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2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칠성신
    329 2023.02.27
    무병장수, 소원성취, 자녀성장, 안과태평 등을 관장하는 신.
  • 감흥신령
    1122 2023.02.27
    단군왕검을 지칭하는 다른 신명(神名).
  • 맹인신장
    430 2023.02.27
    전문적으로 점복(占卜)에 종사하는 맹인(盲人)들과 무당이 모시는 점복신. 자손의 번영과 가운(家運) 대통, 무병장수를 도와 주며 눈병을 고쳐 주기도 한다.
  • 손각시
    358 2023.02.27
    혼기가 찬 처녀가 시집을 [가지](/topic/가지) 못하고 죽은 것이 한이 되어 주로 자기 또래의 혼기 찬 처녀를 괴롭히는 악귀. 손말명, 왕신, 처녀귀신이라고도 한다.
  • 태주
    319 2023.02.27
    어린아이가 죽어서 된 귀신 혹은 그러한 귀신이 몸에 실린 무당.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보통 굶어 죽거나 천연두에 걸려 죽은 아이의 혼령 혹은 그 혼령이 몸에 붙은 무당으로 알려져 있다. 태주는 남녀 어린아이 모두의 혼령과 관련되기도 하지만 좁혀서 남자 어린아이에 한정하여 일컫기도 한다. 반면에 여자 어린아이의 혼령이나 그 혼령이 몸에 실린 무당을 ‘명도(明圖)’ 혹은 ‘명두(明斗)’라 일컫는다. 근래에 들어와서는 태주보다 도령, 동자, 애기동자, 산신동자, 선동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 객귀
    725 2023.02.27
    사람이 천수를 다하지 못하고 집 밖의 객지에서 죽었을 때 그 혼령이 승천하지 못하고 [원귀](/topic/원귀)가 되어 자기 가족이나 친척 등을 괴롭힌다는 귀신. 떠돌이 귀신을 부르는 말이다.
  • 몸주대감
    448 2023.02.27
    사람의 몸에 깃들어 있다고 믿어지는 대감신의 하나. 남자는 ‘몸주대감’이라 하고, 여자는 ‘직성대감’이라고 한다. 이처럼 남녀에 따라 몸주대감과 직성대감으로 나누지만, “남자는 열두 직성 여자는 아홉 직성” 등 다른 무가 [사설](/topic/사설)에서는 남녀에 따른 몸주와 직성을 나누지 않고 있다. 따라서 몸주와 직성은 단지 사람의 몸에 깃든 대감신의 남녀 성차를 나타내는 것 외에 다른 의미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 십대왕
    417 2023.02.27
    명부(冥府)세계에 있으면서 죽은 사람의 선업(善業)과 악업(惡業)을 재판하는 열 명의 왕.
  • 호구별성
    371 2023.02.27
    서울굿 혹은 강신무와 [세습무](/topic/세습무)권에서 모두 섬기는 신격 가운데 하나. 호구와 별성이 서로 결합된 신명(神名)이다. 호구는 [마마신](/topic/마마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천연두를 앓고 죽은 신격을 말한다. 이와 달리 별성은 ‘별상’이라는 말이 와음된 것으로 보이지만 명확하지 않으며, 오히려 그 반대의 경우로도 볼 수 있다.(호구별성과 호구별상이라는 명칭이 둘 다 쓰인다) 이처럼 두 말이 결합되어서 하나의 신격으로 결합된 것은 이례적인 현상이다.
  • 걸립신
    713 2023.02.27
    한국 무(巫)의 신격 중 하나. 주로 굿의 뒷전에 모시는 하위신으로 분류된다.
  • 몸주신
    449 2023.02.27
    무당에게 강신하여 영력(靈力)의 주체가 되고 있는 신(神).
  • 약사불사
    430 2023.02.27
    치병의 능력을 갖고 있는 신으로, 불교에서 유래한 무속신. 약사불사는 약사여래(藥師如來)를 중심으로 한 불교의 약사신앙이 무속에 수용되면서 성립된 신으로 보인다.
  • 계면
    710 2023.02.27
    서울ㆍ경기 지역 굿의 계면거리와 동해안 지역 굿의 계면굿에서 모셔지는 신.
  • 몽달귀신
    460 2023.02.27
    원한을 품은 채 죽은 총각 귀신.
  • 오방신장
    376 2023.02.27
    다섯 방위(方位)를 관장하여 지키는 수호신. 오방신(五方神), 오방[장군](/topic/장군)(五方將軍)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