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상

한국무속신앙사전
조상상
서울굿에서 조상을 대접하기 위해 차린 상.
definition
서울굿에서 조상을 대접하기 위해 차린 상.
mp3Cnt
0
wkorname
김헌선
정의서울굿에서 조상을 대접하기 위해 차린 상.
내용조상상은 굿상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무속신앙의 가장 중요한 부분 가운데 하나가 [조상신](/topic/조상신)앙이고, 조상신앙에서 구대조상에서부터 [신대](/topic/신대)조상까지 이어지는 모든 조상을 대접하기 위해 모시는 상차림이 바로 조상상이다.

대상, 대감상, 조상상은 서울굿의 일관된 구성 아래 인격신을 모시고 음식을 대접하는 세 [가지](/topic/가지) 구성 요소가 된다. 이 구성 요소 아래 인격신의 위계에 따라 위계가 가장 낮지만 중핵의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조상상이다. 조상상은 특별한 장식이 없지만 이 장식이 없는 것이 조상상의 요점이다.

조상상 옆에는 공상을 놓는다. 공상에는 잣, 밤, [대추](/topic/대추), 호두, 은행, 옥춘, 약과, 산자, 과자, 유밀과 등을 괸다. 공상은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조상상과 공상은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비록 조상과 친인척의 관계는 아니니만 조상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인물들을 위한 상이 곧 공상이다.

조상상에는 떡, 과일, 나물, 약과, 산자, 약식 등의 음식과 조상의 수에 맞추어서 술잔을 올린다. 여기에 [향로](/topic/향로)와 촛불 등을 놓는 것이 기본적인 방식이다. 밤과 대추 등은 핵심적인 과로 올라간다. 떡은 편떡과 백설기 등이 놓이고, 편과 백설기는 매우 핵심적인 기능을 한다.

과일에는 삼색실과를 놓는다. 계절에 따라 과일은 다르게 놓인다. 여름에는 [수박](/topic/수박)·[참외](/topic/참외)·햇[사과](/topic/사과) 등, 가을에는 배·사과·감 등이 각각 놓인다. 나물에는 도라지, 고사리, [시금치](/topic/시금치), [호박](/topic/호박)나물 등이 놓인다. 정갈한 음식을 위주로 마련되는 이런 상차림은 화려함을 추구하지 않으면서도 마치 생일상처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외에 잡채 등이 곁들여지기도 한다.

공상의 상차림은 화려하지 않으며, 조상상과 비교해 크지도 않다. 이런 점에서 조상상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는 상차림임을 짐작 할 수 있다. 조상상과 공상은 여러 각도에서 대조를 보이는 상차림이다. 공상과 조상상은 서로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가운데 공상이 화려하게 장식되지 않지만 조상상과 견주어서 놓는 상이란 점은 변함 없는 사실이다.

조상상의 상차림은 유가식의 상차림과 좋은 대조를 보인다. 전통적인 사례에 입각해서 보면 조상상은 갖가지 격식이 있지만 유가식 상차림과 일정하게 맞물리면서도 이와 구분되는 상차림을 하고 있다. 따라서 조상상과 유가식의 상차림은 공통점과 함께 차이점을 지적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두 상차림은 전통적인 상차림으로 제사상과 다르다. 유교식 상차림은 오히려 [상식상](/topic/상식상)과 비교가 된다.

여기에서 한국인의 보편적 관념으로서 조상신앙의 요체를 알 수 있다. 유교식으로는 혈연적 직접성과 관계없이 조상과 잠정적인 관계를 맺어도 이를 조상의 반열에 올려서 상을 차리는 것이 기본적인 관념이다. 여기에서는 조상의 광범위한 관념이 조상상과 공상의 관계 속에서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서울굿의 조상상은 인격신의 위계에 의해 차려지는 소중한 상 가운데 하나이다. 세 가지 인격신의 총체를 구성하는 서울의 조상상은 소박한 조상옷을 입고 평범한 일상식의 상차림보다 강조된 이른바 생신상이나 잔칫상 정도의 의의를 부여하는 점에서 긴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한국의 무 (조흥윤, 정음사, 1983)
高麗史
星湖僿說
芝峯類說
朝鮮王朝實錄
五洲衍文長箋散稿
World university libraryLucy Mair, Witchcraft1969
인하대학교장희빈 저주사건의 신해석Boudewijn Walraven1987
平河出版社蠱毒澤田瑞穗1990
국사편찬위원회민속종교서영대1996
上海文藝出版社中國巫蠱考察鄧啓耀1999
조상상
64600
조상상
조상상
64362
조상상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