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둘레길 16 페이지 > clubrichtour

걷기/자전거 여행
제목
  • 향일암 해안길 생태탐방로 향일암-돌산향교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천혜 자연환경과 해맞이의 명소 향일암의 일출, 낙조, 한려해상국립공원 오동도,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구국항쟁의 유적지, 동식물의 자연자원(변산 바람꽃, 고니, 왜가리 등), 전혜의 탐방자원 다양성 등 여수 돌산의 다도해 해안경관을 만끽할 수 있는 해안로이다.
    520 2022.07.15
  • 서천코스모스길
    하루가 다르게 높고 투명해지는 하늘, 풍요로움이 가득한 가을의 문턱에서 화려하게 펼쳐지는 광양전통숯불구이축제의 장으로 초대합니다.
    예로부터 광양불고기는 천하일미 마로화적이라 하여 청동화로에 참숯불을 피우고 구리석쇠에 잘 손질된 한우를 구워먹는 것으로 그 맛에 있어 천하에 최고의 맛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쇠고기, 닭, 장어 등을 숯불에 구어서 먹는 광양의 전통요리 축제, 행사장 인근 맑은 물이 흐르는 서천에는 섶다리와 물레방아, 그리고 분수와 원두막을 설치하여 추억속의 고향풍경을 재현, 고수부지에는 코스모스 꽃길을 조성해 맛과 멋이 어우러진 문화축제로 추억이 가득한 가을 한때를 가족과 함께 숯불구이의 고장 광양에서 만끽 하십시요
    612 2022.07.15
  • 남도이순신길 백의종군로 01코스 산수유 지리산 호반길
    산수유는 구례를 대표하는 꽃이자 봄을 가장 먼저 여는 꽃으로 명성이 자자하다.
    구례 산동면은 전국 생산량의 73%를 생산하는 국내 제일의 산수유 군락지로서 봄이 오는 길목에는 노란 산수유 물결이 넘실댄다.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국내 최고의 여행상품으로 '구례 산수유 마을'이 선정된 바 있는데, 이 산동면의 대표적인 산수유 마을 가운데 하나가 계척마을이다.
    계척마을 입구에는 수령 1000년쯤 됬다는 산수유 시목이 있다. '할머니나무' 라고도 불리는 이 산수유 시목은 어느 산수유 나무보다 크고 웅장하고 세월의 기품을 보여준다. 이 곳 산수유 시목지 앞이 남도 백의 종군로의 출발점이 된다.
    또한 시목광장에는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업적과, 연보등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성곽길이 조성되어 있어서 자녀들에게 생태와 역사에대한 좋은 교육의 장이 될 것이다.
    553 2022.07.15
  • 향일암 해안길 생태탐방로 향일암-돌산향교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천혜 자연환경과 해맞이의 명소 향일암의 일출, 낙조, 한려해상국립공원 오동도,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구국항쟁의 유적지, 동식물의 자연자원(변산 바람꽃, 고니, 왜가리 등), 전혜의 탐방자원 다양성 등 여수 돌산의 다도해 해안경관을 만끽할 수 있는 해안로이다.
    534 2022.07.15
  • 봉암수원지둘레길 순환코스
    봉암수원지 길은 마산일원의 생활용수와 공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1928년 11월에 건립되었다. 자유무역지역3공구 맞은편에서 걷다 보면 5분 이내에 도시와 단절된 숲을 볼 수 있다. 수원지까지의 1km 길은 천천히 걸어서 왕복 1시간정도 걸린다. 곧고 빽빽하게 들어선 나무와 새소리, 물소리로 도심의 차량 소음도, 사람들 소리도, 기계음과도 단절되어 조용히 산책을 하다보면 어느새 넓은 터가 반기면서 수원지 제방에 다다른다. 잔잔한 호수를 따라 오솔길을 20여분 걷다보면 산과 호수로 둘러싸인 넓은 잔디밭이 있다. 또한 이곳은 팔룡산 정상을 오르고 내릴 수 있어 등산객에게도 인기코스로 손꼽힌다.
    600 2022.07.15
  • 남산녹색둘레길
    357m의 남산을 중심으로 지천, 적누저수지, 광금.탄정리 벚꽃길을 따라 한바퀴를 도는 녹색 둘레길로 지역주민 건강증진을 위한 길이다. 구간별 테마를 구분해 4개 구간으로로 구분하고 있다.
    ①지천생태길(4.2㎞) : 지천의 사계절 봄나물,나비,참매,큰고니,원앙이등 철새들을 볼 수 있다.
    ②녹색길(4.9㎞) : 적누저수지를 따라 사색을 즐길수 있는 호젓한길 가끔 수달도 볼 수 있다.
    ③벚꽃길(1.8㎞) : 단국대 사과농장에서 장곡사까지 벚꽃이 장관이다.
    ④고향길(2.9㎞) : 시골의 고향길을 느낄수 있으며, 배움의 터전인 청양향교를 찾아갈 수 있다.
    575 2022.07.15
  • 허밍웨이길
    반포천과 나란히 이어지는 허밍웨이길은 코노래가 나오는 쾌적한 길이라는 뜻을 갖고 있으며, 산책로 양쪽이 나무로 둘러싸여 있어 도심속에서도 숲 속을 걷는 듯한 느낌을 준다. 2010년 서울시 여성행복 프로젝트 사업의 일환으로 여성이 행복한 길로 인증받았다.
    548 2022.07.15
  • 성남누비길 5구간 태봉산길
    태봉산은 운재산, 안산, 둔지봉 등을 거치지만 대체로 지세가 험하지 않아 초보 등산객이 가뿐한 걸음으로 정상까지 올라갈 수 있다. 숲이 울창한 태봉산에서는 탁 트인 풍광을 조망할 수 없지만, 소담하게 놓인 나무 벤치에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극상림의 대표수종인 서어나무 군락지를 볼 수 있다.
    662 2022.07.15
  • 남산녹색둘레길
    357m의 남산을 중심으로 지천, 적누저수지, 광금.탄정리 벚꽃길을 따라 한바퀴를 도는 녹색 둘레길로 지역주민 건강증진을 위한 길이다. 구간별 테마를 구분해 4개 구간으로로 구분하고 있다.
    ①지천생태길(4.2㎞) : 지천의 사계절 봄나물,나비,참매,큰고니,원앙이등 철새들을 볼 수 있다.
    ②녹색길(4.9㎞) : 적누저수지를 따라 사색을 즐길수 있는 호젓한길 가끔 수달도 볼 수 있다.
    ③벚꽃길(1.8㎞) : 단국대 사과농장에서 장곡사까지 벚꽃이 장관이다.
    ④고향길(2.9㎞) : 시골의 고향길을 느낄수 있으며, 배움의 터전인 청양향교를 찾아갈 수 있다.
    589 2022.07.15
  • 호랑산 둘레길
    호랑산의 유래는 통일신라 시대에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나라룰 구하고자 무예를 연마하던 화랑들의 훈련장소였기 때문에 화랑산이라 하다가 호랑산으로 개칭된것으로 보인다. 기존 등산로와 임도를 이용해 연결해서 만들었다. 그래서 임도길을 걷을때는 단조로움에 약간은 지겨울수도 있지만 둘레길을 들어서면 딴 세상을 만난다. 여수는 바닷가라 계곡이 드물다. 비가 온 후에 가면 중간중간 만나는 계곡에 감탄사가 나온다. 발이 시릴 정도 시원하고 맑은 물에 더 이상 움직이기 싫을 정도다. 대나무 숲과 편백숲을 만나 볼 수 있다. 봉계저수지 쯤에 정자가 있어 사방댐의 물을 바라보며 쉬어갈 수 있다.
    536 2022.07.15
  • 성남누비길 5구간 태봉산길
    태봉산은 운재산, 안산, 둔지봉 등을 거치지만 대체로 지세가 험하지 않아 초보 등산객이 가뿐한 걸음으로 정상까지 올라갈 수 있다. 숲이 울창한 태봉산에서는 탁 트인 풍광을 조망할 수 없지만, 소담하게 놓인 나무 벤치에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극상림의 대표수종인 서어나무 군락지를 볼 수 있다.
    667 2022.07.15
  • 남산야외식물원 산책길
    남산식물원은 서울시 중구 남산에 있던 식물원으로 1968년 개원하여 2006년까지 운영되었다. 2009년부터 노후화된 시설을 철거하고 실개천, 휴게공간 조성 및 녹지공간 복원 등을하여 2010년말 새롭게 개장했다. 숲길이 잘 정비되어 있고 다양한 식물들이 풍성해 보행자들에게 산책의 묘미를 느끼게 해주는 코스이다.
    581 2022.07.15
  • 고정리 공룡알 화석산지 탐방로 (쉽게 걷는 길)
    다큐멘터리 '공룡의땅', 드라마 '무사 백동수'의 촬영지로도 알려진 화성 고정리 공룡알 화석산지는 수도권 시민들이 자녀와 함께 가볍게 여행하기 좋은 곳이다. 공룡알화석 외에도 갯벌의 변화와 다양한 동.식물을 관찰할 수 있어 현장학습장소로도 적절한 곳이다.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갯벌이었던 이곳은 1994년 화성시 송산면 고정리 시화호 일대 물막이 공사를 통해 1999년 공룡알 화석이 발견되었다. 공룡알 화석산지는 2000년 3월 21일 천연기념물 제 414호로 지정되었는데 공룡알 화석을 통해 약 1억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공룡들의 집단 서식지로 추정하고 있다. 지금까지 12개 지점에서 30여개의 알둥지와 200여개의 알 화석이 발견되었고 흔적화석도 다수가 발견된 곳이다.

    *본 코스는 '함께 걷는 길'로 소개하기 위해 안내하는 코스로 일반 걷기여행길에 비해 코스는 다소 짧으니 유의바랍니다.
    583 2022.07.15
  • 섬진강 둘레길
    섬진강변을 따라 전남 곡성군 오곡면 오지마을에서 압록마을까지 이르는 길이다. 강변 숲엔 소나무와 편백나무, 상수리나무가 무성해 몸에 좋은 피톤치드와 음이온이 흐른다. 섬진강, 대황강의 좋은 지리적 여건을 활용하여 도보여행을 하면서 노선 주변의 이야기를 통하여 효와 충을 배우고 곡성방문 관광객을 머물러 가게 하기 위하며 지역특성이 잘 들어나 있는 레일바이크길과 기차마을 등을 한곳에 어우르는 길이다.
    *곡성버스터미널과 곡성역은 대중교통이용자 안내를 위한 연계 노선으로 섬진강둘레길 출발은 곡성기차마을 입니다.
    635 2022.07.15
  • 남양주 슬로시티길
    슬로시티의 슬로(slow)는 환경과 자연, 시간, 계절을 모두 존중하면서 조금 더 느긋하게 살아간다는 뜻으로 슬로시티길은 그 이름에 걸맞게 천천히 돌아보아야 제 멋을 감상할 수 있으며, 강바람의 향기와 녹음의 향취를 맡으며 천천히 천천히......자연의 속도에 맞추다 보면 우리의 마음에 평안을 찾을 수 있는 길입니다.
    555 2022.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