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마

한국무속신앙사전
철마
철로 만든 말의 형상으로 [마을](/topic/마을) 제당에 모셔지는 신격.
definition
철로 만든 말의 형상으로 [마을](/topic/마을) 제당에 모셔지는 신격.
mp3Cnt
0
wkorname
이세나
정의철로 만든 말의 형상으로 [마을](/topic/마을) 제당에 모셔지는 신격.
정의철로 만든 말의 형상으로 [마을](/topic/마을) 제당에 모셔지는 신격.
铁制的马形态,供奉于村庄祭堂内的神。

“铁马”在全国地区皆可见,在有的地区也被称作“soemal”或“铁物”。多数铁马是用长5 ~ 10 厘米的铸铁简单地做成马的模型而造出的。比起较大的身体部分,马的腿部一般较短。还有部分铁马的腿部不完整,或是膝盖以下被切掉。大部分情况下人们会供奉铁马,但偶尔也会有用土烤的土马和用石头制成的石马。在供奉铁马的不同村庄和祭堂,铁马作为神的地位也是多种多样。在村庄信仰中,铁马被供奉为主神,也具有“村庄神”所骑的“动物神”意义。此外,还存在铁马被作为祭品献给村庄神的情况。

为使铁马能够消除虎患,人们将铁马制成马的形状后,将其作为村庄的守护神。在有制锅店或陶器店的村庄里,为了保证制作顺利,人们将铁马供奉于祭堂,并献上祭品。
Cheolma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 un caballo metálico que se adora como una deidad en los santuarios comunitarios.

El cheolma se llama también como seomal o soemul según las regiones, y el culto al cheolma se practica en todas las partes del país. Estos caballos metálicos con figuras simplificadas de la imagen del caballo, aproximadamente cinco o diez centímetros de largo, sus patas son muy cortas en proporción a su torso largo. Hay casos de que algunos cheolma tienen sus patas cortadas hasta las rodillas o se despiezan algunas patas. Si bien los caballos metálicos son los más comunes, se observan los caballos hechos de arcilla o piedra. Estas figuras se asocian con una gama de divinidades que varían según las regiones y rituales, incluyendo el dios principal del pueblo, o un animal montado por los dioses del pueblo. En algunos casos, los cheolma sirven como sacrificios ofrecidos a un dios del pueblo. Los cheolma son reverenciados también como dioses guardianes del pueblo que protegen la comunidad del ataque de los tigres, y en las aldeas donde hay talleres de calderos o vasijas de barro, los caballos metálicos se ofrecen como sacrificios y se enclaustran para rezar por el éxito de los artesanos aldeanos.
Cheolma is a metal horse enshrined and worshipped as a deity in village shrines.

Also called soemal or soemul, metal horses as objects of worship are observed around the country. They are simplified renditions of a horse’s image, between five to ten centimeters long, their legs quite short in proportion to the large torso, some legs missing or cut off at the knee. Metal horses are the most common, but clay or stone horses are also observed. These figurines are associated with a range of divinities, which vary by region and ritual, including the main village god, or an animal god ridden by one of the village gods. In some cases they serve as sacrifices offered to a village god.

Cheolma were also worshipped as village guardian gods that protected the community against attacks from tigers, and in villages with cauldron makers or earthenware potters, metal horses were offered as sacrifice and enshrined for successful business for the craftsmen.
내용철마([쇠말](/topic/쇠말))는 경기도, 전라도, 경상도 등 전국에서 사례가 조사·보고되고 있다. 지역에 따라 쇠말 또는 쇠물로 불리기도 한다. 대다수 철마는 길이 5∼10㎝ 크기의 주물로 모형 말을 간략하게 형상화하고 있다. 말은 큰 몸통에 비해 다리가 짧게 표현되고 다리 일부가 없거나 무릎 아래가 잘려 나간 모습으로도 발견된다. 대부분이 철마이지만 간혹 흙으로 구워 만든 토마(土馬)와 돌로 만든 석마(石馬)를 모시기도 한다.

철마의 신격은 모셔지는 [마을](/topic/마을)과 당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마을신앙에서 주가 되는 신으로 모셔지기도 하고, 마을신이 타고 다니는 [동물](/topic/동물)신의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일부 사례에서는 마을신에게 바치는 제물이 되기도 한다.

철마에 대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철마는 호환(虎患)을 퇴치하기 위해 말의 형상으로 철마를 만들어서 마을 수호신으로 삼거나, 솥점이나 옹기점이 있는 마을에서 작업의 성공을 위해 철마를 제당에 제물로 바쳐 [봉안](/topic/봉안)했다고 한다.
铁制的马形态,供奉于村庄祭堂内的神。

“铁马”在全国地区皆可见,在有的地区也被称作“soemal”或“铁物”。多数铁马是用长5 ~ 10 厘米的铸铁简单地做成马的模型而造出的。比起较大的身体部分,马的腿部一般较短。还有部分铁马的腿部不完整,或是膝盖以下被切掉。大部分情况下人们会供奉铁马,但偶尔也会有用土烤的土马和用石头制成的石马。在供奉铁马的不同村庄和祭堂,铁马作为神的地位也是多种多样。在村庄信仰中,铁马被供奉为主神,也具有“村庄神”所骑的“动物神”意义。此外,还存在铁马被作为祭品献给村庄神的情况。

为使铁马能够消除虎患,人们将铁马制成马的形状后,将其作为村庄的守护神。在有制锅店或陶器店的村庄里,为了保证制作顺利,人们将铁马供奉于祭堂,并献上祭品。
Cheolma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 un caballo metálico que se adora como una deidad en los santuarios comunitarios.

El cheolma se llama también como seomal o soemul según las regiones, y el culto al cheolma se practica en todas las partes del país. Estos caballos metálicos con figuras simplificadas de la imagen del caballo, aproximadamente cinco o diez centímetros de largo, sus patas son muy cortas en proporción a su torso largo. Hay casos de que algunos cheolma tienen sus patas cortadas hasta las rodillas o se despiezan algunas patas. Si bien los caballos metálicos son los más comunes, se observan los caballos hechos de arcilla o piedra. Estas figuras se asocian con una gama de divinidades que varían según las regiones y rituales, incluyendo el dios principal del pueblo, o un animal montado por los dioses del pueblo. En algunos casos, los cheolma sirven como sacrificios ofrecidos a un dios del pueblo. Los cheolma son reverenciados también como dioses guardianes del pueblo que protegen la comunidad del ataque de los tigres, y en las aldeas donde hay talleres de calderos o vasijas de barro, los caballos metálicos se ofrecen como sacrificios y se enclaustran para rezar por el éxito de los artesanos aldeanos.
Cheolma is a metal horse enshrined and worshipped as a deity in village shrines.

Also called soemal or soemul, metal horses as objects of worship are observed around the country. They are simplified renditions of a horse’s image, between five to ten centimeters long, their legs quite short in proportion to the large torso, some legs missing or cut off at the knee. Metal horses are the most common, but clay or stone horses are also observed. These figurines are associated with a range of divinities, which vary by region and ritual, including the main village god, or an animal god ridden by one of the village gods. In some cases they serve as sacrifices offered to a village god.

Cheolma were also worshipped as village guardian gods that protected the community against attacks from tigers, and in villages with cauldron makers or earthenware potters, metal horses were offered as sacrifice and enshrined for successful business for the craftsmen.
내용철마([쇠말](/topic/쇠말))는 경기도, 전라도, 경상도 등 전국에서 사례가 조사·보고되고 있다. 지역에 따라 쇠말 또는 쇠물로 불리기도 한다. 대다수 철마는 길이 5∼10㎝ 크기의 주물로 모형 말을 간략하게 형상화하고 있다. 말은 큰 몸통에 비해 다리가 짧게 표현되고 다리 일부가 없거나 무릎 아래가 잘려 나간 모습으로도 발견된다. 대부분이 철마이지만 간혹 흙으로 구워 만든 토마(土馬)와 돌로 만든 석마(石馬)를 모시기도 한다.

철마의 신격은 모셔지는 [마을](/topic/마을)과 당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마을신앙에서 주가 되는 신으로 모셔지기도 하고, 마을신이 타고 다니는 [동물](/topic/동물)신의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일부 사례에서는 마을신에게 바치는 제물이 되기도 한다.

철마에 대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철마는 호환(虎患)을 퇴치하기 위해 말의 형상으로 철마를 만들어서 마을 수호신으로 삼거나, 솥점이나 옹기점이 있는 마을에서 작업의 성공을 위해 철마를 제당에 제물로 바쳐 [봉안](/topic/봉안)했다고 한다.
지역사례경북 안동시 길안면 금곡리는 쇠가 많이 나는 골짜기여서 소일, 쇠일로 불렸다. [마을](/topic/마을)에서 모시는 당은 ‘고마실 [서낭당](/topic/서낭당)’이라 부르며, 당집 안의 벽[감실](/topic/감실) 속에 주된 신인 서낭님을 모시고 있다. 서낭의 신체는 [한지](/topic/한지)를 접은 형태이며, 서낭 아래에 무쇠로 만든 말인 철마(수배) 두 마리를 [봉안](/topic/봉안)하고 있다. 철마는 길이 22㎝, 높이 9.5㎝의 암수 한 쌍이다. 암말은 몸통을 붉은색 천으로, 수말은 푸른색 천으로 감싸놓았다. 이 암수 한 쌍의 철마를 모시게 된 유래담도 전해진다.

임진왜란 때 한 장수가 말을 타고 금곡리 고마실에 와서 상처를 치료하다가 죽자 말이 주인의 죽음을 슬퍼하여 울부짖으면서 마을 주위를 맴돌았다. 얼마 뒤 왜군이 이 말을 잡아서 타려고 하자 말은 왜군 장수를 태우지 않고 바위에 머리를 받아 죽었다고 한다. 이때부터 이 마을 주민들은 의로운 말의 죽음을 가상히 여겨 외로움을 달래 주기 위해 당집을 짓고 [고사](/topic/고사)를 지냈다. 이로 인해 마을 이름도 고마실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고마실의 당고사에도 철마와 연관된 부분이 있다. 고마실의 당고사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자정(0시)에 지낸다. 열나흗날 밤 11시에 [제관](/topic/제관)은 부인과 함께 제물을 [지게](/topic/지게)에 지고 당으로 올라간다. 진설이 끝나면 고축을 하고 소지를 올린다. 소지는 마을신인 서낭님소지가 첫 번째로 올라가고 서낭님을 모시는 수배님(철마)의 소지가 두 번째로 올라간다. 이후 제관과 마을 사람들의 소지가 올라가고, [가축](/topic/가축)(우마)의 무병성장을 기원하는 소지를 마지막으로 올린다.

경북 안동시 도산면 태자동 고리현마을에는 철마(쇠물)가 당집에 봉안되어 있다.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쇠와 관련된 일을 한 이 마을에서 일이 잘되게 해 달라고 마을신에게 철마를 제물로 바쳤다고 전한다.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성덕2리에서는 2월 초에 고창제를 지낸다. 마을에는 당이 세 개 있으며, 그 가운데 첩당에 쇠로 만든 철마가 수십 개 봉안되어 있다. 지난날 마을에 솥점이 있었으며 마을 사람들은 솥점을 번창하게 해 달라고 철마를 만들어 치성을 드렸다고 한다. 첩당에 모시는 철마의 다리는 대부분 세 개이다. 마을 사람들은 철마가 마을을 괴롭히는 호랑이와 싸워 마을을 지켜 줬고, 그때 다리 하나를 잃었다고 말한다.

전남 완도군 생일면 서성리 서성마을의 정성당에도 철마([쇠말](/topic/쇠말))가 모셔져 있다. 정월 초아흐렛날 새벽에 당제를 지내는 정성당에는 쇠말 10여 개 가운데 다섯 개가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다.

이 밖에 철마를 모신 흔적이 이야기로 남아 있는 지역도 있다. 전남 고흥군 봉래면 나로도 신금마을에는 백마의 상을 조각해 모시게 된 당신화가 전한다. 나로도의 신금리에는 1700년경에 명씨가 마을을 열었다. 당시 밤마다 마을 뒷산 호암산에서 백마가 마을 안으로 뛰어내리는 일이 생겼다. 마을 주민들은 백마가 나타나는 것을 마신(馬神)을 모시라는 계시로 알고 백마의 상을 조각해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전남 진도군 진도읍 북산 철마산에는 1900년까지 큰 개 크기의 철마가 있었고, 산 정상에 보관한 철마를 도둑이 쇠를 녹여 쓰기 위해 훔쳐갔다가 동토(凍土)가 난 이야기가 전해진다.

철마의 재질이 백자나 돌인 예도 있다. 전북 군산시 옥도면 연도 당에는 당신할머니와 할머니를 모시는 ‘마부’가 모셔져 있다. 마을 주민의 현몽으로 갯가에서 항아리 속에 든 말을 발견하고 연도 당으로 모셔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마부’는 백자로 구운 말의 형상이며 다리가 부러진 3마리의 말과 한 마리의 완형 말이 있다.

경남 고성군 마암면 석마리에는 두 마리의 석마가 느티나무 밑에 놓여 있다. 석마리에는 석마를 마을 수호신으로 모시게 된 이야기가 함께 전하고 있다. 과거 석마리에는 호환이 몸시 심해 마을 사람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우연히 마을을 지나던 스님이 마을 사람들의 고민을 듣고 돌로 말을 만들어 마을 입구에 세우면 호랑이의 습격이 없어질 것이라고 조언을 하였다. 마을 사람들이 힘을 모아 석마를 만들어 마을 입구에 세우자 호환이 사라졌다. 마을 사람들은 그 이후 마을 수호신으로 석마를 모시게 되었다.
참고문헌민간신앙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남편, 문화재관리국, 1969)
남도문화연구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1986)
성덕2리 (정종수, 경기지방장승·솟대신앙, 국립민속박물관, 1989)
[마을](/topic/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 1994)
안동의 동제 (학술총서 1, 안동민속박물관, 1994)
우리문화의 상징세계 (김종대, 다른세상, 2001)
한국동물민속론 (천진기, 민속원, 2003)
지역사례경북 안동시 길안면 금곡리는 쇠가 많이 나는 골짜기여서 소일, 쇠일로 불렸다. [마을](/topic/마을)에서 모시는 당은 ‘고마실 [서낭당](/topic/서낭당)’이라 부르며, 당집 안의 벽[감실](/topic/감실) 속에 주된 신인 서낭님을 모시고 있다. 서낭의 신체는 [한지](/topic/한지)를 접은 형태이며, 서낭 아래에 무쇠로 만든 말인 철마(수배) 두 마리를 [봉안](/topic/봉안)하고 있다. 철마는 길이 22㎝, 높이 9.5㎝의 암수 한 쌍이다. 암말은 몸통을 붉은색 천으로, 수말은 푸른색 천으로 감싸놓았다. 이 암수 한 쌍의 철마를 모시게 된 유래담도 전해진다.

임진왜란 때 한 장수가 말을 타고 금곡리 고마실에 와서 상처를 치료하다가 죽자 말이 주인의 죽음을 슬퍼하여 울부짖으면서 마을 주위를 맴돌았다. 얼마 뒤 왜군이 이 말을 잡아서 타려고 하자 말은 왜군 장수를 태우지 않고 바위에 머리를 받아 죽었다고 한다. 이때부터 이 마을 주민들은 의로운 말의 죽음을 가상히 여겨 외로움을 달래 주기 위해 당집을 짓고 [고사](/topic/고사)를 지냈다. 이로 인해 마을 이름도 고마실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고마실의 당고사에도 철마와 연관된 부분이 있다. 고마실의 당고사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자정(0시)에 지낸다. 열나흗날 밤 11시에 [제관](/topic/제관)은 부인과 함께 제물을 [지게](/topic/지게)에 지고 당으로 올라간다. 진설이 끝나면 고축을 하고 소지를 올린다. 소지는 마을신인 서낭님소지가 첫 번째로 올라가고 서낭님을 모시는 수배님(철마)의 소지가 두 번째로 올라간다. 이후 제관과 마을 사람들의 소지가 올라가고, [가축](/topic/가축)(우마)의 무병성장을 기원하는 소지를 마지막으로 올린다.

경북 안동시 도산면 태자동 고리현마을에는 철마(쇠물)가 당집에 봉안되어 있다.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쇠와 관련된 일을 한 이 마을에서 일이 잘되게 해 달라고 마을신에게 철마를 제물로 바쳤다고 전한다.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성덕2리에서는 2월 초에 고창제를 지낸다. 마을에는 당이 세 개 있으며, 그 가운데 첩당에 쇠로 만든 철마가 수십 개 봉안되어 있다. 지난날 마을에 솥점이 있었으며 마을 사람들은 솥점을 번창하게 해 달라고 철마를 만들어 치성을 드렸다고 한다. 첩당에 모시는 철마의 다리는 대부분 세 개이다. 마을 사람들은 철마가 마을을 괴롭히는 호랑이와 싸워 마을을 지켜 줬고, 그때 다리 하나를 잃었다고 말한다.

전남 완도군 생일면 서성리 서성마을의 정성당에도 철마([쇠말](/topic/쇠말))가 모셔져 있다. 정월 초아흐렛날 새벽에 당제를 지내는 정성당에는 쇠말 10여 개 가운데 다섯 개가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다.

이 밖에 철마를 모신 흔적이 이야기로 남아 있는 지역도 있다. 전남 고흥군 봉래면 나로도 신금마을에는 백마의 상을 조각해 모시게 된 당신화가 전한다. 나로도의 신금리에는 1700년경에 명씨가 마을을 열었다. 당시 밤마다 마을 뒷산 호암산에서 백마가 마을 안으로 뛰어내리는 일이 생겼다. 마을 주민들은 백마가 나타나는 것을 마신(馬神)을 모시라는 계시로 알고 백마의 상을 조각해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전남 진도군 진도읍 북산 철마산에는 1900년까지 큰 개 크기의 철마가 있었고, 산 정상에 보관한 철마를 도둑이 쇠를 녹여 쓰기 위해 훔쳐갔다가 동토(凍土)가 난 이야기가 전해진다.

철마의 재질이 백자나 돌인 예도 있다. 전북 군산시 옥도면 연도 당에는 당신할머니와 할머니를 모시는 ‘마부’가 모셔져 있다. 마을 주민의 현몽으로 갯가에서 항아리 속에 든 말을 발견하고 연도 당으로 모셔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마부’는 백자로 구운 말의 형상이며 다리가 부러진 3마리의 말과 한 마리의 완형 말이 있다.

경남 고성군 마암면 석마리에는 두 마리의 석마가 느티나무 밑에 놓여 있다. 석마리에는 석마를 마을 수호신으로 모시게 된 이야기가 함께 전하고 있다. 과거 석마리에는 호환이 몸시 심해 마을 사람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우연히 마을을 지나던 스님이 마을 사람들의 고민을 듣고 돌로 말을 만들어 마을 입구에 세우면 호랑이의 습격이 없어질 것이라고 조언을 하였다. 마을 사람들이 힘을 모아 석마를 만들어 마을 입구에 세우자 호환이 사라졌다. 마을 사람들은 그 이후 마을 수호신으로 석마를 모시게 되었다.
참고문헌민간신앙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남편, 문화재관리국, 1969)
남도문화연구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1986)
성덕2리 (정종수, 경기지방장승·솟대신앙, 국립민속박물관, 1989)
[마을](/topic/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 1994)
안동의 동제 (학술총서 1, 안동민속박물관, 1994)
우리문화의 상징세계 (김종대, 다른세상, 2001)
한국동물민속론 (천진기, 민속원, 2003)
제주도제주의 민속 4-의생활·식생활·주생활1996
제주무속학사전진성기2004
상관평 철마
22688
상관평 철마
월촌리 안마도 당철마
19128
월촌리 안마도 당철마
월촌리 안마도 당철마
19121
월촌리 안마도 당철마
월촌리 안마도 당철마
19116
월촌리 안마도 당철마
상관평 철마
22690
상관평 철마
상관평 철마
22689
상관평 철마
상관평 철마
22687
상관평 철마
시산도리 부인당에서 철마와 함께 출토된 장도와 가락지
16924
시산도리 부인당에서 철마와 함께 출토된 장도와 가락지
부인당에서 철마와 함께 있던 종지
16923
부인당에서 철마와 함께 있던 종지
시산도리 부인당에서 출토된 철마
16922
시산도리 부인당에서 출토된 철마
상관평 철마
22688
상관평 철마
월촌리 안마도 당철마
19128
월촌리 안마도 당철마
월촌리 안마도 당철마
19121
월촌리 안마도 당철마
월촌리 안마도 당철마
19116
월촌리 안마도 당철마
상관평 철마
22690
상관평 철마
상관평 철마
22689
상관평 철마
상관평 철마
22687
상관평 철마
시산도리 부인당에서 철마와 함께 출토된 장도와 가락지
16924
시산도리 부인당에서 철마와 함께 출토된 장도와 가락지
부인당에서 철마와 함께 있던 종지
16923
부인당에서 철마와 함께 있던 종지
시산도리 부인당에서 출토된 철마
16922
시산도리 부인당에서 출토된 철마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