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향토문화유적 76 페이지 > clubrichtour
jpn.clubrichtour
jpn
観光地
文化施設
祭り/公演 /イベント
レジャースポーツ
宿泊
ショッピング
グルメ
交通
메인
文化施設
祭り/公演 /イベント
レジャースポーツ
宿泊
ショッピング
グルメ
交通
0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지역
시/도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서울특별시
세종특별자치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시/군/구
키워드
통합검색
번호
제목
3545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하귀지석묘 1호
애월읍 하귀리의 한천변 주택가 경작지에 있는 바둑판식 고인돌이다. 이 고인돌의 규모는 덮개돌이 3.61m. 폭 1.92m 정도이며 덮개돌 아래 북쪽과 동쪽에 받침돌 2개를 고였고 지대가 높은 남쪽은 작은 돌 하나를 고였다.
532
2022.06.13
3544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광령지석묘 6호
애월읍 광령리의 평평한 밭 한쪽에 있는 이 고인돌은 바둑판식이다. 남·북·서쪽의 세 귀퉁이에 작은 막돌을 받침돌로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려 놓았는데. 길이 2.3m. 너비 2.19m로 다소 작은 편이다.
532
2022.06.13
3543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광령지석묘 5호
애월읍 광령리의 길과 밭 사이 돌담에 있는 이 고인돌은 개석식이다. 지면은 남쪽이 높은 경사면을 이루고 있어 남쪽에는 받침돌이 없으며. 동쪽에는 3매. 서쪽에는 1매의 판석형 받침돌이 놓여 있다.
502
2022.06.13
3542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광령지석묘 4호
애월읍 광령리의 밭 한가운데 있는 이 고인돌은 개석식으로. 판석을 받침돌 겸 석관의 벽으로 삼아 매장부를 지상에 마련한 형태이며. 크기는 길이 3.69m. 너비 2.96m로 광령리 일대 고인돌 중 가장 크다.
548
2022.06.13
3541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광령지석묘 3호
애월읍 광령리에 돌담에 있는 이 고인돌은 덮개돌이 반으로 쪼개져 경사면에 쓰러져 있으며 받침돌은 보이지 않는다. 원래는 밭 한가운데에 있던 것을 경작지를 만들 때 밀어낸 것으로 보인다.
537
2022.06.13
3540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광령지석묘 2호
애월읍 광령리에 있는 이 고인돌은 개석식으로. 판석을 받침돌 겸 석관의 벽으로 삼아 매장부를 지상에 마련한 형태이다.
568
2022.06.13
3539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광령지석묘 1호
애월읍 광령리에 있는 고인돌은 덮개돌이 길이 3.61m 너비 3.02m 두께 0.4m로 이 부근의 고인돌 중에서는 상당히 큰 편에 속한다. 받침돌은 남·남서· 동쪽에 고이고 있는데. 남서쪽의 것은 다른 것들과 달리 돌을 4각형으로 매끄럽게 다듬어 세웠다.
606
2022.06.13
3538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외도지석묘 5호
외도고인돌 5호는 돌출된 암반 위에 길이 3.15m. 너비 2.65m의 덮개돌을 바로 올려 놓았는데. 한쪽은 높이 치켜 올라가고 반대편은 거의 지표면과 닿아있는 상태이다.
565
2022.06.13
3537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외도지석묘 4호
외도고인돌 4호는 주변보다 약간 높은 밭에 위치하고 있으며. 덮개돌의 크기는 길이 1.95m. 너비 2.2m. 두께 0.3∼0.4m이다. 덮개돌이 두꺼운 부분은 곧바로 지면에 닿아 있어 별도의 받침돌을 고이지 않았으나. 덮개돌이 얇은 서남쪽과 북쪽에는 하나씩 고이고 있다.
519
2022.06.13
3536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외도지석묘 3호
외도고인돌 3호는 덮개돌의 단면이 아치 모양을 이루는 특이한 형태이며. 크기는 길이 2.82m. 너비 1.9m. 두께 0.3∼0.6m이다. 받침돌은 남쪽과 북쪽에 둥글고 납작한 돌을 사용하였고. 서쪽은 덮개돌이 곧바로 땅에 닿아 별도의 받침돌 없이 여러 개의 작은 돌로 고이고 있다.
499
2022.06.13
3535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외도지석묘 2호
외도고인돌 2호는 남쪽으로 경사가 심한 자연 암반 위에 있는데. 전체적으로 북쪽이 약간 들린 모양이며. 덮개돌의 크기는 길이 2.75m 너비 2.3m 두께 0.8m이다. 받침돌은 북쪽의 낮은 곳에 고이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작은 돌을 고여 덮개돌의 수평을 유지하고 있다.
493
2022.06.13
3534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외도지석묘 1호
외도고인돌 1호는 경사가 심한 돌담 아래에 있으며. 윗면이 평평하게 다듬어진 덮개돌은 길이 2.32m. 너비 1.96m. 두께 0.89m이다. 덮개돌에는 크고 작은 알구멍<성혈(性穴)>이 65개 있는데. 풍년을 기원하거나 자식낳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만든 것이라고 한다. 받침돌은 동·서·남쪽에서 확인되는데. 지대가 높은 남쪽에는 3개의 작은 돌을 받쳤고 나머지는 일반적인 받침돌의 형태이다.
511
2022.06.13
3533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삼양지석묘 1호
제주시 삼양동에 있는 고인돌은 정확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하부구조를 알수 없으나 형태상 바둑판식으로 보인다. 이 고인돌은 남북방향으로 자리하고 있는데. 덮개돌은 길이 2.19m. 너비 0.35∼0.5m이고 형태는 직사각형 모양이다.
506
2022.06.13
3532
제주특별자치도 > 서귀포시
상예동지석묘 4호
상예동 1527번지선 동남쪽 경계에 위치하도 있으며 남방식 지석묘형태를 취하고 있다.
541
2022.06.13
3531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도련지석묘 1호
제주시 도련동에 있는 이 고인돌은 바둑판식으로 덮개돌 크기는 길이 2.45m. 너비 1.75m로 거북등 모양으로 인위적으로 다듬은 흔적이 보인다.
565
2022.06.13
초기화
날짜순
조회순
정렬
검색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Search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또는
그리고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Category
추천여행코스
전국캠핑장정보
전국명소갤러리
전국둘레길
한국민속신앙사전
전국지역특화거리
전국시티투어정보
전국문화축제
전국도시공원정보
전국농어촌체험휴양마을
전국박물관미술관정보
전국향토문화유적
전국공연행사정보
전국휴양림
전국길관광정보
전국가로수길정보
전국전통시장
전국관광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