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둘레길 17 페이지 > clubrichtour

걷기/자전거 여행
제목
  • 승부역 가는길
    우리나라 최고 오지인 봉화 승부역이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0여 년 전 환상선 눈꽃열차가 운행되면서부터다. 영동선의 모든 열차가 쉬었다가는 석포역에서 승부역까는 도보로 12.4km 구간이며, 3시간 20분정도 소요된다. 이정표나 지도 없이도 갈 수 있는 외줄기 길로 눈부시게 푸른 초록의 높다란 산과 시원하게 흐르는 계곡물소리, 백로,왜가리가 날아드는 천혜의 경관을 보고 있노라면 자연 그대로의 자연이 온몸으로 느껴진다. 특히 시원한 계곡물에 발을 담그고 있으면 속살이 훤히 들여다보일 정도로 물이 맑으며,물가 옆에는 산나물이 천지다. 열차가 아니면 갈수 없는 곳으로 알려진 길인만큼 훼손되지 않아 그 거침이 더 아름답게 다가오는 승부역 가는 길은 이름 모를 꽃들에 마을을 빼앗기기도 하고, 산등성이를 지나는 열차를 보며 여행의 즐거움을 느끼기에 안성맞춤이다.
    604 2022.07.15
  • 바다사랑길
    전체적인 노선은 해안가 산책코스로 바다경관과 서해대교를 보며 걸을수 있는 편한 개념으로 접근하면 좋을듯한 노선이다. 출발점이 삽교바다공원 끝에서 시작되어 이정표를 참고하여 매산공원까지 이동한다. 시점부에 설치된 종합안내판에 자세한 노선 정보를 참고하고, 삽교호 관광지 인근에 위치하여 볼거리와 먹거리가 풍부하여 가벼운 마음으로 가족과 함께 할수 있는 좋은길이다.
    603 2022.07.15
  • 부산원도심 스토리투어 흰여울길
    저 멀리 태평양을 품고 있는 영도의 절벽에 자리잡은 흰여울마을은 이탈리아 리비에라에 절벽과 바위로 이루어진 해안마을인 친퀘테레를 연상시킨다. 오랜 시간동안 만들어져온 절벽의 가파른 지형에 옹기종기 모여있는 마을을 들어서면 마음이 포근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바다 부다 주차장인 묘박지에 떠있는 배들이 필요한 것들을 지원해즈는 선용품점들과 녹슨 페인트를 벗겨내고 수리를 할 수 있는 업체들이 아래쪽 남항에 밀집되어 있다. 배고프면 젖을 주고 밖에서 한참 놀다오면 깨끗하게 씻기고 재로 옷을 입혀주는 엄마와 같이 푸근하고 넉넉한 마음을 가진 아름다운 마을이다. 방문시 골목길 마다 묻어나는 삶의 향기는 충분히 즐기되 발소리와 말소리는 작게하도록 하자. 그대들이 지나는 곳이 거주하는 주민들의 앞마당이고, 정원이기 때문이다.
    603 2022.07.15
  • 전주 도란도란 시나브로길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며 걷다가 역사와 문화에 조금씩 동화되어 가는 길이라는 의미의 도란도란 시나브로길은 전주의 대표 문화자원인 한옥마을, 젊음과 낭만의 거리인 전죽대 대학로, 세계무형문화유산의 거점공간인 국립무형유산원, 후백제에서 이어져 천년의 숨결을 안고 온 남고산성(사적 제294호), 천주교 순례지 치명자산성지, 전주자연생태박물관, 삶과 추억이 깃든 도심 속 달동네인 자만벽화마을로 이어지는 코스로 전주의 역사와 문화, 자연생태를 한 눈에 체함 할 수 있는 길입니다.
    603 2022.07.15
  • 한여울길 5코스 소이산 생태숲 녹색길
    고려시대부터 봉수지로 활용된 소이산은 작지만 큰 산에 버금가는 조망권을 갖고 있고 태초부터 철원의 모든 역사를 품고 있는 철원의 대표 명산으로 한국전쟁이후 민간인 통제구역에 갇혀 수십 년간 일반인의 발길을 거부하며 때묻지 않은 자연 생태환경을 갖추고 있는 곳이다. 녹색길 일부구간의 지뢰지대라는 위협적인 이미지를 벗어나기 위해 아름답고 부드러운 이미지의 꽃에 비유해 “지뢰꽃길”이란 세부 길명을 부여하고 봉수대 오름길을 따라 소이산 정상에 도착하면 한눈에 철원평야와 평강고원을 볼 수 있는 전망대가 자리잡고 있다.
    602 2022.07.15
  • 의왕누리길 1코스 왕송못길
    호숫가를 따라가는 수변길은 평탄하여 걷기가 수월하다. 노약자를 위한 코스로도 좋으며, 물결을 스치듯 지나가는 철새의 날개 짓과 유유히 노니는 물고기도 좋지만, 이른 아침 수면에 피어오르는 물안개와 붉은 저녁 노을등 호수가 만드는 황홀한 광경을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산책코스이다.
    601 2022.07.15
  • 고양누리길 고봉 누리길
    온 가족이 함께 산책하기 좋은 고봉산을 넘어 황룡산까지, 나지막한 두 산을 넘는 길이다. 자연의 보고인 안곡습지공원을 지나면 숙종의 후궁 장희빈의 가족묘가 나오고 고봉산 등산로가 시작된다. 산길 오르는 길에 만경사, 영천사 등 오래된 사찰을 둘러볼 수 있다. 고봉산 정상을 넘어 큰 도로를 건너면 황룡산이다. 고려 명장 박서장군과 조선 충신 박순선생을 모신 용강서원을 지나면 종점 상감천마을이 나온다.
    601 2022.07.15
  • 강진 바다길 1코스 바다가 보이는 풍경길
    마량미항을 출발하여 해안선을 따라 걷는 코스로 천년 예술혼이 숨쉬는 청자박물관을 관람하고 도자기 빚기 체험과 어촌체험도 하며 바다와 함께 가는 둘레길이다.
    601 2022.07.15
  • 담양오방길 5코스 누정길
    달관과 관용의 경치가 빼어난 면앙정을 비롯하여 송강정철이 선조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담아 사미인곡, 속미인곡을 지은 곳인 송강정, 넓은 뜰에 정자와 시냇물, 연못가에 만발한 백일홍이 더해져 독특한 아름다움을 풍기는 명옥헌원림,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약간의 손질만 더해 자연과 인공이 다정하게 어우러져 있는 조선시대 원린문화의 중심지이자, 원림건축의 백미인 소쇄원, 주변경치가 아름다워 그림자도 쉬어간다는 식영정 등이 있어 가사문학과 정자문화를 체험하며 걸을 수 있는 역사 문화 스토리텔링 탐방길이다.
    600 2022.07.15
  • 제주올레길 1코스(시흥-광치기 올레)
    제주올레길 01코스(시흥 ~ 광치기올레). 제주올레에서 가장 먼저 열린 길. 시흥초등학교에서 출발해 말미오름과 알오름에 올라 성산일출봉과 우도, 조각보를 펼쳐놓은 듯한 들판과 바다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오름-바당 올레’. 코스 초반에 두 개의 오름을 오른다. 비나 눈이 온 뒤에는 길이 조금 미끄러울 수도 있다. 이후로는 오르막이 없는 평탄한 길이다.
    599 2022.07.15
  • 평화누리길 10코스 고랑포길
    평화 누리길 10코스 고랑포길. 김포, 고양, 파주를 거쳐온 평화누리길의 연천군 시작점인 10코스는 임진강 장남교에서 숭의전까지 18km를 걷는 코스이다. 임진강 물줄기를 따라 걸으며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할 수 있으며, 부제 공모를 통해 고랑포길이라고 선정되었다.
    고랑포는 조선시대는 물론 한국전쟁 이전까지만 해도 임진강 일대에서 가장 번창했던 포구로 서해안에서 조류를 타고 임진강을 거슬러 생선과 새우젓배, 소금배들이 올라왔고, 장단백태 등의 곡물과 땔감이 내려갔다. 한창 번성했던 1930년대에는 금융기관과 우체국, 약방, 여관은 물론 서울 화신백화점 분점이 있었을 정도로 번성했던 곳이다. 한국전쟁이후 마을은 옛 영화를 뒤로 한 채 사라졌으며 오랬동안 군사작전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가 지금은 연천군에서 옛 모습을 되찾기 위해 고랑포구 역사문화촌 조성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599 2022.07.15
  • 봉암수원지둘레길 순환코스
    봉암수원지 길은 마산일원의 생활용수와 공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1928년 11월에 건립되었다. 자유무역지역3공구 맞은편에서 걷다 보면 5분 이내에 도시와 단절된 숲을 볼 수 있다. 수원지까지의 1km 길은 천천히 걸어서 왕복 1시간정도 걸린다. 곧고 빽빽하게 들어선 나무와 새소리, 물소리로 도심의 차량 소음도, 사람들 소리도, 기계음과도 단절되어 조용히 산책을 하다보면 어느새 넓은 터가 반기면서 수원지 제방에 다다른다. 잔잔한 호수를 따라 오솔길을 20여분 걷다보면 산과 호수로 둘러싸인 넓은 잔디밭이 있다. 또한 이곳은 팔룡산 정상을 오르고 내릴 수 있어 등산객에게도 인기코스로 손꼽힌다.
    599 2022.07.15
  • 금오서원 녹색길
    금오서원 녹색길은 지역 문화 유산인 야은 길재선생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구미시 선산읍 원리에 세운 금오서원 주변에 위치하며 인근에는 구미보 및 지역문화자원인 독동의 반송, 낙산고분군, 봉화대 등이 있어 낙동강 및 구미보의 경치를 느낄 수 있는 산책로 이다. 또한 낙동강 제8경(두루미의 군무), 구미보 하류의 뛰어난 경관을 볼 수 있다
    598 2022.07.15
  • 증평둘레길 바람소리길
    증평의 깊은 산골 좌구산휴양림 관리사무소에서 좌구산 천문대 가는 길을 따라 오르다보면 별무리하우스 옆 나무데크 계단으로 길이 시작된다. 조롱조롱 매달려 있는 조롱박을 벗 삼아 걷다보면 길의 끝에서 나무계단이 방문객을 반긴다. 계단이 시작되는 곳에 있는 간단한 약도는 이곳에서 계단을 올라 걷기를 시작하면 야생화단지와 교육체험지구로 갈수 있는 길이라는 것을 이동거리를 함께 알려준다.
    598 2022.07.15
  • 서오릉 나들길
    서오릉은 사적 제198호로 5릉은 경릉(敬陵)·창릉(昌陵)·익릉(翼陵)·명릉(明陵)·홍릉(弘陵)을 일컫는다. 1457년(세조 3) 세자 장(璋:뒤에 덕종으로 추존됨)이 죽자 이곳에 안장(경릉)한 이래 1470년(성종 1) 덕종의 아우인 예종과 그 계비인 안순왕후 한씨의 창릉, 1681년(숙종 7) 숙종의 비인 인경왕후 김씨의 익릉, 1721년(경종 1) 숙종과 그 계비인 인현왕후 민씨와 제2계비인 인원왕후 김씨의 명릉, 1757년(영조 33) 영조의 비인 정성왕후 서씨의 홍릉이 들어서 능의 무리를 이루었다. 그밖에 이곳에는 명종의 큰아들인 순회세자의 순창원(順昌園)이 경내에 있으며, 1970년에 숙종의 후궁인 희빈 장씨의 대빈묘(大嬪墓)가 이곳으로 이장되었다.
    서오릉 나들길은 도심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어 가볍게 나들이 떠나기 좋은 곳이다. 서쪽의 다섯 왕릉이 모인 서오릉은 사극의 단골 주인공이 모여 이야깃거리가 많아 친숙하게 다가오는 장소이다. 가족과 연인과 친구와 함께 도란도란 이야기 하며 왕릉과 소나무 숲길을 따라 시간여행을 떠나기 좋은 곳이다. 조선 제19대 왕 숙종과 계비 인현왕후, 두 번째 계비 인원왕후의 능인 명릉은 매표소 반대방향에 있으니 꼭 놓치지 말자.
    598 2022.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