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닫이

한국무속신앙사전
경남 동해안 지역의 무가이자 [장단](/topic/장단) 명칭인 엇청보 2장의 별칭. [미닫이](/topic/미닫이), 즉 엇청보는 경남 동해안 지역의 오구굿에서 주로 쓰는 음악이다. 한 장단이 청보의 다섯 칸을 벗어난 일곱 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엇청보’라 부른다. 이 때문에 ‘엇자’라는 별칭도 있다.
definition
경남 동해안 지역의 무가이자 [장단](/topic/장단) 명칭인 엇청보 2장의 별칭. [미닫이](/topic/미닫이), 즉 엇청보는 경남 동해안 지역의 오구굿에서 주로 쓰는 음악이다. 한 장단이 청보의 다섯 칸을 벗어난 일곱 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엇청보’라 부른다. 이 때문에 ‘엇자’라는 별칭도 있다.
mp3Cnt
0
wkorname
장휘주
정의경남 동해안 지역의 무가이자 [장단](/topic/장단) 명칭인 엇청보 2장의 별칭. [미닫이](/topic/미닫이), 즉 엇청보는 경남 동해안 지역의 오구굿에서 주로 쓰는 음악이다. 한 장단이 청보의 다섯 칸을 벗어난 일곱 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엇청보’라 부른다. 이 때문에 ‘엇자’라는 별칭도 있다.
내용[미닫이](/topic/미닫이)는 경남의 남대청보나 경북의 달어청보와 달리 7장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장에서 제3장까지는 박자의 변화에 의해 장(章)을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목이 올라가는 것(음고와 음역의 변화)에 의해 장을 구분한다. 즉 (
참고문헌동해안의 굿음악, 그 전승과 단절의 역사 (장휘주, 민속원, 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