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음력 정월 초순이나 보름 무렵에 [마을](/topic/마을) 어귀나 큰 삼거리에서 올리는 마을 공동 제의. |
---|---|
mp3Cnt | 0 |
wkorname | 서해숙 |
특징 | 거리제는 [마을](/topic/마을)에 따라 단독 또는 당제와 함께 모시고 있다. 특히 오늘날까지 거리제를 모시는 마을은 바닷가보다 내륙 지역, 농경생활을 위주로 하는 마을에서 많이 모시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객귀를 달래기 위해 마을 앞이나 마을회관에서 모신다는 점에서 제의 성격도 분명하다. 또한 당제, 산신제가 [제관](/topic/제관)인 남성 중심으로 엄중하게 모시는 반면에 거리제는 마을 사람이면 누구나 참여한 가운데 축제 분위기 속에서 치러진다. 전통사회에서 마을 어귀는 안과 밖, 성(聖)과 속(俗)의 세계를 경계 짓는 공간이다. 또한 이곳은 재복이 들어오는 동시에 빠져나가는 통로이고, 나아가 온갖 재앙과 부정이 깃드는 길목으로 인식된다. 이곳을 출입하는 객귀에게 제를 지내고 마을 사람들에게 닥칠 수 있는 재액을 물리치는 소박한 종교적 심의가 거리제와 같은 마을공동 제의 형태로 표출되고 있는 것이다. | 참고문헌 |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정월 (국립민속박물관, 2004) 진도군 [마을](/topic/마을)신앙 양상과 도서해양문화적 특징 (서해숙, 한국민속학 45, 한국민속학회, 2007) | Georije, or street ritual, is held in the first week or on the fifteen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or a main intersection in town to worship the street god (georisin). Street rituals can be categorized into communal rites held collectively on a specific date, and household rites officiated by the woman of the house. Communal street rituals are generally held as New Year rituals between the first day of the year and Jeongwoldaeboreum (Great Full Moon). While the high shrine (sangdang) rites of a village ritual, including sansinje (mountain god ritual) and dangje (village god ritual), are aimed at praying for peace and good harvest for the entire community, street rituals, as low shrine (hadang) rites, reflect in many cases more specific and smaller prayers including the eradication of bad fortune and the expulsion of smallpox. Communal street rites are generally held in the farming villages of inland regions. In order to appease wayfarer ghosts (gaekgwi), the rituals are held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or at the village community center, the procedures open to everyone in the village and carried out in a festive mood, as opposed to the solemn proceedings of a high-shrine ritual. Upon the arrival of the Lunar New Year, families also hold street rituals on the town’s main intersection, to pray for peace and safety for all members of the family, especially for protection from the dangers on the streets. An auspicious date is selected for the ritual between the third and fourteenth days of the first lunar month, and the ritual takes place late at night. If the family hires a shaman to officiate the peace-wishing ritual antaek for the New Year, the street ritual is held together the same evening. The ritual venue is laid out with two long straw mats on the ground, arranged to form an intersection, with simple sacrificial offerings that sometimes include coins. Although the ritual host (jeju) is the woman of the house, sometimes a sorcerer (gyeong jaengi) or a shaman is hired to officiate. Once the sacrificial offerings are arranged, the woman of the house bows and offers her prayer. The sorcerer or shaman recites a simple prayer message or offers a prayer, then burns the prayer text (soji). Towards the end of the ritual, a kitchen knife is thrown on the ground repeatedly until it lands with the tip of its blade pointing to the outer edge of the street, which means that the ritual has been successfully carried out. The sacrificial foods are left behind on the street and are never consumed by the family. The vessels used to set up the ritual table are also kept outside the gate overnight and brought back into the house the following morning. | 阴历正月初旬或十五,在村头或村里三岔口为路神献上的祭仪。 “路神祭”包括村庄祭仪以及家里以主妇为主进行的祭仪。村庄祭仪只局限于村里的人们选择特定的日子,在村头或路面举行的祭仪。 路神祭作为村庄祭仪的一环,在正月初一到十五期间举行,具有很强的“新年祭”色彩。如果说以“[山神](/topic/山神)祭”,“堂祭”为代表的“上堂礼仪”的目的是为村庄全体的安宁与丰饶,那么“下堂礼仪”的路神祭则具有消灾解厄,祛病除疾等比较细致入微的心愿。 进行路神祭的大都是内陆地区而不是海岸地区,主要分布在以农耕生活为主的地区。为了安抚[客鬼](/topic/客鬼),主要在村头或村会馆进行,不同于严肃的上堂仪礼,路神祭是由村民参与的,具有庆典气氛的仪式。 一般家庭,每年初在村里的三岔路口,由女主人主办路神祭,意在祈求家人一年里出入平安。路神祭一般在阴历一月三日到十四日之间选择吉日,在半夜里进行。如果年初请巫师来[安宅](/topic/安宅)时,就在当天晚上进行路神祭,否则,大都在三日或十四日进行路神祭。 在路神祭场,把秸秆铺成十字模样,上面摆设简单的祭品,有时也放上钱币。祭主一般是家里的女主人,有时也请“法师”或巫师。摆好祭品后,女主人就叩拜并祈福。法师或神婆用简单的经文祈福,然后[烧纸](/topic/烧纸)。路神祭结束的时候,把菜刀抛到街面。只有刀尖朝向外面,路神祭才算圆满。因此要不断抛刀,直至刀尖朝外。仪式结束后要把祭品原封不动地放在原处,家里人决不吃路神祭时使用的祭品,使用的[祭器](/topic/祭器)也要放在大门外,第二天再拿进去。 | Ritual que se realiza en un día de la primera semana o el 15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en la entrada o intersección principal del pueblo para adorar al dios de la calle, Georisin. El ritual de la calle puede ser clasificado en dos tipos: rito colectivo y rito individual. El rito colectivo se efectúa en la entrada del pueblo o en la calle durante una fecha determinada. El ritual de la calle se celebra generalmente como evento de año nuevo entre el 1 y el 15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Mientras el rito de sangdang del ritual del pueblo, incluyendo el sansinje y el dongje, tienen por objetivo orar por la paz y buena cosecha, el ritual de la calle es un tipo del rito de hadang que se realiza para pedir algo más específico y pequeño, como la eliminación de la mala suerte y erradicación de la viruela. En muchos casos, el rito colectivo tiene lugar en las aldeas agrícolas que se encuentran en las regiones interiores. A diferencia de los procedimientos del rito solemne de sangdang, el ritual se efectúa a la entrada de la aldea o cerca del centro comunitario de la aldea con la partificación de todos los aldeanos en un ambiente festivo para apaciguar a los gaekgwi. Cuando comienza un nuevo año lunar, las familias realizan también un ritual en la intersección principal del pueblo para orar por la paz y la seguridad, en especial, por la protección de todos los miembros de la familia contra los peligros de la calle. Se selecciona un día auspicioso para realizar un ritual entre el 3 y el 14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y el ritual tiene lugar en las altas horas de la noche. Si la familia contrata un chamán para que oficie un ritual llamado antaek, que se realiza durante los primeros días del año, el ritual de la calle se celebra en la calle en la noche. Si no lo hace, el ritual se efectúa en el 3 o el 14 del enero del calendario lunar. El lugar donde se realiza el ritual está cubierto de dos esteras largas de paja, puestas en forma de cruz. Sobre ellas, ponen unas ofrendas sacrificiales, incluyendo monedas metálicas. Si bien el oficiante líder del ritual es la mujer de la casa, de vez en cuando contratan un hechicero llamado gyeong jaengi o un chamán para celebrar el ritual de manera más profesional. Una vez que las ofrendas sacrificiales estén preparadas, la mujer de la casa hace una reverencia profunda y una oración. El hechicero o chamán recita oraciones sencillas y queman la hoja de oraciones. Al terminar el ritual, lanzan una navaja al suelo varias veces hasta que la punta de la navaja apunte hacia la calle. Esto significará que el ritual haya sido llevado a cabo de manera satisfactoria. Después de la realización del ritual, dejan la comida sascrificial en la calle y no la consumen jamás. También dejan las vasijas usadas en el ritual fuera de la puerta de entrada por toda la noche y los traen a la casa a la mañanan siguiente. | 특징 | 거리제는 [마을](/topic/마을)에 따라 단독 또는 당제와 함께 모시고 있다. 특히 오늘날까지 거리제를 모시는 마을은 바닷가보다 내륙 지역, 농경생활을 위주로 하는 마을에서 많이 모시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객귀를 달래기 위해 마을 앞이나 마을회관에서 모신다는 점에서 제의 성격도 분명하다. 또한 당제, 산신제가 [제관](/topic/제관)인 남성 중심으로 엄중하게 모시는 반면에 거리제는 마을 사람이면 누구나 참여한 가운데 축제 분위기 속에서 치러진다. 전통사회에서 마을 어귀는 안과 밖, 성(聖)과 속(俗)의 세계를 경계 짓는 공간이다. 또한 이곳은 재복이 들어오는 동시에 빠져나가는 통로이고, 나아가 온갖 재앙과 부정이 깃드는 길목으로 인식된다. 이곳을 출입하는 객귀에게 제를 지내고 마을 사람들에게 닥칠 수 있는 재액을 물리치는 소박한 종교적 심의가 거리제와 같은 마을공동 제의 형태로 표출되고 있는 것이다. | 참고문헌 |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정월 (국립민속박물관, 2004) 진도군 [마을](/topic/마을)신앙 양상과 도서해양문화적 특징 (서해숙, 한국민속학 45, 한국민속학회, 2007) | Georije, or street ritual, is held in the first week or on the fifteen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or a main intersection in town to worship the street god (georisin). Street rituals can be categorized into communal rites held collectively on a specific date, and household rites officiated by the woman of the house. Communal street rituals are generally held as New Year rituals between the first day of the year and Jeongwoldaeboreum (Great Full Moon). While the high shrine (sangdang) rites of a village ritual, including sansinje (mountain god ritual) and dangje (village god ritual), are aimed at praying for peace and good harvest for the entire community, street rituals, as low shrine (hadang) rites, reflect in many cases more specific and smaller prayers including the eradication of bad fortune and the expulsion of smallpox. Communal street rites are generally held in the farming villages of inland regions. In order to appease wayfarer ghosts (gaekgwi), the rituals are held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or at the village community center, the procedures open to everyone in the village and carried out in a festive mood, as opposed to the solemn proceedings of a high-shrine ritual. Upon the arrival of the Lunar New Year, families also hold street rituals on the town’s main intersection, to pray for peace and safety for all members of the family, especially for protection from the dangers on the streets. An auspicious date is selected for the ritual between the third and fourteenth days of the first lunar month, and the ritual takes place late at night. If the family hires a shaman to officiate the peace-wishing ritual antaek for the New Year, the street ritual is held together the same evening. The ritual venue is laid out with two long straw mats on the ground, arranged to form an intersection, with simple sacrificial offerings that sometimes include coins. Although the ritual host (jeju) is the woman of the house, sometimes a sorcerer (gyeong jaengi) or a shaman is hired to officiate. Once the sacrificial offerings are arranged, the woman of the house bows and offers her prayer. The sorcerer or shaman recites a simple prayer message or offers a prayer, then burns the prayer text (soji). Towards the end of the ritual, a kitchen knife is thrown on the ground repeatedly until it lands with the tip of its blade pointing to the outer edge of the street, which means that the ritual has been successfully carried out. The sacrificial foods are left behind on the street and are never consumed by the family. The vessels used to set up the ritual table are also kept outside the gate overnight and brought back into the house the following morning. | 阴历正月初旬或十五,在村头或村里三岔口为路神献上的祭仪。 “路神祭”包括村庄祭仪以及家里以主妇为主进行的祭仪。村庄祭仪只局限于村里的人们选择特定的日子,在村头或路面举行的祭仪。 路神祭作为村庄祭仪的一环,在正月初一到十五期间举行,具有很强的“新年祭”色彩。如果说以“[山神](/topic/山神)祭”,“堂祭”为代表的“上堂礼仪”的目的是为村庄全体的安宁与丰饶,那么“下堂礼仪”的路神祭则具有消灾解厄,祛病除疾等比较细致入微的心愿。 进行路神祭的大都是内陆地区而不是海岸地区,主要分布在以农耕生活为主的地区。为了安抚[客鬼](/topic/客鬼),主要在村头或村会馆进行,不同于严肃的上堂仪礼,路神祭是由村民参与的,具有庆典气氛的仪式。 一般家庭,每年初在村里的三岔路口,由女主人主办路神祭,意在祈求家人一年里出入平安。路神祭一般在阴历一月三日到十四日之间选择吉日,在半夜里进行。如果年初请巫师来[安宅](/topic/安宅)时,就在当天晚上进行路神祭,否则,大都在三日或十四日进行路神祭。 在路神祭场,把秸秆铺成十字模样,上面摆设简单的祭品,有时也放上钱币。祭主一般是家里的女主人,有时也请“法师”或巫师。摆好祭品后,女主人就叩拜并祈福。法师或神婆用简单的经文祈福,然后[烧纸](/topic/烧纸)。路神祭结束的时候,把菜刀抛到街面。只有刀尖朝向外面,路神祭才算圆满。因此要不断抛刀,直至刀尖朝外。仪式结束后要把祭品原封不动地放在原处,家里人决不吃路神祭时使用的祭品,使用的[祭器](/topic/祭器)也要放在大门外,第二天再拿进去。 | Ritual que se realiza en un día de la primera semana o el 15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en la entrada o intersección principal del pueblo para adorar al dios de la calle, Georisin. El ritual de la calle puede ser clasificado en dos tipos: rito colectivo y rito individual. El rito colectivo se efectúa en la entrada del pueblo o en la calle durante una fecha determinada. El ritual de la calle se celebra generalmente como evento de año nuevo entre el 1 y el 15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Mientras el rito de sangdang del ritual del pueblo, incluyendo el sansinje y el dongje, tienen por objetivo orar por la paz y buena cosecha, el ritual de la calle es un tipo del rito de hadang que se realiza para pedir algo más específico y pequeño, como la eliminación de la mala suerte y erradicación de la viruela. En muchos casos, el rito colectivo tiene lugar en las aldeas agrícolas que se encuentran en las regiones interiores. A diferencia de los procedimientos del rito solemne de sangdang, el ritual se efectúa a la entrada de la aldea o cerca del centro comunitario de la aldea con la partificación de todos los aldeanos en un ambiente festivo para apaciguar a los gaekgwi. Cuando comienza un nuevo año lunar, las familias realizan también un ritual en la intersección principal del pueblo para orar por la paz y la seguridad, en especial, por la protección de todos los miembros de la familia contra los peligros de la calle. Se selecciona un día auspicioso para realizar un ritual entre el 3 y el 14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y el ritual tiene lugar en las altas horas de la noche. Si la familia contrata un chamán para que oficie un ritual llamado antaek, que se realiza durante los primeros días del año, el ritual de la calle se celebra en la calle en la noche. Si no lo hace, el ritual se efectúa en el 3 o el 14 del enero del calendario lunar. El lugar donde se realiza el ritual está cubierto de dos esteras largas de paja, puestas en forma de cruz. Sobre ellas, ponen unas ofrendas sacrificiales, incluyendo monedas metálicas. Si bien el oficiante líder del ritual es la mujer de la casa, de vez en cuando contratan un hechicero llamado gyeong jaengi o un chamán para celebrar el ritual de manera más profesional. Una vez que las ofrendas sacrificiales estén preparadas, la mujer de la casa hace una reverencia profunda y una oración. El hechicero o chamán recita oraciones sencillas y queman la hoja de oraciones. Al terminar el ritual, lanzan una navaja al suelo varias veces hasta que la punta de la navaja apunte hacia la calle. Esto significará que el ritual haya sido llevado a cabo de manera satisfactoria. Después de la realización del ritual, dejan la comida sascrificial en la calle y no la consumen jamás. También dejan las vasijas usadas en el ritual fuera de la puerta de entrada por toda la noche y los traen a la casa a la mañanan siguiente. | 정의 | 음력 정월 초순이나 보름 무렵에 [마을](/topic/마을) 어귀나 큰 삼거리에서 올리는 마을 공동 제의. | 정의 | 음력 정월 초순이나 보름 무렵에 [마을](/topic/마을) 어귀나 큰 삼거리에서 올리는 마을 공동 제의. | 내용 | 거리제는 [마을](/topic/마을) 사람들 공동으로 특정일에 마을 어귀나 거리에서 올리는 제의에 국한한다. 이 거리제는 충청·전남·경남 지역 일부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지역과 마을에 따라 제의 양상과 성격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대전·충남에서는 하당(下堂)에 대한 의례를 ‘거리제’ 또는 ‘노신제(路神祭)’라 칭하는 것이 일반적일 정도로 광범위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물론 신앙 대상물이 장승인 경우에는 ‘장승제’, 탑을 모시면 ‘탑제’라 칭하기도 하지만 그 이면에는 거리제의 성격과 의미를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충북 옥천군 군서면 사정리에서는 탑·장승·솟대·신목이 거리제의 구체적인 대상 신이고, 충남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의 경우 장승·솟대·선돌이 복합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또 부산시 금정구 두구동의 거리제는 탑과 그 위에 얹힌 오리 모양의 새를 신체로 모시고 있다. 이를 ‘거릿대’라고 부른다. 이들 하위 신은 단독으로 세워지기도 하지만 몇 개의 신체(神體)가 복합 양상을 이루면서 하나의 성역을 구성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전남에서는 이와 달리 구체적인 신체 없이 마을 어귀나 삼거리에서 일련의 제의를 행하고 있어 충청지역과는 차별화된 양상을 살필 수 있다. 거리제는 정월 초에서 대보름 사이에 주로 거행되는 신년제 성격이 짙다. 산신제, 당제로 대표되는 상당의례가 마을 전체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면 거리제는 하당의례의 특성상 재액소멸, 역질퇴치, 우마창성 등 좀 더 구체적이고 세세한 소망이 담겨 있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전염병과 괴질의 창궐로 인해 인명 손실이 컸던 지난날의 열악한 사정을 일정 부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거리제를 모시는 제장은 사람들의 출입이 많은 곳이다. 이러한 곳은 사람뿐만 아니라 객귀나 잡신들의 출입이 잦은 곳이라고 마을 사람들은 생각한다. 이 때문에 매년 특정한 날에 갖은 음식을 장만하여 대접함으로써 마을에 닥칠지 모르는 재앙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다. 전남 지방에서도 특히 도서해안 지역에서 거리제를 많이 모시고 있다. 진도의 경우 마을신앙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꼽히는 거리제는 당제에 비하면 제의 양상이 남녀 모두가 참여하는 축제 형태이다. 제의 장소도 사람들 편의에 따라 쉽게 변한다. 근래에는 마을 삼거리에서 마을회관이나 모정으로 옮겨 모시는 마을이 많아졌다. 제를 모시는 동안에는 이러한 공간이 의례적 의미를 지니는 공간으로 변환되어 인식된다. | 내용 | 거리제는 [마을](/topic/마을) 사람들 공동으로 특정일에 마을 어귀나 거리에서 올리는 제의에 국한한다. 이 거리제는 충청·전남·경남 지역 일부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지역과 마을에 따라 제의 양상과 성격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대전·충남에서는 하당(下堂)에 대한 의례를 ‘거리제’ 또는 ‘노신제(路神祭)’라 칭하는 것이 일반적일 정도로 광범위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물론 신앙 대상물이 장승인 경우에는 ‘장승제’, 탑을 모시면 ‘탑제’라 칭하기도 하지만 그 이면에는 거리제의 성격과 의미를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충북 옥천군 군서면 사정리에서는 탑·장승·솟대·신목이 거리제의 구체적인 대상 신이고, 충남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의 경우 장승·솟대·선돌이 복합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또 부산시 금정구 두구동의 거리제는 탑과 그 위에 얹힌 오리 모양의 새를 신체로 모시고 있다. 이를 ‘거릿대’라고 부른다. 이들 하위 신은 단독으로 세워지기도 하지만 몇 개의 신체(神體)가 복합 양상을 이루면서 하나의 성역을 구성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전남에서는 이와 달리 구체적인 신체 없이 마을 어귀나 삼거리에서 일련의 제의를 행하고 있어 충청지역과는 차별화된 양상을 살필 수 있다. 거리제는 정월 초에서 대보름 사이에 주로 거행되는 신년제 성격이 짙다. 산신제, 당제로 대표되는 상당의례가 마을 전체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면 거리제는 하당의례의 특성상 재액소멸, 역질퇴치, 우마창성 등 좀 더 구체적이고 세세한 소망이 담겨 있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전염병과 괴질의 창궐로 인해 인명 손실이 컸던 지난날의 열악한 사정을 일정 부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거리제를 모시는 제장은 사람들의 출입이 많은 곳이다. 이러한 곳은 사람뿐만 아니라 객귀나 잡신들의 출입이 잦은 곳이라고 마을 사람들은 생각한다. 이 때문에 매년 특정한 날에 갖은 음식을 장만하여 대접함으로써 마을에 닥칠지 모르는 재앙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다. 전남 지방에서도 특히 도서해안 지역에서 거리제를 많이 모시고 있다. 진도의 경우 마을신앙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꼽히는 거리제는 당제에 비하면 제의 양상이 남녀 모두가 참여하는 축제 형태이다. 제의 장소도 사람들 편의에 따라 쉽게 변한다. 근래에는 마을 삼거리에서 마을회관이나 모정으로 옮겨 모시는 마을이 많아졌다. 제를 모시는 동안에는 이러한 공간이 의례적 의미를 지니는 공간으로 변환되어 인식된다. | 지역사례 | 진도군 의신면 가단[마을](/topic/마을)에서는 매년 ‘산신제’와 ‘거리제’를 모시며, 음력 정월 열나흗날 오전 10시쯤 시작하여 낮 12시쯤 모두 끝이 난다. 언제부터 모시게 되었는지 자세한 내력은 알 수 없으나 지금에 이르도록 모시고 있으며, 한 해도 거른 적이 없다. 산신제를 모신 뒤에 바로 마을 어귀에 위치한 모정에서 거리제를 모신다. 거리제는 특별한 신체 없이 [제상](/topic/제상)을 차리면서 ‘가리대신’, ‘열성대신’, ‘본향대신’이라는 지방을 써놓는다. 제 모시기 사흘 전에 마을에서는 [제관](/topic/제관)을 선정한다. 그해 갑자을축을 따져 생기가 맞는 사람으로 두 명의 제관을 뽑게 된다. 그리고 두 명의 제관 가운데 한 제관의 부인이 제물을 장만한다. 예전에는 제물을 제관 부인 혼자서 장만하였으나 2005~2006년부터 마을회관에서 음식을 장만하면서 마을 사람들이 거들고 있다. 제비는 집집마다 조금씩 걷어 마련하였다가 근래에는 마을 자금으로 충당하고 있다. 제비는 40만~50여 만 원이 소요된다. 또한 진도군 진도읍 조금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흗날 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 지내는 마을제사를 ‘거리제’ 또는 ‘거래제’라고 한다. 제사를 지내는 곳은 마을회관이며, 제사가 끝난 후에는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해초를 넣은 [오곡](/topic/오곡)밥을 [대문](/topic/대문) 앞에 놓아두는 것이 특징이다. 제사를 지내는 대상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으며, 우리 주변을 떠도는 잡신을 위로하고 마을의 평안을 기도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제 모시기 일주일 전에 개발위원회 회의를 통해 제관과 제물 장만할 사람을 선정한다. 제관은 나이 많은 남자 어른 중에서 한 사람을 선정하고, 제물 장만은 나이 많은 여자 어른들 중에서 유고(有故)가 없고 활동력이 있는 세 사람을 선정한다. 제비는 마을기금으로 사용한다. [동답](/topic/동답) 등 공동재산이 있는 것은 아니며 마을총회 때 사람들이 내놓는 찬조금을 모아서 사용한다. 다른 마을들에서도 거리제 모시는 양상은 유사하다. 거리제는 특별한 신체 없이 마을 사람들 중 자손이 없이 죽은 사람이나 객지에서 죽은 사람 가운데 제를 모셔줄 임자가 없는 사람 모두를 대상으로 제를 모신다. 이들에게 제를 지내는 이유는 이들이 마을에 해를 끼치는 것을 막아 마을에 큰 사고나 우환을 없애기 위함이다. 거리제를 모시는 대부분의 마을은 이러한 성격과 기능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거리제의 신격은 객귀나 잡신을 일컫는다. 마을에 따라 ‘가리대신(街里大神)’이라고 높이 칭하기도 한다. 이렇듯 거리제는 마을에 떠도는 객귀를 달래기 위해 모시는 제의로, 여느 당제나 [용왕제](/topic/용왕제)와는 분명히 구별된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 용왕제를 거리제라 명명하기도 하는 것은 거리제의 일부 성격이 용왕제와 혼융된 결과로 풀이된다. 용왕제가 바닷가라 하더라도 마을 앞 사거리나 큰길 등 마을 가까운 곳에서 제를 모시기 때문에 마을 사람들의 공간에 대한 직접적인 인식에 따라 거리제로 명명되고 있다. 이는 공간에 따른 분화가 구체적인 제의 양상으로 표현되고 있다 할 수 있다. 바다에서 내륙으로 들어올수록, 농경 위주의 생활공간일수록 거리제는 용왕제의 성격과 확연히 구분되는 것으로 볼 때 이는 도서해안 지역 마을신앙의 또 다른 특징으로 해석된다. 또한 도서 지역으로서의 생태 환경에 적응하면서 그 마을만의 독자적인 문화 양상으로 전승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지역사례 | 진도군 의신면 가단[마을](/topic/마을)에서는 매년 ‘산신제’와 ‘거리제’를 모시며, 음력 정월 열나흗날 오전 10시쯤 시작하여 낮 12시쯤 모두 끝이 난다. 언제부터 모시게 되었는지 자세한 내력은 알 수 없으나 지금에 이르도록 모시고 있으며, 한 해도 거른 적이 없다. 산신제를 모신 뒤에 바로 마을 어귀에 위치한 모정에서 거리제를 모신다. 거리제는 특별한 신체 없이 [제상](/topic/제상)을 차리면서 ‘가리대신’, ‘열성대신’, ‘본향대신’이라는 지방을 써놓는다. 제 모시기 사흘 전에 마을에서는 [제관](/topic/제관)을 선정한다. 그해 갑자을축을 따져 생기가 맞는 사람으로 두 명의 제관을 뽑게 된다. 그리고 두 명의 제관 가운데 한 제관의 부인이 제물을 장만한다. 예전에는 제물을 제관 부인 혼자서 장만하였으나 2005~2006년부터 마을회관에서 음식을 장만하면서 마을 사람들이 거들고 있다. 제비는 집집마다 조금씩 걷어 마련하였다가 근래에는 마을 자금으로 충당하고 있다. 제비는 40만~50여 만 원이 소요된다. 또한 진도군 진도읍 조금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흗날 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 지내는 마을제사를 ‘거리제’ 또는 ‘거래제’라고 한다. 제사를 지내는 곳은 마을회관이며, 제사가 끝난 후에는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해초를 넣은 [오곡](/topic/오곡)밥을 [대문](/topic/대문) 앞에 놓아두는 것이 특징이다. 제사를 지내는 대상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으며, 우리 주변을 떠도는 잡신을 위로하고 마을의 평안을 기도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제 모시기 일주일 전에 개발위원회 회의를 통해 제관과 제물 장만할 사람을 선정한다. 제관은 나이 많은 남자 어른 중에서 한 사람을 선정하고, 제물 장만은 나이 많은 여자 어른들 중에서 유고(有故)가 없고 활동력이 있는 세 사람을 선정한다. 제비는 마을기금으로 사용한다. [동답](/topic/동답) 등 공동재산이 있는 것은 아니며 마을총회 때 사람들이 내놓는 찬조금을 모아서 사용한다. 다른 마을들에서도 거리제 모시는 양상은 유사하다. 거리제는 특별한 신체 없이 마을 사람들 중 자손이 없이 죽은 사람이나 객지에서 죽은 사람 가운데 제를 모셔줄 임자가 없는 사람 모두를 대상으로 제를 모신다. 이들에게 제를 지내는 이유는 이들이 마을에 해를 끼치는 것을 막아 마을에 큰 사고나 우환을 없애기 위함이다. 거리제를 모시는 대부분의 마을은 이러한 성격과 기능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거리제의 신격은 객귀나 잡신을 일컫는다. 마을에 따라 ‘가리대신(街里大神)’이라고 높이 칭하기도 한다. 이렇듯 거리제는 마을에 떠도는 객귀를 달래기 위해 모시는 제의로, 여느 당제나 [용왕제](/topic/용왕제)와는 분명히 구별된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 용왕제를 거리제라 명명하기도 하는 것은 거리제의 일부 성격이 용왕제와 혼융된 결과로 풀이된다. 용왕제가 바닷가라 하더라도 마을 앞 사거리나 큰길 등 마을 가까운 곳에서 제를 모시기 때문에 마을 사람들의 공간에 대한 직접적인 인식에 따라 거리제로 명명되고 있다. 이는 공간에 따른 분화가 구체적인 제의 양상으로 표현되고 있다 할 수 있다. 바다에서 내륙으로 들어올수록, 농경 위주의 생활공간일수록 거리제는 용왕제의 성격과 확연히 구분되는 것으로 볼 때 이는 도서해안 지역 마을신앙의 또 다른 특징으로 해석된다. 또한 도서 지역으로서의 생태 환경에 적응하면서 그 마을만의 독자적인 문화 양상으로 전승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
대포수의 퇴송 | 21987 대포수의 퇴송 |
---|---|
대포수의 거릿제 | 21966 대포수의 거릿제 |
대야마을 거릿제 오쟁이 | 22362 대야마을 거릿제 오쟁이 |
아랫당산에서의 굿패 | 21840 아랫당산에서의 굿패 |
거리제 | 23752 거리제 |
거리제 | 23767 거리제 |
삼거리에 줄을 선 굿패 | 21829 삼거리에 줄을 선 굿패 |
마을회관의 굿패 | 21823 마을회관의 굿패 |
대야마을 거릿제 오쟁이 | 22359 대야마을 거릿제 오쟁이 |
죽동에서 그랑이를 버리고 도망가는 대포수 | 21962 죽동에서 그랑이를 버리고 도망가는 대포수 |
대포수의 퇴송 | 21987 대포수의 퇴송 |
대포수의 거릿제 | 21966 대포수의 거릿제 |
대야마을 거릿제 오쟁이 | 22362 대야마을 거릿제 오쟁이 |
아랫당산에서의 굿패 | 21840 아랫당산에서의 굿패 |
거리제 | 23752 거리제 |
거리제 | 23767 거리제 |
삼거리에 줄을 선 굿패 | 21829 삼거리에 줄을 선 굿패 |
마을회관의 굿패 | 21823 마을회관의 굿패 |
대야마을 거릿제 오쟁이 | 22359 대야마을 거릿제 오쟁이 |
죽동에서 그랑이를 버리고 도망가는 대포수 | 21962 죽동에서 그랑이를 버리고 도망가는 대포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