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단일

한국무속신앙사전
[마을](/topic/마을)제사를 지낼 [제관](/topic/제관)을 뽑는 날.
definition
[마을](/topic/마을)제사를 지낼 [제관](/topic/제관)을 뽑는 날.
mp3Cnt
0
wkorname
한양명
정의[마을](/topic/마을)제사를 지낼 [제관](/topic/제관)을 뽑는 날.
정의[마을](/topic/마을)제사를 지낼 [제관](/topic/제관)을 뽑는 날.
내용경상북도 일부 지역에서는 [마을](/topic/마을)제사를 지낼 [제관](/topic/제관)을 뽑는 날을 청단일이라고 칭한다.

경북 영덕군 축산면 상원리에서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동제를 지내며 정월 초사흗날에 이장과 동네 어른들이 모여서 제관을 뽑는다. ‘유고가 없고 깨끗한 사람’ 가운데 도가 한 명과 제관 두 명을 선출한다. 원구1리 ‘뚜들’마을의 경우 정월 초사흗날이 되면 동제를 지낼 제관 세 명과 도가 한 명을 뽑는다. 이 마을 역시 제관을 선정하는 날을 청단일이라고 부른다.

경북 영덕군 병곡면 금곡1리에서는 정초에 ‘청단공회’를 열어 제관을 선출한다. 청단공회는 제관을 선출하기 위해 임시로 개최하는 동회를 말한다. 예전에는 스스로 깨끗하다고 생각하는 남자 어른들만 모여 도가(원제관) 한 명과 제관 세 명, 심부름꾼 두 명을 선정했으나 1990년대 후반부터 제관 수를 줄였다. 지금은 초열흘에 여자를 포함한 동민 전체가 참여하는 청단공회를 개최하여 도가 한 명과 제관 한 명, 심부름꾼 한 명을 선출한다. 창수면 인량2리 역시 정월 초사흗날 열리는 제관 선출 회의를 ‘청단공회’라 부른다. 이 밖에 창수면 오촌1리에서는 정월 초사흗날 ‘청단공론’을 해서 동제를 지낼 도가와 삼헌관을 뽑는다. 이 회의에는 마을의 어른들과 제관을 맡을 만큼 깨끗한 사람 십여 명이 참석하였다.

경북 안동시 임동면 고천2리 어사마을에서는 동제 제관 선출회의를 ‘청단회의’라 부른다. 주민들에 따르면 “깨끗한 사람들만 모여 깨끗한 사람을 뽑는 회의”이기 때문에 청단(靑團)회의라고 부른다. 이 마을은 정월대보름에 동제를 지내며 정월 열이튿날에 청단회의를 열어 부정이 없는 깨끗한 사람을 엄선해 제관으로 선출한다.
참고문헌용과 여성, 달의 축제 (한양명, 민속원, 2006)
내용경상북도 일부 지역에서는 [마을](/topic/마을)제사를 지낼 [제관](/topic/제관)을 뽑는 날을 청단일이라고 칭한다.

경북 영덕군 축산면 상원리에서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동제를 지내며 정월 초사흗날에 이장과 동네 어른들이 모여서 제관을 뽑는다. ‘유고가 없고 깨끗한 사람’ 가운데 도가 한 명과 제관 두 명을 선출한다. 원구1리 ‘뚜들’마을의 경우 정월 초사흗날이 되면 동제를 지낼 제관 세 명과 도가 한 명을 뽑는다. 이 마을 역시 제관을 선정하는 날을 청단일이라고 부른다.

경북 영덕군 병곡면 금곡1리에서는 정초에 ‘청단공회’를 열어 제관을 선출한다. 청단공회는 제관을 선출하기 위해 임시로 개최하는 동회를 말한다. 예전에는 스스로 깨끗하다고 생각하는 남자 어른들만 모여 도가(원제관) 한 명과 제관 세 명, 심부름꾼 두 명을 선정했으나 1990년대 후반부터 제관 수를 줄였다. 지금은 초열흘에 여자를 포함한 동민 전체가 참여하는 청단공회를 개최하여 도가 한 명과 제관 한 명, 심부름꾼 한 명을 선출한다. 창수면 인량2리 역시 정월 초사흗날 열리는 제관 선출 회의를 ‘청단공회’라 부른다. 이 밖에 창수면 오촌1리에서는 정월 초사흗날 ‘청단공론’을 해서 동제를 지낼 도가와 삼헌관을 뽑는다. 이 회의에는 마을의 어른들과 제관을 맡을 만큼 깨끗한 사람 십여 명이 참석하였다.

경북 안동시 임동면 고천2리 어사마을에서는 동제 제관 선출회의를 ‘청단회의’라 부른다. 주민들에 따르면 “깨끗한 사람들만 모여 깨끗한 사람을 뽑는 회의”이기 때문에 청단(靑團)회의라고 부른다. 이 마을은 정월대보름에 동제를 지내며 정월 열이튿날에 청단회의를 열어 부정이 없는 깨끗한 사람을 엄선해 제관으로 선출한다.
참고문헌용과 여성, 달의 축제 (한양명, 민속원, 2006)
한국무속학회서울굿의 상차림에 대하여홍태한2003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무속의 물질문화 연구최진아2009
0 Comments