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잽이꽃

한국무속신앙사전
살잽이꽃
[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에서 사용되는 지화. 다부살이꽃,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꽃, 불동화, 오색동화라고도 한다.
definition
[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에서 사용되는 지화. 다부살이꽃,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꽃, 불동화, 오색동화라고도 한다.
mp3Cnt
0
wkorname
김창일
정의[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에서 사용되는 지화. 다부살이꽃,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꽃, 불동화, 오색동화라고도 한다.
내용동해안굿에서는 많은 종류의 꽃이 사용되는데 규모도 크고, 꽃의 모양도 화려한 것이 특징이다.

동해안의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굿에서 살잽이꽃은 사람의 뼈와 살과 힘줄 등을 만들어 죽은 사람을 살려내는 생명의 꽃이다. 서천꽃밭에 피어 있는 꽃으로 [바리공주](/topic/바리공주)가 온갖 고난을 이겨내고 가져와서 아버지를 살려내는 생명의 꽃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러한 생명의 꽃에 대한 내용은 제주도 [무속신화](/topic/무속신화)인 [이공본풀이](/topic/이공본풀이), [세경본풀이](/topic/세경본풀이), [문전본풀이](/topic/문전본풀이), 생불할망본풀이와 [마누라본풀이](/topic/마누라본풀이) 등에서도 나타난다. 이는 한국무속 고유의 재생관이 만들어낸 생명의 꽃이다.

이 살잽이꽃은 현재 동해안굿에서 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제작이 쉽지 않은데다가 제작 시간도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 1993년 12월 강릉단오굿전수실에서 있었던 [신석남](/topic/신석남)오구굿과 2005년 10월 부산 [기장](/topic/기장)군 일광해수욕장에서 벌어진 [김석출](/topic/김석출)오구굿에서는 [송동숙](/topic/송동숙)이 제작한 다부살이꽃이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오구굿에서 보기가 쉽지 않다.

현재는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 전수자인 김동열 등 소수만이 살잽이꽃을 제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동해안 오구굿의 무·불 습합 양상 (김창일, 동남어문논집 21, 동남어문학회, 2006)
김동언·김동열 녹음채록조사자료 (김창일, 부산광역시 [기장](/topic/기장)군 김동언·김동열 자택, 2006. 10)
형태전체적으로 둥근 형태이며, 분홍색으로 [염색](/topic/염색)한 [한지](/topic/한지)를 이용해 만든다. 20장 정도의 한지를 눌러서 한 장의 마분지처럼 만들어 10층 정도 되게 한다. 20장 정도의 한지를 주름을 잡고 4~5가닥 정도로 자른 다음 칼을 자른 부분의 주름과 직각이 되도록 하여 수백 번을 눌러주면 둥근 형태가 만들어진다.
문화재청굿과 음식김헌선2007
살잽이꽃 제작과정
64963
살잽이꽃 제작과정
살잽이꽃 제작과정
64962
살잽이꽃 제작과정
살잽이꽃 제작과정
64961
살잽이꽃 제작과정
살잽이꽃 제작과정
64960
살잽이꽃 제작과정
살잽이꽃 제작과정
64959
살잽이꽃 제작과정
살잽이꽃 제작과정
64958
살잽이꽃 제작과정
살잽이꽃 제작과정
64957
살잽이꽃 제작과정
살잽이꽃 제작과정
64956
살잽이꽃 제작과정
살잽이꽃 제작과정
64955
살잽이꽃 제작과정
살잽이꽃
64693
살잽이꽃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