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현춤

한국무속신앙사전
삼현춤
황해도굿에서 무당이 삼현장단, 곧 느린타령 또는 허튼타령 [장단](/topic/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
definition
황해도굿에서 무당이 삼현장단, 곧 느린타령 또는 허튼타령 [장단](/topic/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
mp3Cnt
0
wkorname
허용호
정의황해도굿에서 무당이 삼현장단, 곧 느린타령 또는 허튼타령 [장단](/topic/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
내용황해도굿에서 무당이 추는 춤 가운데 삼현춤은 느린타령 또는 허튼타령 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이다. 삼현춤이라는 명칭은 학술적 편의를 위해 새롭게 만들어진 것은 아닌 듯하다. [김금화](/topic/김금화)의 철[무리](/topic/무리)굿 초부정ㆍ초감흥굿에서 “여보시오 만조백관 신의 창(청)배씨들 / 감흥씨가 나왔다가 맺던 마음을 풀고 / 긴 장단으로 삼현춤에 거상이나 하고 들어(돌아)가자”고 하여 삼현춤이라는 언급이 나타난다. 이로 보아 황해도 무당들 사이에서 오래전부터 삼현춤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어 왔던 것으로 보인다.

삼현춤은 [거상춤](/topic/거상춤)을 구성하는 세부 춤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주로 황해도굿의 칠성ㆍ제석거리에서 이러한 거상춤을 춘다. 거상춤은 처음에 [거상장단](/topic/거상장단)에 따라 추지만 의식의 진행에 따른 장단의 변화에 따라 춤의 형태 또한 변화한다. 거상장단이 점차 빨라짐에 따라 춤 형태 역시 변화하는 것이다. 그 춤의 순서는 제배춤, [벅구춤](/topic/벅구춤)(덤쿵춤), 넘길춤, [부채춤](/topic/부채춤), [장삼](/topic/장삼)춤, [바라춤](/topic/바라춤), [칠성검](/topic/칠성검)춤(칠성칼춤), 삼현춤, 막춤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삼현춤을 춘다. 거상춤 속의 삼현춤 역시 삼현장단([타령장단](/topic/타령장단))에 맞추어 여러 짓거리를 하면서 흥겹게 춘다. 주로 맨손으로 어깨춤을 추며, 신령의 여러 [가지](/topic/가지) 우스꽝스러운 흉내를 내기도 하고 상징적인 표현을 하기도 한다. 삼현춤을 출 때 장구잽이와 징잽이가 구음을 하기도 한다.
지역사례삼현춤은 황해도굿을 전승하는 여러 무당의 굿에서 사례가 보고되었다. 이로 보아 황해도굿에서 일반적으로 추는 춤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황해도 평산소놀음굿에서는 대감거리와 신장거리, 때에 따라 칠성ㆍ제석거리에서 춘다. 삼현장단에 맞춰 흥겹게 춘다. 같은 팔에 같은 쪽 발을 동시에 들어올리며 추는 삼현춤은 같은 팔에 같은 쪽 발을 동시에 들어올리는 동작이 특이하다. 흥겹게 어깨춤을 추기도 하는 삼현춤에서는 [대감놀이](/topic/대감놀이)굿의 수웅거타령에서와 같이 팔과 다리의 움직임 없이 제자리에서 어깨춤만 추는 등 어깨를 우쭐대는 대목이 눈에 많이 띈다. 삼현춤은 주로 어깨춤이 많고, 춤을 추면서 신령님들의 흉내를 내기도 한다. [서해안배연신굿 및 대동굿](/topic/서해안배연신굿및대동굿)에서는 초부정거리나 성수거리 등에서 삼현춤을 춘다. 앞으로 갔다 뒤로 갔다 하다가 맴돌고 또 반대로도 돈다. 맴돌 때는 발꿈치를 뒤로 내놓고 앞에서 뒤로 갈 때는 발을 양쪽으로 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황해도굿의 칠성ㆍ제석거리에서 [거상춤](/topic/거상춤)을 구성하는 세부 춤으로 추기도 한다.
참고문헌[김금화](/topic/김금화) 무가집 (김금화, 문음사, 1995)
[황해도평산소놀음굿](/topic/황해도평산소놀음굿) (양종승,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서해안배연신굿 및 대동굿](/topic/서해안배연신굿및대동굿) (하효길, 화산문화사, 2002)
[민속무용](/topic/민속무용)과 예술 (양종승, 비교민속학회, 비교민속학 23, 2002)
한국의 굿 (하효길 외, 도서출판 民俗苑, 2002)
한국무속학회황해도 굿에 쓰이는 종이 신화와 신구의 종류, 형식, 상징성 고찰양종승2006
삼현춤
64548
삼현춤
삼현춤
64547
삼현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