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24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막음쟁이
    456 2023.02.27
    집에 탈이 나거나 [동티](/topic/동티)[動土]가 났을 때 액을 막기 위한 ‘막음질(액을 막기 위한 행위)’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
  • 만구대택굿
    531 2023.02.27
    황해도 지역에서 무당자신이나 부자집의 노인들을 위해서 하는 가장 큰굿으로, 노인들의 무병장수와 사후 내세의 극락천도를 기원하는 굿.
  • 만당제물
    460 2023.02.27
    제주도굿에서 쓰이는 가장 기본적인 떡들을 총칭하는 말.
  • 만성수부채
    463 2023.02.27
    황해도 큰무당들이 사용하는 부채. 만 [가지](/topic/가지) 성수[神]님들을 모신 부채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만감응부채라고도 한다.
  • 만세바지장단
    446 2023.02.27
    황해도굿과 서울ㆍ경기 북부 지역 굿에서 무당이 신을 청하는 청배무가인 를 부를 때 연주하는 [장단](/topic/장단). 만수바지라고도 하는 만세바지는 ‘만세(혹은 만수)’와 ‘바지’의 합성어다. 보통 황해도굿에서는 만세바지, 서울굿에서는 만수바지라고 많이 부른다. ‘만세(萬歲)’ 혹은 ‘만수(萬壽)’는 인간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의미이고, ‘바지’는 ‘받는다’라는 의미로서 [악사](/topic/악사)가 무당 노래의 뒷부분을 받는 ‘[바라지](/topic/바라지)’를 의미한다. 만세바지나 만수바지는 주로 황해도, 서울, 경기도 등지의 강신무당이 신을 청하는 청배무가로 부른다.
  • 만신
    392 2023.02.27
    무녀를 높여 일컫는 호칭 중 하나.
  • 말명
    416 2023.02.27
    무속에서 넓은 의미의 사자(死者)를 가리키는 개념. 이 사자가 혈연관계에 있는 경우 말명은 넓은 의미의 조상을 의미한다.
  • 말미상
    478 2023.02.27
    보통 서울의 [만신](/topic/만신)들이 ‘말미 드린다’는 굿거리를 할 때 사용되는 상.
  • 망묵이굿
    531 2023.02.27
    함경도지방에서 죽은 사람의 넋을 천도하기 위해 하는 굿. ‘망묵굿’이라고도 하며, 대규모의 굿으로 확장되면 ‘새남굿’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 망자상
    446 2023.02.27
    망자의 천도를 목적으로 하는 망자를 위한 상.
  • 망자혼사굿
    521 2023.02.27
    혼인하지 못하고 죽은 청춘남녀의 영혼이 있으면 적절한 연령대를 찾아서 혼인을 시키는 굿. 이 굿은 달리 ‘영가혼인굿’, ‘사혼굿’, ‘[영혼결혼식](/topic/영혼결혼식)굿’ 등으로 명칭이 전한다.
  • 망제
    423 2023.02.27
    후손이 없는 자를 위해 [마을](/topic/마을)에서 지내는 제사 의식. 이러한 제사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행해졌으나 최근에는 거의 사라지고 전라남도 진도와 전라북도 남원 지역에서 확인할 수있다.
  • 망지
    437 2023.02.27
    [마을](/topic/마을) 제의에 [제관](/topic/제관) 및 집사로 선출되었음을 해당자에게 알리는 통지서.
  • 매당왕신
    429 2023.02.27
    한강을 중요한 운송로로 이용하던 시절에 이 교통의 장애(암초와 여울 등)지역들에 세워진 [화주](/topic/화주)당(化主堂)에서 모시는 주신. 매(鷹)+당(堂)+왕신(王神) 또는 매(鷹)+대왕신(大王神)의 합성어로 보인다.
  • 매화
    439 2023.02.27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 쓰이는 것으로 매화꽃의 형태를 재현한 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