도와 전라도지역에서는 ‘찰밥’이나 ‘잡곡밥’이라는 이름을 많이 썼고, 경기․충청․강원도지역에서는 주로 ‘오곡밥’이라고 불렀다. 찰밥이나 잡곡밥이라고 하는 지역에서도 오곡을 넣는다고 하는 사례가 많은 편이다. 그러나 더러는 찹쌀, 팥, 밤, [대추](/topic/대추), 곶감 등을 재료로 하여 짓기도 하였다. 반면에 충청․경기도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 오곡밥의 재료는 찹쌀, 팥, 수수, 차조 또는 기장, 콩이었다. 또한 전국적으로 경제력이 있는 집에서 주로 먹은 ‘약밥’의 재료는 찹쌀, 팥, 밤, 대추, 곶감, 꿀이었다. 그런가하면 약밥은 찰밥이나 오곡밥과 달리 대보름 별식의 기본식이라기보다 추가식에 해당한다. 『[경도잡지](/topic/경도잡지)』에는 ‘찰밥’에 대추, 밤, 잣을 넣고 꿀, 기름, 간장을 넣어 버무려서 다시 찐 것을 ‘약밥’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약밥은 찰밥에서 다시 변형․파생된 음식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적어도 대보름을 전후하여 먹는 찰밥, 약밥, 오곡밥은 동일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일 가능성이 크다. 다만 찰밥을 먹는다고 하는 지역은 평소에 주로 먹는 메진 음식과 다른 차진 음식을 중시하고 오곡밥을 먹는다는 곳에서는 대표적인 곡종을 두루 갖춘 오곡을 중시하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약밥은 글자 그대로 약용이나 의례용, 주술용으로 먹는다는 사실을 강조한 표현이다.
형태[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오곡](/topic/오곡)밥은 이름도 오곡밥, [찰밥](/topic/찰밥), [약밥](/topic/약밥), 잡곡밥 등으로 다양하다; 재료 또한 제법 융통성이 있었다. 오곡밥의 재료가 되는 오곡은 대체로 찹쌀, 팥, [수수](/topic/수수), 차조 또는 [기장](/topic/기장), 콩으로 파악된다. 그것도 반드시 5종의 곡식을 넣지 않는 경우가 더러 있다. 찹쌀이나 차조와 같이 찰기 많은 곡식을 넣은 것은 곡종이 같아도 속성에 차이가 있는 곡식을 이용했다는 뜻이다. 이는 평소와 다른 방식으로 조리하는 의례음식의 특수성에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속성을 무시하고 곡종을 중심으로 오곡밥의 재료를 다시 정리하면 쌀, 팥, 수수, 조 또는 기장, 콩이 된다. 어떤 지역에서는 찹쌀 대신 멥쌀을 이용하기도 하며, [보리](/topic/보리)쌀을 넣는 사례도 있다. 그러나 보리쌀은 평소 흔히 먹는 것이어서 일반적으로 오곡밥이라는 의례음식에서 제외되는 편이다.

오곡밥의 재료가 고정적이지 않은데도 그 이름을 오곡밥이라고 부른다는 사실은 구성물의 내용보다 오곡 개념을 중시한다는 뜻이다. 즉 오곡밥에서 명명되는 오곡은 구체적인 5종 곡식이라기보다 추상적인 5종 주곡을 말한다. 그러면서 오곡의 내용 구성은 개별적․지역적 편차가 있다 하더라도 일반인에게 현실적이며 실제적인 5종 주곡이다.

오곡밥이라는 말은 어느 정도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경향을 띤다. 그러나 경상도와 전라도지역에서는 ‘찰밥’이나 ‘잡곡밥’이라는 이름을 많이 썼고, 경기․충청․강원도지역에서는 주로 ‘오곡밥’이라고 불렀다. 찰밥이나 잡곡밥이라고 하는 지역에서도 오곡을 넣는다고 하는 사례가 많은 편이다. 그러나 더러는 찹쌀, 팥, 밤, [대추](/topic/대추), 곶감 등을 재료로 하여 짓기도 하였다. 반면에 충청․경기도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 오곡밥의 재료는 찹쌀, 팥, 수수, 차조 또는 기장, 콩이었다. 또한 전국적으로 경제력이 있는 집에서 주로 먹은 ‘약밥’의 재료는 찹쌀, 팥, 밤, 대추, 곶감, 꿀이었다. 그런가하면 약밥은 찰밥이나 오곡밥과 달리 대보름 별식의 기본식이라기보다 추가식에 해당한다. 『[경도잡지](/topic/경도잡지)』에는 ‘찰밥’에 대추, 밤, 잣을 넣고 꿀, 기름, 간장을 넣어 버무려서 다시 찐 것을 ‘약밥’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약밥은 찰밥에서 다시 변형․파생된 음식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적어도 대보름을 전후하여 먹는 찰밥, 약밥, 오곡밥은 동일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일 가능성이 크다. 다만 찰밥을 먹는다고 하는 지역은 평소에 주로 먹는 메진 음식과 다른 차진 음식을 중시하고 오곡밥을 먹는다는 곳에서는 대표적인 곡종을 두루 갖춘 오곡을 중시하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약밥은 글자 그대로 약용이나 의례용, 주술용으로 먹는다는 사실을 강조한 표현이다.
지역사례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언제말과 안말에서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오곡](/topic/오곡)밥과 나물을 터주와 성주 등 [가신](/topic/가신)에게 올리고 배 밭에도 한 그릇 가져다 놓는다. 부인이 음식을 올리고 마음속으로 [비손](/topic/비손)한 다음 거두어들인다. [고사](/topic/고사)라고 하지 않고 그저 집안을 지켜주는 가신과 조상, 이 댁 농사의 중심인 배 밭에 ‘정성을 드리는 것’이라고 한다. 시흥시 계수동 건지정[마을](/topic/마을)에서는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보름고사](/topic/보름고사)’를 지낸다. 이때 오곡밥을 해먹고 나서 팥 [시루떡](/topic/시루떡)을 쪄서 고사를 지낼 때와 마찬[가지](/topic/가지)로 성주, 터주, 칠성에 올리고 축원한 다음 가족과 이웃이 나눠 먹는다.

경북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에서는 정월대보름날 아침에 [찰밥](/topic/찰밥)(오곡밥)을 지어 먹는다. 남보다 먼저 떠온 용물로 지은 찰밥을 각별히 ‘용밥’이라고 부른다. 고령군 쌍림면 하거1리 학곡마을에서는 정월 대보름날에 용왕을 먹인다. 용왕은 신작로 밖의 냇가에 가서 먹였다. 이때 사용하는 제물로 잡곡밥, 나물, 소금, 떡을 준비해 간다.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에서는 정월대보름날 ‘농사밥’을 지어 조왕, 시준, 성주, 나락창고, 두지 등에 올린다. 농사밥은 좁쌀, 찹쌀, 멥쌀, 콩, 팥으로 지은 오곡밥이다. 성주군 용암면 계상리 안조실과 약밭골에서는 이월초하룻날에는 ‘영등할매’가 내려온다고 한다. 영등은 [부엌](/topic/부엌)의 [[부뚜](/topic/부뚜)막](/topic/부뚜막) 위에 음식을 차리고 위한다. 가정마다 차리는 음식은 자기 성의대로 장만한다. 밥 또한 가정에 따라 흰밥을 하거나 오곡밥을 한다.

경남 합천군 야로면 묵촌리 도동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날에 ‘농사밥’을 짓는다. 농사밥은 잡곡밥이다. 이를 ‘찰밥’이라고 한다. 밥은 솥에다 가득 해서 먼저 부엌에서 조왕을 위한 다음 방에 들어가 조상을 위한다. 김해시 주촌면 농소리 농소마을에서는 이월 초하룻날에 영동할매를 모시기 위해 바람을 올린다. 바람을 올릴 때는 잡곡밥(오곡밥)을 한다. 이를 ‘바람밥’이라고도 부른다. 짚단을 하나 깔아두고 양푼에 밥을 담아서 나물과 함께 [장독대](/topic/장독대)에 정성껏 올린다. 또한 박바가지에 물을 가득 떠서 바치고 소지를 올리면서 일 년 농사가 잘되게 해달라고 기원한다.

전남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갈산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날에 오곡밥을 지어 성줏상, 지앙상, 선영상을 차렸다. 소가 있을 경우 소 옆에 오곡밥과 나물을 올린 상을 차려주었다. 곡성군 입면 약천리 약천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날에 철륭을 위한 찰밥을 마련한다. 철륭은 집의 터를 관장하는 신격이다. 지신, 터주신이라고도 한다. 철륭이 센 곳, 즉 집터의 기운이 센 곳에서는 그 기운을 누르기 위해 정월대보름날 저녁에 팥이 든 찰밥을 해서 장독대에 놓는다. 담양군 용면 용연리 분통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날에 오곡밥을 해서 문 앞에 놓아둔다. 이 밥을 ‘거릿밥’이라고 한다. 오곡밥을 차려놓기도 하지만 집안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뿌려놓고 잡귀를 몰아내기도 한다.

충북 청원군 남이면 외천리 외천2구 담안·진바위 마을에서는 [거리제](/topic/거리제)를 정월 열사흗날에 주로 지낸다. 짚을 열십자로 깔고 그 위에 제물을 차린다. 제물은 오곡밥, 막걸리, 팥덕, 청수, 나물, 삼색실과, 밤, [대추](/topic/대추), 옥춘 등이다. 충남 금산군 남일면 신동리 사기소마을에서는 예전에 정월 열나흗날 저녁까지 [보리](/topic/보리)밥을 먹고 대보름날 아침에 오곡밥을 먹었다. 대보름날 차례를 지낼 때는 성주께 양푼처럼 큰 그릇에 오곡밥을 퍼서 숟가락을 꽂아 올리고 나물도 종류별로 담아서 올렸다.
지역사례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언제말과 안말에서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오곡](/topic/오곡)밥과 나물을 터주와 성주 등 [가신](/topic/가신)에게 올리고 배 밭에도 한 그릇 가져다 놓는다. 부인이 음식을 올리고 마음속으로 [비손](/topic/비손)한 다음 거두어들인다. [고사](/topic/고사)라고 하지 않고 그저 집안을 지켜주는 가신과 조상, 이 댁 농사의 중심인 배 밭에 ‘정성을 드리는 것’이라고 한다. 시흥시 계수동 건지정[마을](/topic/마을)에서는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보름고사](/topic/보름고사)’를 지낸다. 이때 오곡밥을 해먹고 나서 팥 [시루떡](/topic/시루떡)을 쪄서 고사를 지낼 때와 마찬[가지](/topic/가지)로 성주, 터주, 칠성에 올리고 축원한 다음 가족과 이웃이 나눠 먹는다.

경북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에서는 정월대보름날 아침에 [찰밥](/topic/찰밥)(오곡밥)을 지어 먹는다. 남보다 먼저 떠온 용물로 지은 찰밥을 각별히 ‘용밥’이라고 부른다. 고령군 쌍림면 하거1리 학곡마을에서는 정월 대보름날에 용왕을 먹인다. 용왕은 신작로 밖의 냇가에 가서 먹였다. 이때 사용하는 제물로 잡곡밥, 나물, 소금, 떡을 준비해 간다. 청도군 풍각면 차산리에서는 정월대보름날 ‘농사밥’을 지어 조왕, 시준, 성주, 나락창고, 두지 등에 올린다. 농사밥은 좁쌀, 찹쌀, 멥쌀, 콩, 팥으로 지은 오곡밥이다. 성주군 용암면 계상리 안조실과 약밭골에서는 이월초하룻날에는 ‘영등할매’가 내려온다고 한다. 영등은 [부엌](/topic/부엌)의 [[부뚜](/topic/부뚜)막](/topic/부뚜막) 위에 음식을 차리고 위한다. 가정마다 차리는 음식은 자기 성의대로 장만한다. 밥 또한 가정에 따라 흰밥을 하거나 오곡밥을 한다.

경남 합천군 야로면 묵촌리 도동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날에 ‘농사밥’을 짓는다. 농사밥은 잡곡밥이다. 이를 ‘찰밥’이라고 한다. 밥은 솥에다 가득 해서 먼저 부엌에서 조왕을 위한 다음 방에 들어가 조상을 위한다. 김해시 주촌면 농소리 농소마을에서는 이월 초하룻날에 영동할매를 모시기 위해 바람을 올린다. 바람을 올릴 때는 잡곡밥(오곡밥)을 한다. 이를 ‘바람밥’이라고도 부른다. 짚단을 하나 깔아두고 양푼에 밥을 담아서 나물과 함께 [장독대](/topic/장독대)에 정성껏 올린다. 또한 박바가지에 물을 가득 떠서 바치고 소지를 올리면서 일 년 농사가 잘되게 해달라고 기원한다.

전남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갈산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날에 오곡밥을 지어 성줏상, 지앙상, 선영상을 차렸다. 소가 있을 경우 소 옆에 오곡밥과 나물을 올린 상을 차려주었다. 곡성군 입면 약천리 약천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날에 철륭을 위한 찰밥을 마련한다. 철륭은 집의 터를 관장하는 신격이다. 지신, 터주신이라고도 한다. 철륭이 센 곳, 즉 집터의 기운이 센 곳에서는 그 기운을 누르기 위해 정월대보름날 저녁에 팥이 든 찰밥을 해서 장독대에 놓는다. 담양군 용면 용연리 분통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날에 오곡밥을 해서 문 앞에 놓아둔다. 이 밥을 ‘거릿밥’이라고 한다. 오곡밥을 차려놓기도 하지만 집안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뿌려놓고 잡귀를 몰아내기도 한다.

충북 청원군 남이면 외천리 외천2구 담안·진바위 마을에서는 [거리제](/topic/거리제)를 정월 열사흗날에 주로 지낸다. 짚을 열십자로 깔고 그 위에 제물을 차린다. 제물은 오곡밥, 막걸리, 팥덕, 청수, 나물, 삼색실과, 밤, [대추](/topic/대추), 옥춘 등이다. 충남 금산군 남일면 신동리 사기소마을에서는 예전에 정월 열나흗날 저녁까지 [보리](/topic/보리)밥을 먹고 대보름날 아침에 오곡밥을 먹었다. 대보름날 차례를 지낼 때는 성주께 양푼처럼 큰 그릇에 오곡밥을 퍼서 숟가락을 꽂아 올리고 나물도 종류별로 담아서 올렸다.
의의한 해가 시작될 때 일년 동안 무사하고 평안하며 그해 풍년이 들기를 바라는 의식은 고대부터 있었다. [오곡](/topic/오곡)밥을 먹는 풍속은 연초에 해당하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그해 농사에 풍년이 들고 사람들이 건강하기를 바란 민속의 하나이다. 다만 오곡밥을 사람이 먹기 전에 집을 지켜주는 [가신](/topic/가신)에게 먼저 바쳐서 가신을 존중하고 즐겁게 함으로써 온 가정이 평안하고 풍요롭게 될 수 있었다고 믿었다. 그런데 이것이 조선 후기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에 와서 [찰밥](/topic/찰밥)과 오곡잡밥으로 분화되었다. 그러므로 남부지방에서는 지금도 오곡밥이라는 말 이외에 찰밥이나 잡곡밥이라는 말을 널리 쓰고 있다. 이름을 무엇으로 부르든지 찹쌀을 비롯한 오곡이 들어간다는 의식이 있다는 점에서 대체로 비슷하다. 오곡은 구체적으로 한정된 5종 주곡이라기보다 대표성이 있는 5종 주곡이라는 뜻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오곡의 구성물은 시대에 따라 유동적이었다. 조선시대 후기의 상황에서 오곡은 [보리](/topic/보리), 콩, 조, 팥, [기장](/topic/기장) 가운데서 4종과 쌀이었다. 그런데 오곡밥은 찹쌀, 팥, [수수](/topic/수수), 차조 또는 기장, 콩 등으로 짓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오곡밥에서는 오곡 가운데 평소에 자주 접하는 보리가 빠지고, 쌀은 찹쌀이며, 조도 차조로 바뀌었다. 찰진 곡식으로 지은 밥이라는 점에서 오곡밥은 신라 소지왕 때 찰밥의 전통을 아직도 잘 간직하고 있다. 오곡밥을 먹는다는 것은 오곡이라는 곡식을 고루 갖추어 지었다는 의미이고, 오곡을 다 지었다면 모든 농사를 지었다는 의미가 된다. 왜냐하면 오곡은 본디 오행사상에 입각하여 모든 곡식이라는 뜻으로 등장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오곡밥을 지으면 가족을 보호하고 도와준다고 여긴 가신들에게 먼저 올린 다음에 먹은 것이다. 나아가 이웃끼리도 나누어 먹는 것은 행여 가난하여 먹지 못한 이웃에게도 베푸는 의미다 된다. 또한 정월대보름날뿐만 아니라 이월영등일에도 오곡밥을 올리는 등 모두 일년 농사의 시작단계에서 풍년을 염원하고 예축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참고문헌한국 농경세시의 연구 (김택규, 영남대학교출판부, 1985)
[오곡](/topic/오곡)의 개념과 그 중시의 배경 (배영동, 민속연구 8,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998)
한국의 가정신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2008)
三國遺事, 東京雜記, 京都雜志, 東國歲時記, 迾陽歲時記, 곡식에 대한 신성관념과 의례의 의미 (배영동, [농업](/topic/농업)사연구 8, 한국농업사학회, 2009)
의의한 해가 시작될 때 일년 동안 무사하고 평안하며 그해 풍년이 들기를 바라는 의식은 고대부터 있었다. [오곡](/topic/오곡)밥을 먹는 풍속은 연초에 해당하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그해 농사에 풍년이 들고 사람들이 건강하기를 바란 민속의 하나이다. 다만 오곡밥을 사람이 먹기 전에 집을 지켜주는 [가신](/topic/가신)에게 먼저 바쳐서 가신을 존중하고 즐겁게 함으로써 온 가정이 평안하고 풍요롭게 될 수 있었다고 믿었다. 그런데 이것이 조선 후기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에 와서 [찰밥](/topic/찰밥)과 오곡잡밥으로 분화되었다. 그러므로 남부지방에서는 지금도 오곡밥이라는 말 이외에 찰밥이나 잡곡밥이라는 말을 널리 쓰고 있다. 이름을 무엇으로 부르든지 찹쌀을 비롯한 오곡이 들어간다는 의식이 있다는 점에서 대체로 비슷하다. 오곡은 구체적으로 한정된 5종 주곡이라기보다 대표성이 있는 5종 주곡이라는 뜻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오곡의 구성물은 시대에 따라 유동적이었다. 조선시대 후기의 상황에서 오곡은 [보리](/topic/보리), 콩, 조, 팥, [기장](/topic/기장) 가운데서 4종과 쌀이었다. 그런데 오곡밥은 찹쌀, 팥, [수수](/topic/수수), 차조 또는 기장, 콩 등으로 짓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오곡밥에서는 오곡 가운데 평소에 자주 접하는 보리가 빠지고, 쌀은 찹쌀이며, 조도 차조로 바뀌었다. 찰진 곡식으로 지은 밥이라는 점에서 오곡밥은 신라 소지왕 때 찰밥의 전통을 아직도 잘 간직하고 있다. 오곡밥을 먹는다는 것은 오곡이라는 곡식을 고루 갖추어 지었다는 의미이고, 오곡을 다 지었다면 모든 농사를 지었다는 의미가 된다. 왜냐하면 오곡은 본디 오행사상에 입각하여 모든 곡식이라는 뜻으로 등장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오곡밥을 지으면 가족을 보호하고 도와준다고 여긴 가신들에게 먼저 올린 다음에 먹은 것이다. 나아가 이웃끼리도 나누어 먹는 것은 행여 가난하여 먹지 못한 이웃에게도 베푸는 의미다 된다. 또한 정월대보름날뿐만 아니라 이월영등일에도 오곡밥을 올리는 등 모두 일년 농사의 시작단계에서 풍년을 염원하고 예축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참고문헌한국 농경세시의 연구 (김택규, 영남대학교출판부, 1985)
[오곡](/topic/오곡)의 개념과 그 중시의 배경 (배영동, 민속연구 8,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998)
한국의 가정신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2008)
三國遺事, 東京雜記, 京都雜志, 東國歲時記, 迾陽歲時記, 곡식에 대한 신성관념과 의례의 의미 (배영동, [농업](/topic/농업)사연구 8, 한국농업사학회, 2009)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무의식편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1983
민속원진도의 마을굿나경수2007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