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명

한국무속신앙사전
무속에서 넓은 의미의 사자(死者)를 가리키는 개념. 이 사자가 혈연관계에 있는 경우 말명은 넓은 의미의 조상을 의미한다.
definition
무속에서 넓은 의미의 사자(死者)를 가리키는 개념. 이 사자가 혈연관계에 있는 경우 말명은 넓은 의미의 조상을 의미한다.
mp3Cnt
0
wkorname
이용범
정의무속에서 넓은 의미의 사자(死者)를 가리키는 개념. 이 사자가 혈연관계에 있는 경우 말명은 넓은 의미의 조상을 의미한다.
巫俗中广义上指代死者的概念,若该死者有血缘关系,万明从广义上意为祖神。

“万明”虽然是指“死去女子的灵魂”,但广义上是对“死者”的统称。此外,在祖神中,也指含恨未解,常出现于家人梦境中的魂。据传,这种情况下,只有制作祖神的衣服并放入柳条箱(用柳条做成的圆圆扁扁的小箱子),供奉于家中,巫师家或寺庙,其在世的家人才能安全。同时,在供奉万明箱子时,箱子中不仅要放祖神的衣服,还要放一些钱。若是年少夭折或未婚先死等遭遇非正常死亡的祖神,有可能会给活着的家人带来危险,因此必须将其供奉为万明。此外,供奉这种危险祖神的万明箱子,不可进入房间,通常应放置于大门入口或鞋柜上等地方。但是通常这种万明箱子大部分被供奉于[巫祭](/topic/巫祭)祭堂或巫师的神堂中。
Malmyeong is a broad term that refers to the dead in Korean folk religion. When the dead being refered to by the term are related by blood, the term signifies ancestors at large.

In narrow terms Malmyeong refers to the soul of a deceased female, but broadly it can be used for all deceased souls. It can also refer to an ancestor who has died with a grievance and appears often in family members’ dreams, in which case a garment is tailored for the ancestor and kept inside a small willow basket at home, at a shaman’s shrine, or at a templ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surviving family. This basket is called malmyeongsangja (box for Malmyeong) and should contain not only the garment but a small amount of money. It is believed that an ancestor who has died young or before getting married can incur harm on the surviving family, and must be worshipped as Malmyeong. A Malymyeong box is considered dangerous, and is kept out of the rooms, sometimes by the door or above the shoe rack in the home, but is generally kept in a shaman’s shrine.
Malmyeong se refiere a un término amplio que describe el mensajero de la muerte en la religión popular en Corea. En caso de que el mensajero de la muerte se relacione con los vivos por sangre, el término significa “ancestros”.

En la estrecha definición, el término Malmyeong hace referencia al espíritu de una mujer muerta, pero se utiliza para indicar a los espíritus de todos los muertos. La palabra puede referirse a un ancestro que murió con rencor y desde entonces, a sus familiares se les ha aparecido en forma de sueño, en cuyo caso un vestido debe prepararse a medida para el ancestro y guardar una pequeña caja redonda en la que se coloca dicho vestido en el hogar, santuario chamánico, o en un templo budista para garantizar la seguridad de los miembros vivos de la familia. En este caso, la caja guardada se denomina malmyeongsanja que significa “caja para Malmyeong”, y contiene no solo un vestido, sino también una pequeña cantidad de dinero. Se cree que los ancestros que murieron solteros pueden causar daños a sus descendientes vivos, así que deben ser venerados como Malmyeong. La casa de Malmyeong se considera peligrosa, por lo tanto no la guardan en las habitaciones, sino en la entrada o sobre la estantería para zapatos del hogar. No obstante, el santuario chamánico es el lugar más general donde se guarda la malmyeongsanja.
내용말명에 대한 무가사설을 보면 말명이 지닌 의미의 폭이 대단히 넓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무가 [사설](/topic/사설)을 보면 “선대달어 할아버지 할머니 말명 이대 할아버지 할머니 내외말명/ 하늘 아래 아버지 군마제장 어머니 업말명/ 고모말명 이모말명 삼사촌 내외말명 오촌 내외말명/ 남동승 남제장 여동승 여말명/ 조카항렬에 가던 말명 청춘말명 소년말명 호구말명 도령제장 원주 집주 말명” 등 다양한 말명이 등장한다.

이러한 무가 사설은 말명이 ‘죽은 여자의 영혼’을 가리키지만 크게는 ‘죽은 자’ 전체를 가리키고 있음을 보여 준다. ‘어머니 업말명 여동승 여말명 호구말명 고모말명 이모말명’의 경우에서처럼 말명이 주로 여성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아울러 ‘내외말명 조카 항렬에 가던 말명 청춘말명 소년말명 원주 집주 말명’의 경우처럼 남녀 모두를 지칭하기도 한다.

또한 말명은 조상 가운데서도 한(恨)이 있어 가족의 꿈에 자주 나타나는 혼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 경우 조상의 옷을 만들어 동고리에 넣어 집안 혹은 무당집이나 절에 모셔 두어야만 살아 있는 가족들이 안전하다고 한다. 이와는 달리 죽은 조상에 대해서는 상자 속에 [의복](/topic/의복)을 넣어서 말명, 즉 말명상자를 모든 조상에 대해 모셔야 하나 죽은 조상이 굿과 같은 경우를 통해 꼭 말명으로 좌정하겠다고 말하지 않으면 굳이 말명상자를 모시지 않아도 된다는 설명도 있다. 한편 말명상자를 모실 경우 상자 안에 조상의 의복뿐 아니라 돈도 조금 넣어 둔다고 한다. 또한 집안에서 굿을 할 경우 말명상자 안에 모셔둔 조상 옷을 놀려 주고, 그 상자 속에 있는 돈에 다른 돈을 더하여 조상의 의복을 새로 마련하기도 한다.

그러나 나이가 어려서 죽었다든가 결혼을 못하고 죽는 등의 비정상적인 죽음을 당한 조상의 경우 살아 있는 가족들에게 위험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말명으로 모셔야 된다고 한다. 그리고 그런 위험한 조상을 모신 말명상자는 방으로는 못 들어가고 문 입구, [신발](/topic/신발)장 위 같은 곳에 올려놓는다고 한다. 그러나 이런 말명상자는 대부분 굿당이나 무당의 신당에 모셔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렇게 말명을 굿당이나 신당에 모시는 것은 조선시대에 조부모나 부모의 혼을 무당 집에다 모셔 놓았던 [위호](/topic/위호)(衛護)를 연상]시킨다.

이처럼 말명은 넓은 의미의 조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말명을 ‘만명(萬明)’으로 보고 김유신 [장군](/topic/장군)의 어머니인 만명부인을 모시는 것으로 설명하는 것은 타당성이 없다.
참고문헌한국무속에 나타난 신의 유형과 성격 (이용범, 민속학연구 13, 국립민속박물관, 2003)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역사로 본 한국 무속 (이능화 지음, 서영대 역주, 창비, 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