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마장군

한국무속신앙사전
백마장군
황해도굿의 주요한 신격. 백마를 탄 [장군](/topic/장군)신으로, 인간을 수호한다.
definition
황해도굿의 주요한 신격. 백마를 탄 [장군](/topic/장군)신으로, 인간을 수호한다.
mp3Cnt
0
wkorname
김은희
정의황해도굿의 주요한 신격. 백마를 탄 [장군](/topic/장군)신으로, 인간을 수호한다.
내용백마[장군](/topic/장군)은 백마를 타고 하늘과 땅을 왕래하면서 인간을 수호하는 수호신이다. 황해도 지역에서 모시는 백마신장은 굿을 할 때 걸어두는 신의 모습인 마지(麻紙)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백마장군은 철갑으로 된 [모자](/topic/모자)를 쓰고 장군복을 입고, 눈을 부릅뜨고, 오른손에 기다랗고 시퍼렇게 날이 선 장군칼을 휘두르면서 백마를 타고 용맹스럽게 달리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일찍이 백마를 탄 영웅의 모습은 신화나 [민담](/topic/민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이러한 신화적 인물이나 영웅들의 위엄을 지닌 신격이 백마장군이다. 백마는 하늘을 나는 천마(天馬)와 이미지가 겹쳐서 나타난다. 이러한 사고는 일찍부터 우리나라에 존재했다. 예를 들면 경주 황남대총(皇南大塚)의 천마총(天馬塚)에서 발굴된 말다래에서 하늘을 난다는 백마인 천마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장에서 용맹을 떨친 장군의 표상으로 백마장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삼국지(三國志)』의 공손찬(公孫瓚)이나 우리나라의 김유신(金庾信), 홍경래(洪景來) 등이 백마장군으로 불리고 있다.

장군신은 인격신 계열에 속하며, 다양한 유래가 전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황해도 지역에서 어업과 관련해 모시는 임경업(林慶業) 장군, 서울 지역에서 으뜸으로 모시는 [최영](/topic/최영)(崔瑩) 장군 등은 역사적 사건을 근거로 하여 분명한 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신격이다.

한편 황해도굿의 연행자인 [김금화](/topic/김금화) 만신은 백마장군을 “황해도 옹진군 으아도에 모셔져 있는 신으로, 으아도를 지켜주는 수호신”이라고 하였다. 이는 무속의 신을 특정 지역에 연계하여 그 내력을 분명하게 한 경우라 할 수 있다.

백마장군은 황해도굿의 [작두](/topic/작두)를 타는 장군거리에서 여러 장군신과 함께 반드시 주워 섬기는 신이다. 말로 주워 섬기는 것이 굿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신을 섬기는 방식이기 때문에 백마장군은 만신이 특별히 [몸주신](/topic/몸주신)으로 모시는 경우가 아니면 청배와 [공수](/topic/공수)에서 신명을 들어서 말로 보이는 방식으로 연행한다.
지역사례백마[장군](/topic/장군)은 장군신으로, 그 영웅적 측면이 신으로 격상되어 위력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역의 [마을](/topic/마을) 도당이나 [서낭당](/topic/서낭당) 등에서 백마장군의 화분을 다수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북 양양의 백마장군 성황당에서는 [최영 장군](/topic/최영장군)과 함께 백마장군의 화분을 모시고 있으며, 서울의 신길2동 부군당 역시 주신인 부군신 내외와 함께 백마장군의 화분을 모시고 있다.
참고문헌한국 무신의 계통 (김태곤, 문화인류학 3, 한국문화인류학회, 1970)
[김금화](/topic/김금화)의 무가집 (김금화, 문음사, 1995)
한국 무속신 고찰 (양종승, 몽골학 4, 1996)
한국 무속의 신관에 대한 연구-서울 지역 재수굿을 중심으로 (이용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백마장군
64602
백마장군
백마장군
64791
백마장군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